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 역량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25초

메이커 교육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 교구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Educational instruments of Physical Computing for Maker Education)

  • 이창윤;안재현;서태균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57-160
    • /
    • 2018
  •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과 함께, 4차 산업 혁명에 관한 사회적 논의가 이슈화됨에 따라 교육 학계도 변화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식기반 사회에서 컴퓨터 활용 역량이 강조되면서, 코딩/소프트웨어 교육 등 테크놀로지 기반 교수학습이 교과목과 관계없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오픈소스를 만드는 사람들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생겨나면서부터, 그들을 메이커라 지칭하고 메이커를 양성하기 위한 운동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학계에서도 이 운동을 수용하려고 시도하였으나, 관련 연구에서는 기존 테크놀로지 기반 교수학습과 구분되는 특성을 명백하게 보여주지 못했다.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의 시론적 연구로서, 이재호와 장준형(2017)이 제안한 메이킹 역량을 중심으로 이를 키워줄 수 있는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조사하였고, 동시에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초기에 제안된 교구의 활용방안은 현장 교사 3인의 전문가 검토를 받았으며, 그들이 제공한 조언을 참고하여 수정하였다. 보완된 활용방안은 메이킹 역량을 구성하는 분석역량, 설계역량, 구현역량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메이커 교육의 이론적 발전과 확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PDF

오산대학 재학생의 직업기초역량 향상을 위한 방안 (Improvement Program of Osan College Students' Vocational Basic Ability)

  • 박종찬;김동호;이연희;김영길;김지범;이영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전문대학교육위원
    • /
    • pp.59-69
    • /
    • 2007
  • 본 연구는 산업체 임직원 및 오산대학 교수들이 학생들에게 우선 요구하는 직업기초역량이 무엇이고, 우리나라 대학들에서는 이러한 직업기초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향후 오산대학 재학생의 직업기초역량 향상 방안을 모색, 이를 대학의 정책에 반영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승환(2005)이 개발한 직업기초능력 진단지를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각 학과에 협조문과 함께 배포하여 이를 회수하였다. 그리하여 설문에 응한 총 292명의 산업체 임직원 및 51명의 교수들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한편, 우리나라 대학들에서 재학생의 직업기초역량 향상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를 문헌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각 직업기초역량별 하위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 대비 현재수준을 통해 개발이 요구되는 직업기초역량을 산업체 임직원들의 담당업무별로 알아본 결과, 사무 관리직은 '자기개발 관리능력',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영업서비스직은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 관리능력'을, 기술 생산직도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 관리능력'을 기타 업무의 경우도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 관리능력'을 부족한 역량으로 꼽았다. 둘째, 교수들이 속한 학과의 계열별로 볼 때, 공학계열은 '기획능력', '자기개발 관리능력', '문제해결능력', '비즈니스 예절'을 그리고 인문사회계열은 '자기개발 관리능력', '기획능력', '문제해결능력', '비즈니스예절', '직업윤리'를, 기타 계열은 '문제해결능력', '기획능력', '직업윤리', 자기개발 관리능력', '정보능력'의 순으로 부족한 역량으로 꼽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오산대학 각 계열 재학생들에게 우선 요구되는 직업기초역량 둥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인터넷 기반 교육용 컨텐츠 개발 및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Internet-Based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Teacher Librarian's Competency)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55-373
    • /
    • 2009
  • 최근 학교도서관에서는 도서관협력수업을 통해서 교과학습과 동시에 정보활용능력을 신장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즉, 수업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사서교사 양성 체제는 제도적으로 미흡하고, 커리큘럼 편성에 있어서 사서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기반의 사서교사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컨텐츠를 개발하고, 컨텐츠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터넷 기반의 사서교사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컨텐츠는 강의 전용 저작도구인 LectureMAKER v2.0으로 제작하였으며, 5점 척도의 20개 문항으로 구성된 지필 검사지로 사전 사후 분석을 실시하여 개발한 컨텐츠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레빈의 등분산 검증과 대응표본 t-검정 기법을 적용하였다.

  • PDF

교수의 연구역량과 연구비 수혜가 대학스핀오프 기업 형성 속도에 미치는 영향 (How Do Research Capabilities and Financial Resources Affect Professors' Entrepreneurship?: Using the Speed of University Spin-off Formations)

  • 조슬아;강기현;강진아
    • 기술혁신연구
    • /
    • 제19권2호
    • /
    • pp.99-128
    • /
    • 2011
  • 본 논문은 대학 교수의 스핀오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춘 연구이다. 대학스핀오프는 공공연구기관에서 창출된 기술을 사업화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가장 직접적이고 가시적인 방법이다. 또한, 개인 연구자에게 내재되어 있는 암묵적인 지식을 효과적으로 이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기술사업화 방법이기 때문에 다각도의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대학스핀오프에 대한 연구는 대학이나 정부의 정책 등과 같은 거시적 관점의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교수 등 개별 연구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교수의 대학스핀오프 형성을 촉진 하는 요인들을 자원기반관점을 중심으로 파악하고 그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2005년에서 2010년 사이 대학스핀오프를 형성한 국내 전국 25개 대학 교수 149명의 데이터 확보하였다. 연구를 위해 각 대학의 산학협력단에서 스핀오프 형성 현황을 확보하고, 한국연구업적통합정보에서 수집한 개별 교수 데이터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화를 이룬다. 수집한 자료를 활용해 교수의 자원을 기술적 연구역량, 학문적 연구역량, 연구비 수혜로 나누어 대학스핀오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콕스비례위험회귀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교수의 연구역량과 연구비 수혜가 스핀오프 형성을 촉진 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수의 대학스핀오프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스핀오프 지원정책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예비교사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ies related to the Use of Technology)

  • 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97-606
    • /
    • 2016
  • 본 연구는 TPCK 모델을 활용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과 관련한 역량 실태를 분석하고,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통하여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들을 우선순위를 분류하여 제안하였다. C대학교 4학년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도구를 사용하여 테크놀로지 지식(TK), 테크놀로지 교수지식(TPK), 테크놀로지 내용지식(TCK),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지식(TPCK)과 관련한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하여 예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분석하고자 t검정을 실시한 결과, TK, TPK, TCK와 TPCK 각 역량 뿐 아니라 모든 17개의 세부 역량들에 대해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선적으로 집중하여 개선해야 할 세부 역량 5가지, 좋은 성과를 보이기에 유지해야 할 세부 역량 4가지, 저순위를 두어야 할 세부 역량 5가지 그리고 과잉 노력을 지양해야 할 세부 역량 3가지를 제안하였다.

간호 대학생의 시뮬레이션 학습이 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imulation Learning on Nursing Competency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시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481-488
    • /
    • 2022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학습과 간호역량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 4개 대학에서 시뮬레이션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대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시뮬레이션 수업에 대한 유용성과 중요성 인식, 만족도와 자신감, 수업방식, 설계, 그리고 간호역량을 자가보고식으로 조사했다. 시뮬레이션에 대한 유용성과 중요성 인식은 간호역량의 사정, 임상적 판단과 양의 관련성이 있었고 학습자의 만족도와 자신감은 전반적인 간호역량 및 환자안전과 양의 관련성이 있었다. 교수자의 수업방식과 설계 역시 전반적인 간호역량과 양의 관련성이 있었으며, 나이와 설계는 간호역량을 21.5% 설명하는 예측요인이었다. 간호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적용에는 참여자의 만족도와 자신감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자의 수업방식과 설계를 체계적으로 다양화 시킬 필요가 있다.

동료교수활동이 간호학과 신입생의 셀프리더십, 심리역량 및 학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er teaching on self-leadership, psychological capitals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nursing freshmen)

  • 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71-78
    • /
    • 2020
  • 본 원시실험연구의 목적은 동료교수활동이 간호학과 신입생의 셀프리더십, 심리역량 및 학업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30분간 12회의 동료교수활동 전후 측정된 설문조사결과를 SPSS 21로 기술통계, t-test, ANOVA와 paired t-test를 시행한 결과, 처치 전후 주관적 학교성적이 낮은 집단의 학업만족과, 토론 선호도가 보통 이하인 집단의 낙관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처치 전후 셀프리더십과 심리자본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p=.002, p=.044), 심리자본의 하위영역 중 자신감과 복원력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6, p=.015). 결론적으로 동료교수활동은 간호학과 신입생의 셀프리더십과 심리역량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간호교육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동료교수활동을 적용하는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공대 여대생의 취업 활성화를 위한 교수 지도 가이드라인 개발 (Development of Professor's Career Guidance for Promoting Employment of Engineering Female Students)

  • 김경아;김지심;문남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80-18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진로를 지도하는 학과 교수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진로지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현황을 파악하고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7명의 공과대학 교수로 구성된 전문가그룹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공과대학 여대생들에게는 효능감 향상, 전공역량 강화, 실무역량 증진, 기초역량 함양, 구체적인 취업정보 안내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결과는 가이드라인의 5대 설계요소로 활용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년별 지도 항목과 5대 요소를 체크하고 피드백하며, 실제 진로지도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활용양식을 제안하였다. 2회의 전문가회의를 거쳐 가이드라인과 활용양식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수정 보완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이드라인이 잘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초등교사의 정보 교수효능감 측정 검사도구 개정을 위한 방향성 고찰 (A directional study of revising infor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이소율;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219-220
    • /
    • 2017
  • 2015개정 교육과정은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초등에서도 정보 교육이 실시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초등 교사의 정보 교수 역량 정도를 살펴보거나 연수 후 연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검사도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 개발된 초등교사의 정보 교수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정보 교수효능감 검사도구 개정의 네 가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PDF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에 기반 한 학생 인성 역량 평가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 on Student's Character Competence based o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Instruction Model)

  • 전란영;김희화;남정희;강유진;손정우;박종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19-43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육에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 적용에서 학생의 인성 역량을 평가하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문헌 분석을 통해 개방성, 공감, 관용, 배려, 성실, 자기조절, 정직, 책임, 협력의 9개 인성 역량 구성요인을 추출하였다. 기존 인성 역량 관련 척도를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를 통해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에 기반 한 학생 인성 역량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88개의 예비문항에 대한 1차 조사를 하였고,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재구성된 문항의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 71명을 대상으로 2차 내용타당도 조사를 하였고, 해당 문항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평정자간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평가 문항의 내용타당도 및 평정자간 신뢰도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53문항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도구는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을 통한 학생의 인성 역량 변화를 알아보고 과학교육에서 학생 인성 역량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