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수지향

Search Result 21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수학교사의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 Bang, Jeong-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331-347
    • /
    • 2001
  • 수학교육 개혁에서 강조되고 있는 교실 문화의 변화는 교사가 그 개혁 방향을 이해하고 자신들이 지향하는 가치와 우선 순위를 수업에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 (교사의 학습 및 교수 경험, 지식, 신념, 개별인성특징) 및 사회문화적 변인 (문화적 ${\cdot}$ 교육적 규준,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교사교육, 전문적 모델과 교사공동체)을 찾아내고 이를 기초로 하여 수학 교사의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발면담 질문을 제시한다.

  • PDF

Identific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Teaching Presence, Approaches to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Online Continuing Education Learners (원격평생교육 학습자의 목표지향성, 교수실재감, 학습접근방식,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Joo, YoungJu;Chung, Aekyung;Choi, Mira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6 no.2
    • /
    • pp.137-14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goal orientation, teaching presence, approaches to lea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study, the web survey was administered to 235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centers of A, B, and C university in South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mastery-approach goal and teaching presence had positive effects on deep approach. Second, mastery-approach goal showed negative effects on surface approach, while teaching presence did not. Third, deep approach had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Fourth, surface approach had negative effects on satisfaction. Fifth, deep approach showed positive effects. Last, surface approach showed nega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study propose the constructive foundation for providing strategies raising th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객체지향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두리틀(Dolittle)'의 수학 교육-학습 활용 방안

  • Hwang, U-Hyeong;Kim, Gyeong-M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215-240
    • /
    • 2005
  • 본 논문은 최근 일본에서 개발된 객체지향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두리틀(Dolittle)'을 소개하고, 두리틀을 수학 교수-학습에 활용하기 위한 최초의 연구이다. 두리틀은 LOGO의 거북 그래픽스(Turtle Graphics)와 인크리멘탈(Incremental) 프로그래밍 방식, 즉각적인 피드백 등 많은 교육적 이점을 수용하고, 현대 프로그래밍의 고급 기능들을 프로토타입(Prototype) 방식을 통해 어린 학생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 텍스트기반의 한글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본 논문에서는 LOGO와 두리틀의 활용 비교를 통하여 두리틀을 소개하고, 두리틀을 이용한 기하와 함수의 교수-학습을 위하여 연구자가 고안한 기하판과 좌표판, 삼각함수판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 그 교수-학습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Exploring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Professors (직무능력표준의 교육과정도입에 대한 전문대학원 교수자 역량)

  • Kim, Jin-Hee;Do, Jaewoo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6 no.10
    • /
    • pp.145-153
    • /
    • 2016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raw competencies of faculty members at graduate school faculty to implements the NCS-based curriculum. A set of competency was deductively derived from a total of three professors and consultants with more than ten-year experiences and has been involved in developing the college curriculum. The political endeavors of the Korean government toward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as a movement to the NCS-based curriculum. The requirements for the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and education system as well as cooperation among faculty, industry, region and development part of NCS were suggested for the activation of NCS based education and the operation of NCS. However,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in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the NCS-based curriculum is the role of faculty members. Therefore, it is an urgent issue to equip the faculties with required competencies. Result showed that the competencies required professors at graduate school for the NCS-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areas: marco-level curriculum development; micro-level course design; knowledge across areas; and attitude across areas.

한국 유가공업의 현황과 유통구조 개선 방향

  • Korea Dairy Industries Association
    • 우유
    • /
    • s.55 winter
    • /
    • pp.39-47
    • /
    • 1993
  • 한국유가공연구회는 지난 10월 29일 충남대 농과대학 강당에서 한국유가공협회 후원으로 제37회 추계유가공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우유와 유제품의 소비자 지향주의적 유통관리(박종수 충남대 교수), 한국 유가공업의 현황과 유통 구조 개선방향(백종희 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국산원유, 시요 및 가공유제품의 L. monocytogenes 오염(박경식 동신 보건대 교수), 유지방구막의 생성, 구조, 기능(Kanno. C 일본 우도궁대학교수)등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본지는 이중 ‘한국 유가공업의 현황과 유통구조 개선방향’을 전재한다.

  • PDF

Exploring Competencies of Professors in NCS (직무능력표준 운영을 위한 교수자 역량 탐색)

  • Kim, ji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69-170
    • /
    • 2016
  • 평생학습사회를 지향하는 교육정책이 고등교육의 변화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그 중심에 국가직무능력표준이 있으며, 교육과 산업현장에 필요한 역량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다양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NCS의 연구가 교육과정개발 사례에 초점을 두고 있는 한계점을 지적하며, 지속가능한 NCS의 운영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전문가인 교수자에 두고 논의한다. 이를 위해 교수자의 역할과 역량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직무역량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자질을 인적자원개발(HRD)관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Educational Performance Utilizing Project-Based Learning: Focused on the 3P Model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성과 영향 변인 규명 연구: 3P모형을 중심으로)

  • Kim, Dongsim;Jo, Hyunjeong;Kim, Woocheol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2 no.2
    • /
    • pp.275-291
    • /
    • 2020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instructor support, problem solving, collaborative skills, and course satisfaction amo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roject-based learn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researchers have conducted surveys between June and December in 2019. A total of 283 cas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study,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instructor support have positive effects on problem solving and course satisfaction. Instructor support has positive effects on collaboration skills, and problem solving has positive effects on collaboration skills and course satisfaction.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 solving in the relationship among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instructor support, collaboration skills, and cours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path between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A conceptual model of Competency-based instruction-learning environment and its effects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의 원리와 효과성)

  • Lee, Myu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163-167
    • /
    • 2012
  • 이 연구는 실무능력이 중시되는 맥락에서 유용한 능력기반 학습환경의 구축방안을 모색해보고, 그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교수설계 패러다임의 발전동향을 토대로 능력기반 학습환경 구축원리를 도출하고, 이른 토대로 일반대학의 교직과목의 하나를 선정하여 구체적인 교수학습 환경을 개발하고, 기본적 실험설계의 틀에 그 효과성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원래 해당 과목이 지향한 3개의 능력 중 2개 능력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향상의 가능성을 보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 학습환경 모형의 정련화와 아울러 효과검증 방법론을 보다 정련화하고, 표본수 증대를 통한 통계학적 검증이 요청된다.

  • PDF

Development of Face-To-Face Learning Supply System for Cyber Education (사이버 교육을 지향한 대면학습 지원 시스템 개발)

  • 홍성준;양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2.06a
    • /
    • pp.229-238
    • /
    • 2002
  • 본 연구는 기존의 대면학습체계에서 가상교육체제로 변화되고 있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대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점진적으로 교육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안으로써 인터넷을 기반 대면학습 지원 시스템 제안 한다. 가상교육체제는 고도의 정보 인프라와 학습자 및 교수자 모두에게 일정수준 이상의 정보기술이 요구되고, 실험실습, 실기교육 등과 같은 참여교육에 제한이 따르며, 교육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수반되는 비정형적 교수-학습 활동들을 수용하는데 교육컨텐츠 및 운영 시스템에 대한 정교한 설계 및 준비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교육체제의 문제점과 기존 면대면 학습체제의 보완을 위한 방안으로써 교육체제에서 수반되는 비정형적 교수-학습 활동 요소들을 정보시스템에서 운영이 가능한 정형화 프로그린 및 프로세스로 전환하여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대면학습 지원시스템은 교수 및 학습 활동에 요구되는 전반적인 자료들을 교수-학습 지원 프로그램 및 프로세스에서 체계적으로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도록 모듈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