• Title/Summary/Keyword: 교육과정의 변화

Search Result 2,51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design of ICT-based integration curriculum in the primary school (초등학교에서의 ICT 통합 교육과정 설계)

  • 김공실;김성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845-847
    • /
    • 2003
  • 21세기는 정보기술과 함께 폭증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가치 있는 정보를 선택, 판단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정보활용능력이 필수적인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정보 사회 적응을 위한 기본소양 교육이 효과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정보 소양 학습을 지원하는 다양한 활동이 있어야한다. 교과 교육의 정보화를 실현하는 한 방법으로 교육 과정의 통합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으며,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은 복잡한 사회의 변화에 대한 종합적인 안목을 길러주고, 지식 정보의 폭발적 증가에 보다 적절하게 대응하게 해 준다는 점에서 그 교육적 정당성을 발견할 수 있다. 결국 교육과정의 통합은 급속한 사회의 변화를 교육체제에 조정시키는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교육적 의미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계화된 ICT 교육과정을 편성하였으며 그 편성 방향은 ICT를 기본으로 하여 여러 교과를 통합지도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조직하고 이를 웹 기반 교수 학습 형태로 제시하였다.

  • PDF

On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and Outlook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한국의 수학 교육과정과 수학교육관)

  • 김종명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17 no.2
    • /
    • pp.33-52
    • /
    • 2004
  • The paper is analyzed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and the philosophy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education. We have found that the various philosophy of Western mathematics education have led us to various views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This change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have important implications to the didactics of mathematics.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outlook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future.

  • PDF

Unplugged Learning System for Informatics Education (정보 교육을 위한 언플러그드 학습 시스템)

  • Cho, Jae-Choon;Kim, Min-Ja;Cho, Tae-Kyung;Cho, Jung-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76-79
    • /
    • 2009
  • 컴퓨터 교육은 실습 위주로, 컴퓨터를 도구적으로 활용하는 소프트웨어 활용 수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단순한 컴퓨터 활용의 실습 수업은 학습자로 하여금 흥미를 잃게 하고 문제해결력과 창의성 개발을 저하 시킨다는 문제점들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개정된 7차 교육과정은 이러한 소프트웨어 활용 위주 교육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컴퓨터 과학, 원리 위주의 교육으로 변화 하였다. 본 연구는 개정된 제7차 교육 과정이 컴퓨터 과학 교육으로 변화됨에 따라 컴퓨터 과학의 내용을 보다 흥미롭고 쉽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언플러그드 학습 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컴퓨터 과학의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내용은 중등학교의 교육과정으로는 다소 쉽지 않은 내용이며, 이론 위주의 교육과정은 학생들에게 흥미 없는 교과로 비추어 질 수 있지만, 정보 교과를 위한 언플러그드 학습 시스템을 통해 흥미 있는 교과로 인식이 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교사양성대학에서의 이산수학 교육과정

  • Lee, Jae-Ha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43-52
    • /
    • 2003
  • 교육과정은 그 시대에 적합한 요구들을 반영하여야 한다.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이산수학의 도입이 바로 정보화 시대의 반영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이산수학의 도입은 수학의 변화가 수학교육의 변화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내용의 교육과정 도입은 충분한 검증 절차의 부재로 인하여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양성 대학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개설되어진 해석학이나 대수학 같은 강좌와는 달리 이산수학의 강좌는 비교적 최근에 개설되어 졌으므로 대부분의 현장교사들은 이산수학 내용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다는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우선, 교사양성 대학교육과정에서의 이산수학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우리 현실에 맞는 교재의 재구성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7차교육과정을 고려하여, 교사양성 대학에 적합한 이산수학 강좌에 대한 구체적인 예들을 제시하여 사범대학 학생들로 하여금 이산수학을 제대로 이해하고, 아울러 이러한 연구가 현직 교사연수에도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 PDF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Key Competencies and Creative Fusion Education (핵심역량과 융합교육에 초점을 둔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방향 연구)

  • Kwak, Youngsun;Son, Jeongwoo;Kim, Mi-Young;Ku, Ja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4 no.3
    • /
    • pp.321-330
    • /
    • 2014
  • Changes are expected in the future, and the future society will expect changes in education. Science curriculum needs to reflect such demands for changes in the future of education. Hence, this study explored ways to reflect the changes demanded by the future society in science educ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ajor issue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s based on the findings from questionnaires given to 447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s well as in-depth interviews with 12 experts. We explored the problems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cluding organization of science elective courses, fusion 'science' as an elective course, intensive course-taking of science, career-focused science curriculum, variation of completion units in science elective courses, and fairness of science elective course selection in college entrance. In addition, we proposed ways to organize science curriculum around core competencies and STEAM education suggested by science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we need to add such key competencies as basic learning abilities, self-identity, and moral competencies to science curriculum in addition to existing key competencies including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Regarding the fusion science, experts contended that convergence of science courses should come before that of science and other subjects, and that STEAM with science as the axis was the desired form of convergence. We also need to establish a curriculum development center that exclusively focuses on science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A Study on the Students' Behaviorstic Trait Change after taking Mathematics Special Supplementary Classes (수학과 특별보충과정 이수학생들의 행동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고미희;이덕호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7 no.1
    • /
    • pp.1-18
    • /
    • 2004
  • In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of stage and level education course, the goal of this survey is to analyse the participators' behavior trait changes at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In order to realize the goal of this survey, I set up the following survey contents. First, to check the responses of participators about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Second, to analyse the participators' behavior trait changes such as self-consciousness, achievement motivation, learning habit at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 PDF

A Note on the revise ICT curriculum (초.중등학교정보통신기술교육운영지침의 개정방안)

  • Kim, Chong-Wo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1a
    • /
    • pp.159-166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and to analyze the contents validity on the unit related in computer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ex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o look deep into the problem on contents and to propose the strategy of reformation, to suggest in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subject for the 8th national curriculum in our society on current IT-based. And this thesis suggests the revised operating guide of ICT education according to 2009 curriculum and new IT-environment.

  • PDF

Changes in Optics Content Described in the Middle-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Accompanying Revision of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제시된 광학 내용의 변화)

  • Lee, Bongwoo;Son, Jeongwoo;Kwon, Gyeongpil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8 no.5
    • /
    • pp.194-20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optics concepts and activities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optics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the middle-school science curriculum of the 7th curriculum, 2007 revised curriculum,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optics content presented in the textbooks developed for each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optics content is classified into four concepts: the process of viewing an object; light and color; reflection and refraction; and the image from a mirror and a len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curriculum, some optics concepts have been added or removed. In particular, big changes have appeared in the concepts of "process of viewing the object", "dispersion", "reflection and refraction" and so on. Second, the content for 'image formation by a mirror and a lens' was gradually reduced,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curriculum, and the level of activity was also adjusted. Third, attempts to present the content of textbooks in conjunction with the phenomena and tools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in everyday life have increased gradually.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implications for optics education have been discussed.

The Changes in the Curricula of the Departm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문헌정보학과 학부 교과과정의 변화)

  • Um, Young-Ai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0 no.2
    • /
    • pp.409-42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changes in the curricula of the Departm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past fifty year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education for librarians is supposed to be changed by the influences of the various surroundings, the curricula in the 1960s, 1980s and 2000s of the Departments are analyzed. The past data were collected by literature searches and the present ones on the homepages. It was found out that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along with constancies in the curricula. The results are interpreted and some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 PDF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도형영역 교수단위 추출 연구

  • Kim, Hyeo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
    • 2010.08a
    • /
    • pp.143-156
    • /
    • 2010
  •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수학교육과정도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잘 대처하기 위해서 교사는 수학교육의 방향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함께 수학, 교육학, 심리학 등 수학교육과 관련된 학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교사에 대한 시대적인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으로 Wittmann(1984)은 수학교과의 특성상 변하지 않는 요소들을 교수단위(Teaching Units)라 하고, 수학교육을 통합시키는 개념으로 교수단위이론으로 제시하였다. 교수단위는 수학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들을 목적, 자료, 활동, 배경 등의 4요소에 따라 작은 단위로 조직화한 것으로, 이를 통해 수학연구자나 교사는 가르쳐야 할 내용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와 체계적인 조직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나아가 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도형영역의 교수단위를 학년별로 추출하고, 추출된 교수단위의 특징과 제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수단위가 수학교육과정연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도형영역의 교수단위(TU)는 특징과 제목에 따라 '개념알기형', '개념적용형', '관계알기형'의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의 도형영역 교육과정은 대체로 개념알기형, 개념적용형, 관계알기형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념적용형이 개념알기형보다 조금 더 많다. 이는 도형영역 교육과정이 학습한 개념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여러 활동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도형의 개념을 좀 더 명확하게 알게 되는 초등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교수단위(TU)는 수업자가 도형학습주제에 맞게 수업을 재구성하거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수준별 맞춤자료를 제작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수학연구자들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수립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교수단위는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고 계속 보완되고 진화될 수 있는 모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많은 수학연구자나 현장교사의 참여로 교수단위가 보다 더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추출된 교수단위를 교사나 학생들이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용 소프트웨어로 개발하려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