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역구조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3초

공간정보를 활용한 한-미 교역액의 기종점 분석 (The Origin-Destination analysis of KORUS trade volume using spatial information)

  • 강효원
    • 통상정보연구
    • /
    • 제18권3호
    • /
    • pp.47-72
    • /
    • 2016
  • 그 동안 우리나라 정부의 통상분야에 대한 관심은 한 해 동안 교역활동의 흐름을 통해 최종적으로 산출된 숫자의 적(赤)과 흑(黑)이 의미하는 부호(+, -)에만 관심을 가졌다. 이제는 교역활동의 결과를 대리하는 그 숫자가 의미하는 숨어있는 공간정보에 주목할 때이다. 본 연구는 한미 양국이 제공하는 교역액 데이터의 공간정보를 활용하였다. 2003년부터 2015년까지 12년간의 교역데이터의 분석결과 분해가 가능한 공간정보를 교역물품 발생지, 경유지 그리고 최종목적지로 구분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첫째, 일반적으로 대미 수출을 뜻하는 한국발 미국향 화물에 대한 공간정보의 특성을 2003년과 비교했을 때 2015년에는 발생지 측면에서 탈수도권화 현상이 나타났다. 국내 경유지 측면에서는 해상 및 항공화물의 비중이 각각 약76%, 23%로 분석되었다. 미국 경유지의 경우 미서부 항만의 경유비율이 줄어들고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미남부 항만의 경유는 증가하고 있었다. 화물의 최종목적지는 캘리포니아 주로의 수출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텍사스와 조지아 주의 화물성장세가 증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반적으로 대미 수입을 뜻하는 미국발 한국향 화물의 공간정보특성을 살펴보면 발생지 측면에서는 캘리포니아와 텍사스 주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미국 내 경유지인 항만과 공항의 경유비율은 약60%, 40%의 비율로 항공화물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의 경유지 중 공항은 인천공항이 절대적이었으며, 항만의 경우는 부산항의 점유율은 68.2%를 기록하여 12년 전과 큰 변화는 없어 영향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평택당진항과 인천항과 같이 수도권에 인접한 항만의 성장세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12년간 한국과 미국의 교역액 데이터의 공간정보를 분해하여 양국의 교역구조를 발생지, 경유지, 목적지로 구조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중.대만 ECFA 체결이 한.중 FTA 협상에 미칠 영향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the Impact to Korea-China FTA Negotiation from China-Taiwan ECFA)

  • 김선광;김종훈
    • 통상정보연구
    • /
    • 제13권2호
    • /
    • pp.179-203
    • /
    • 2011
  • 현재, 지역경제통합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두 나라 또는 그 이상의 나라들이 쌍무적 형태로 체결하는 자유무역협정(FTA)이다. 2010년 6월 29일 중국과 대만은 중국 충칭(重慶)에서 경제협력기본협정(ECFA)을 체결함에 따라 한 중 FTA 역시 최근 들어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중국은 한국의 제1위의 교역상대국이고, 2010년 5월 기준으로 중국은 한국의 제1위의 수출상대국이며, 한국은 중국의 제2위의 수입대상국이다. 또한 대만은 대(對)중국 교역에 있어서 한국과 교역구조가 비슷하고 경쟁구도를 유지하고 있다. 그렇기에 2010년 6월에 체결한 중 대만 ECFA는 중국과 한국의 교역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칠 것이며 한국의 국내산업과 중국과의 교역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국과 대만이 체결한 ECFA의 배경 및 진행과정과 협상의 핵심내용에 대해서 살펴보고, 현재 논의되고 있는 한 중 FTA에 대해서도 그 정파와 예상쟁점 사항을 분석해 보도록 한다. 이를 통해 중 대만 ECFA가 한국의 대(對)중국 교역에 미칠 영향과 한 중 FTA에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한국과 중동 지역 간 상품교역 활성화를 위한 무역구조 연구 (An Analysis on the Trade Structure between Korea and Middle East for Increasing Trade.)

  • 안태건;김성룡
    • 통상정보연구
    • /
    • 제19권2호
    • /
    • pp.47-6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동지역의 국가간의 무역을 증대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동의 무역패턴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동시장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한국과 중동의 무역집중도와 무역특화도를 산출하여 한국과 중동의 무역 구조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현재의 무역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발전가능성이 있는 품목군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들 품목들 가운데 우리나라의 대중동지역 수출 활성화를 할 수 있는 품목군을 찾고 신시장 개척 및 미래성장동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상품교역을 진흥하기 위한 방안으로 FTA체결과 현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늘리고 진출 시 빠른 적응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과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란의 경제제재 해제와 함께 찾아온 새로운 중동 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는데 이바지 하고자 하였다.

  • PDF

곡물 교역시장의 불완전 경쟁상태의 정태적 수준 및 동태적 변화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Static Level and Dynamic Trend of Imperfect Competitiveness in Grain Trade Market)

  • 권대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788-7793
    • /
    • 2015
  •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시장의 불완전 경쟁 구조에 따른 시장 불안정 상태에 대한 우려가 가장 크게 제기되었던 시장인 곡물 교역시장에서의 연도별 불완전 경쟁의 수준과 함께 그 동태적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시장구조 접근법에서 많이 사용되어왔던 상위 k개 국가 중심의 집중률 (Concentration Ratio: CRk)지수의 곡물 교역시장 분석상의 한계점을 명시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로렌츠 곡선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전체 국가들의 분포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니 불균등 지수 (Gini Inequality Index)와 엣킨슨 불균등 지수 (Atkinson Inequality Index)를 활용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적 분석결과, 연도별 수출과 수입간 불균등도 차이는 분석기간 내내 통계적으로 유의수준의 양의 추정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2002-14년 기간 동안 이러한 불완전한 경쟁 상태는 2001년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심화되었다. 수출 집중도가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소폭이나마 하향세를 나타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곡물 교역시장의 불완전 경쟁상태가 심화되고 있는 것은 수입의 국가별 분포가 수출의 경우 보다 현저하게 균등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절충교역 획득기술 활용성과 정량화를 통한 성과관리 제고 방안 (Improvement on performance management through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for technologies acquired from defense offset program)

  • 박태완;정태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609-61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절충교역을 통해 획득된 국방과학기술에 대한 정량적 성과평가 모형을 제시하였다. 먼저 절충교역 및 성과 관련 전문가 총 128명의 설문 및 의견수렴을 통해 개발 시 고려해야할 개발 중점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이후 전문가 49명을 추가 선정하여 국방 절충교역으로 획득 가능한 4개 기술분야(연구개발, 창정비, 군수장비 성능개량, 부품제작)에 대한 기술분야별 성과항목 도출, 성과항목별 가중치 산출 및 성과 정량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연구수행 결과, 다음과 같은 제도 발전사항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현행 국방 절충교역 제도의 미흡사항으로 지적받고 있던 기술 획득단계 이후의 성과평가 업무절차를 개발 및 개선시킬 수 있다. 둘째, 절충교역 획득기술 활용성과의 객과적 평가를 통해 우수 활용기관에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써 제도 선순환 구조 정립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절충교역 획득기술 활용성과의 객관적이고 정량적 측정 도구를 마련함으로써 제도의 성과를 대내외로 홍보할 수 있다. 이러한 제도 발전사항은 국방 절충교역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및 성과 창출 촉진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농촌중심지의 경제기반 : 청원군의 사례연구

  • 김학훈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회술표회 논문집
    • /
    • pp.196-201
    • /
    • 2003
  • 농촌 지역의 중심지는 일반적인 도시와 마찬가지로 주변 지역의 주민들을 위한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중심지의 기능과 배열 원리를 설명하는 중심지 이론은 중심지의 계층 구조를 밝히고, 계층에 따른 서비스 기능의 종류와 규모를 결정하며, 나아가 배후지와 시장권의 크기를 추정하는 데 많은 기여를 했다. 그러나 중심지와 외부 지역(또는 배후지)과의 교역에 의한 경제 성장과 전체적인 경제구조적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경제기반이론이 더욱 유효하다. (중략)

  • PDF

해운이슈 - 미국발 금융대란의 여파로 세계 정기선시장 침체 지속 - 북미 및 유럽항로 취항 유수 정기선사들 구조조정 -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제11호통권57호
    • /
    • pp.16-23
    • /
    • 2008
  • 미국발 금융대란으로 야기된 세계 금융시장 불안이 장기화되면서 세계경제가 동반침체의 늪에서 허덕이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교역량이 급격히 둔화되면서 부정기선 해운시장은 5개월 사이에 사상 최대의 호황에서 불황으로 전락했으며, 정기선 해운시장도 침체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음은 정기선 해운시장의 변화와 선사들의 위기극복을 위한 구조조정 등을 정리한 것이다.

  • PDF

남북 농업부문 교역이 동북아(한·중·일)의 교역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Inter Korean Agriculture Trade on Trade Structure in Northeast Asia)

  • 조성택;김기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59-469
    • /
    • 2021
  • Until now, research on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economic integration has been limited to the areas of the two Koreas. However, Korea is connected with many countries in Asia through the global value chain. Thus, if inter-Korean trade deepens, it may affect the trade structure of neighboring countries. In order to establish a specific inter-Korean economic integration policy when North Korea becomes a normal state in the future, an analysis that reflects the trade structure including Northeast Asia must be precede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impact of inter-Korean trade on Korea, China and Japan was analyzed using the international input and output table containing actual trade data. The scope of analysis was limited to agriculture, reflecting North Korea's demand for economic cooperation. The results show that trade in the agricultural sector between the two Korea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f production and value added. but when China and Japan participate in trade with North Korea, the production effect was calculated to be as high as 4 million dollars in Korea and up to 10 million dollars in Japan. And China showed up to 520 million dollars. In addition, the value-added effect was calculated up to $1 million in Korea, up to $4 million in Japan, and up to $250 million in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