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수학습 콘텐츠

Search Result 602,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Learn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ICT Education Integrated Support System (ICT 교육 통합 지원시스템을 위한 교수,학습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Lee Jongmin;Kwon Hyukseung;Kim Kapsu;Lee Suk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70-72
    • /
    • 2005
  • 최근 초고속 통신망과 같은 우리나라의 발달된 인터넷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e-Learning 콘텐츠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에 개발된 콘텐츠와 평가를 포함한 교수,학습 활동 계획을 관리할 수 있는 ICT 교육 통합 지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시스템 중 교수,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미 개발되고 중앙교수학습센터 및 시,도 교수학습 지원센터 등에서 제공되고 공유되는 학습자료를 활용하기 위해 KERIS 등에서 제시한 표준을 본 시스템의 설계에 반영하였다. 교수,학습 콘텐츠 관리 모듈은 학습객체를 분류 저장 데이터베이스화 하였으며 실제 활용이 매우 쉬어 특별한 훈련이나 교육을 받지 않아도 기초적인 수준의 PC 활용 능력만 있다면 누구나 쉽게 교수,학습 콘텐츠를 수집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은 기 개발된 학습객체의 재사용으로 인한 효율성 증가는 물론 교과, 단원 학습 주제별로 구조화하여 저장 관리하여 교사의 교수활동 준비 시간을 줄임으로써 실제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여 ICT 활용 교수,학습 활동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sign of a System for Collecting and Utilizing Student Feedback Information in Asynchronous Indivisual Learning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의 피드백 정보 수집 및 활용 시스템의 설계)

  • Tae-Hwan Kim;Dae-Soo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681-682
    • /
    • 2023
  •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은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에 학습을 할 수 있고, 공간의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수업이 아니다 보니 수업 콘텐츠에 문제가 있거나, 설명이 부족한 부분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이 교수자에게 전달하는 것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업 콘텐츠를 듣는 학습자들의 피드백 정보를 교수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학습자에게는 온라인 녹화 수업 콘텐츠를 정지했을 시 정지 사유를 조사하고, 정지 사유와 정지한 콘텐츠의 시간 정보를 교수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교수자에게는 학습자들의 온라인 녹화 수업 영상의 피드백 정보와 정지시간을 교수자에게 그래프로 나타내어 한눈에 수업 콘텐츠의 문제점이 많은 부분을 파악할 수 있게 해서 전달한다. 교수자는 피드백을 반영해 콘텐츠를 재업로드하여 질 높은 수업 콘텐츠로 인해 학습자들은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A Case Study on Operational Strategy for CTL in College (전문대학 교수학습지원센터의 운영 전략 사례 연구)

  • Choi, seo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5-426
    • /
    • 2018
  • 본 연구는 전문대학 교수학습지원센터의 운영 전략 사례를 통해 우수 교수학습지원센터의 특징을 밝히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교수학습의 질 제고와 교수학습지원센터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Pedagogy of E-Learning in Engineering Classes Using Multimedia Contents: Case of K University (멀티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공과대학 이러닝 교수법 연구: K대학 사례)

  • Hwang, Suk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3 no.6
    • /
    • pp.14-23
    • /
    • 2010
  • Whether the engineering department of universities employs ideal usage of e-learning or not needs to be investigated as many engineering departments diversify the use of the e-learning elements for educational purpose. Apply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haracteristics would lead to better strategies which are applied to development of contents and deployment of the e-learning course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approaches of the usage of e-learning elements used by some instructors who use multimedia contents in offlin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e-learning elements assist the face-to-face course and the interactions are manifested in the classroom rather than in online setting. Lecture, hands-on-practice, simulation, and PBL(Problem-based learning) are turned out to be the maj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study signifies the need for use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the instructors and provision of PBL environment.

  • PDF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Enhancing Learning Motivation (학습동기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모형개발)

  • Choi, seo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83-28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동기 유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교수학습설계와 학습모형, 참여식 동기 유발 콘텐츠를 바탕으로 동기유발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을 제안하였다.

  • PDF

The Effects on Cognitive Psychology in Using Multimedia Teaching-Learning Contents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콘텐츠의 인지심리학적 효과)

  • Kwon Choo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5 no.5
    • /
    • pp.273-280
    • /
    • 2005
  •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 a school class is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 of a information science in the 21 century. Recently, the instruction in a school class use a multimedia teaching-learning contents chiefly. A great number of teachers don't recognize a foundation of the effects on teaching-learning contents utilizing multimedia. In this paper, I propose to analyze and verify the foundation of effects on cognitive psychology of multimedia teaching-learning contents. The principal method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and analyze researches of scholars or literature study largely. In this paper, the foundations of effects on multimedia teaching-learning contents are following: the dual encoding of information process, the skill on direction and speed-regulation of learning, and the others educational strength. The theoretical conviction in multimedia teaching-learning contents is operated as the confidence of education contents & media utilized by teachers and learners, and is anticipated as the growth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arning activities.

  • PDF

A Study on the Actual Utilization of Strategy for Development of Learning Motivation-Focused on a Case of K College (학습동기유발전략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 Choi, seo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81-282
    • /
    • 2016
  • 교수자의 학습동기유발에 대한 수업에서의 학습동기유발전략 활용 실태를 분석하여 교수자는 효과적이고 전문적인 강의를, 학습자는 자기주도적 학습동기 향상을 통하여 교수학습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Online Contents Instructional Design Model of Open Secondary High Schools (방송통신고등학교 온라인 콘텐츠 교수설계 모형)

  • Kim, Sung-mi;Lee, Eu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65-166
    • /
    • 2016
  • 방송통신고등학교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를 맞아 방송고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온라인 콘텐츠 설계를 위해서 콘텐츠 질 분석, 수업 구조 분석, 화면 로그인 경로 분석 등을 통해서 시행하고 방송고 온라인 콘텐츠 교수설계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도출한 온라인 콘텐츠 교수설계 모형은 먼저 크게 수업 설계, 수업 실행, 수업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수업 설계는 학습자 분석, 교수환경분석, 교수 분석, 교수 전략개발의 단계를 가지고 있다. 수업 실행은 수업에 대한 동기 유발, 선수학습 회상, 수업 목표 제시, 수업 내용 제시 및 학습 안내 제공, 수행 행동 유도 및 피드백 제공, 목표 수행 평가, 파지 및 전이 단계를 가지고 있다. 수업 평가는 최종 수업 평가 및 최종 피드백 제공 단계를 가지고 있다.

  • PDF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he algorithm of collective intelligence (집단 지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학습 콘텐츠 추천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Geun-Ho;Kim, Eui-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241-243
    • /
    • 2014
  • In this study, that by applying the algorithm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helping to select the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methods of learner and teacher, develop a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the teacher and the learner promote effective learning, I have intended to And for this reason can be applied to education recommended system to be applied to a movie or shopping mall recently, at the time of selection, it is appropriate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such as the level of the learner, learning environment, learners the them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o provide a teaching method and learning method, the learner can to find the learning method appropriate for the user, and a more efficient, Professor system that can save time to design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I developed, The utility and accuracy of the learning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developed finally, after the data is accumulated in the use of a continuous schedule of the learner and a teacher, would need to be validated through the rating.

  • PDF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of the problem based method and the project team teaching method in engineering education- A case study (공학교육에서 PBL 교수법과 Project-team 교수법의 학습효과 분석-사례연구)

  • Kim, Jae-Saeng;Hyun, Je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71-472
    • /
    • 2019
  • 많은 나양한 교수법들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공학 교과목에서는 PBL교수법과 프로젝트 팀 교수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8년 2학기 공학 프로그래밍 교과목을 3개를 선정하여 PBL 교수법과 프로젝트팀 교수법을 적용하였고, 두 교수법의 학습만족도, 교육성장도, 학업성취도를 설문조사하여 학습효과를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는 저학년은 PBL법이, 고학년은 프로젝트 팀 교수법이 학습효과가 좋았다. 따라서 같은 프로그래밍 교육이지만 학년에 따라 교수법을 달리 선택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