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Professors

직무능력표준의 교육과정도입에 대한 전문대학원 교수자 역량

  • Kim, Jin-Hee (Dept. of Content Convergence, Graduate School of Creative Industry, Andong, National Univ.) ;
  • Do, Jaewoo (Dept. of Educational Psychology & Counseling, University of Tennessee)
  • Received : 2016.08.15
  • Accepted : 2016.09.05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raw competencies of faculty members at graduate school faculty to implements the NCS-based curriculum. A set of competency was deductively derived from a total of three professors and consultants with more than ten-year experiences and has been involved in developing the college curriculum. The political endeavors of the Korean government toward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as a movement to the NCS-based curriculum. The requirements for the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and education system as well as cooperation among faculty, industry, region and development part of NCS were suggested for the activation of NCS based education and the operation of NCS. However,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in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the NCS-based curriculum is the role of faculty members. Therefore, it is an urgent issue to equip the faculties with required competencies. Result showed that the competencies required professors at graduate school for the NCS-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areas: marco-level curriculum development; micro-level course design; knowledge across areas; and attitude across areas.

평생학습사회를 지향하는 교육정책이 대학교육의 변화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그 중심에 국가직무능력표준이 있으며, 교육과 산업현장에 필요한 역량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다양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NCS의 운영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전문가인 교수자에 두고 논의하였다. 연구대상은 NCS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에 참여한 교수 3명에게 면담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류분석으로 자료 분석을 유목화 하였다. 전문대학원 교수에게 필요한 역량은 교육과정 설계와 개발의 거시적 교수역량과 수업설계와 운영에 해당하는 미시적 수업 역량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이 역량들은 개발과 설계, 운영, 평가라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교수자들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본자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현장밀착형 특성화 교육을 지향하는 전문대학원 교수들의 역량 개발에 필요한 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궁극적으로 교수의 역량이 대학원 학생들의 역량의 질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