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rigin-Destination analysis of KORUS trade volume using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를 활용한 한-미 교역액의 기종점 분석

  • 강효원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시그랜트)
  • Received : 2016.08.19
  • Accepted : 2016.09.11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Government of Korea has always focused on developing and maintaining a surplus on the balance of payments as a successful trade policy. The focus should now be on spatial information hiding, revealing patterns in trade activities that enable viewing trade in a more sophisticated manner. This study utilizes trade statistical data such as the United States-South Korea imports and exports from 2003 to 2015 officially released by the two countries. It allows us to analyze and extract the spatial information pertaining to the origin, transit, and destination. First, in the case of export data to the United States, the origin of the trade goods has expanded and decentralized from the metropolitan area. With regard to transit, in 2003, most of the exported goods were shipped by ocean vessels and arrived at the ports on the western coast of the United States. However, trade patterns have changed over the 12-year period and now more of that trade has moved to the southern ports of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destination, California and Texas were importing goods from South Korea. With the development of the automotive industry in Georgia and Alabama, these two states also imported huge volumes of automobile parts. Second, in case of import data, most imported goods from the United States originated from California and Texas. In this case, 40% of goods were shipped by air freight and arrived at the Incheon-Seoul International Airport; most ocean freight was handled at the Port of Bus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compose the spatial information from the trade statistics data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to depict visualized bilateral trade structure by origin, transit, and destination.

그 동안 우리나라 정부의 통상분야에 대한 관심은 한 해 동안 교역활동의 흐름을 통해 최종적으로 산출된 숫자의 적(赤)과 흑(黑)이 의미하는 부호(+, -)에만 관심을 가졌다. 이제는 교역활동의 결과를 대리하는 그 숫자가 의미하는 숨어있는 공간정보에 주목할 때이다. 본 연구는 한미 양국이 제공하는 교역액 데이터의 공간정보를 활용하였다. 2003년부터 2015년까지 12년간의 교역데이터의 분석결과 분해가 가능한 공간정보를 교역물품 발생지, 경유지 그리고 최종목적지로 구분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첫째, 일반적으로 대미 수출을 뜻하는 한국발 미국향 화물에 대한 공간정보의 특성을 2003년과 비교했을 때 2015년에는 발생지 측면에서 탈수도권화 현상이 나타났다. 국내 경유지 측면에서는 해상 및 항공화물의 비중이 각각 약76%, 23%로 분석되었다. 미국 경유지의 경우 미서부 항만의 경유비율이 줄어들고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미남부 항만의 경유는 증가하고 있었다. 화물의 최종목적지는 캘리포니아 주로의 수출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텍사스와 조지아 주의 화물성장세가 증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반적으로 대미 수입을 뜻하는 미국발 한국향 화물의 공간정보특성을 살펴보면 발생지 측면에서는 캘리포니아와 텍사스 주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미국 내 경유지인 항만과 공항의 경유비율은 약60%, 40%의 비율로 항공화물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의 경유지 중 공항은 인천공항이 절대적이었으며, 항만의 경우는 부산항의 점유율은 68.2%를 기록하여 12년 전과 큰 변화는 없어 영향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평택당진항과 인천항과 같이 수도권에 인접한 항만의 성장세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12년간 한국과 미국의 교역액 데이터의 공간정보를 분해하여 양국의 교역구조를 발생지, 경유지, 목적지로 구조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미, 박동주, 고영승(2008), "철도의 수송경쟁력 분석 : 컨테이너, 양회, 철강을 중심으로",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철도학회, pp.2323-2338
  2. 김은수, 이수영(2016),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와 변이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2집, 제1호, 한국항만경제학회, pp.135-149
  3. 김한수(2015), "KTX 기종점 통행 전수화 방안 연구",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철도학회, pp.41-43
  4. 백승걸(2004), "전국 통행기종점 자료를 이용한 지역 간 상호관련성 분석", 국토계획, 제38집, 제3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3.6, 147-158
  5. 이경순, 조동오, 김정인, 심동희, 함경희(1986), 내륙 화물의 해송전환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6. 이상윤(2013). "지리정보시스템을 사회과학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한국사회학회, pp.483-492.
  7. 이충배, 김정환(2014), 우리나라 글로벌 자동차 물류기업의 발전 전략 -현대글로비스 사례 중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집, 제2호, 한국항만경제학회, pp.145-172
  8. 하충룡(2015), 한.미FTA 특혜관세분쟁을 대비한 미국판례의 동향과 함의, 통상정보연구, 제17권, 제3호, 한국통상정보학회, pp.203-222
  9. 한국조세재정연구원(2013), 주요국의 수출입신고서식 비교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10. 홍승용, 이정욱, 김형근(1997), 수출입 항만물동량 기종점(O/D)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1. Bae S. H. (2013). A Comparative Study on the Foreign Corrupt Practices Act (FCPA) and Article 21.6 of the KORUS FTA,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Vol.15, No.1, pp.287-307
  12. Chandra, S., Ghosh, D., & Sriastava, S., K. (2016). Outbound logistics management practices in the automotive industry: an emerging economy perspective, Decision, 43(2), 145-165. https://doi.org/10.1007/s40622-015-0122-0
  13. USITC(2016), Economic Impact of Trade Agreements Implemented Under Trade Authorities Procedures, 2016 Report, 2016.06, Publication No:4614, Investigation No:332-555, USI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