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수자 제안

Search Result 53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sign of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based on Web Learning Assessment (웹 학습 평가에 기반한 지능형 교수 시스템의 설계)

  • 최숙영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6 no.3
    • /
    • pp.71-78
    • /
    • 2001
  • Since web-based tutoring systems are generally composed with passive and static hypertext, they could not provide adaptive learn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learning ability of each student. In this study, we suggest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which grasps the learning state of student and provides each student with dynamic learning materials suitable to individual feature based on learning result. It is an agent based system, in which, courseware knowledge for learning is effectively constructed, the proper feedback according to learning assessment is inferred, and it is given to each student.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Interaction Model in a Virtual Education System (가상교육시스템에서 상호작용 모형 설계 및 구현)

  • Jeong, Eun-Seon;Song, Hee-Heon;Kang, Oh-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23-226
    • /
    • 2003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최근 가상교육이 새로운 교육방식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긍정적 효과에 대한 기대와는 달리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가상교육시스템을 활용한 교수-학습에 부담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튜터를 이용한 가상교육을 제안하였다. 튜터의 역할을 학습시스템에 투입하여,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 학습자-튜터간 상호작용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을 적용한 가상교육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A Study on Model of Learning Activity Tool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based on Mobile Learning (모바일러닝 기반에서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 활동을 위한 학습지원도구 모형 개발)

  • Bae, J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344-347
    • /
    • 2016
  • 유비쿼터스 환경 시대에 맞춰 현재 스마트 디바이스의 발달과 시장의 확대로 스마트 미디어 기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많은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또한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들은 지식기반사회의 학습도구로서 지식접근 및 창출에 중요한 요소인 인터넷과 웹을 활용하게 되고 이동성과 편의성을 추구하는 모바일기기를 통해 학습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러닝 기반의 '창의적 문제해결(CPS, Creative Problem Solving)' 모형을 활용하는 교육용 앱에 대한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육에서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돕는 모바일러닝 기반의 학습환경을 설계하는 데 있다. 제안하는 학습지원 도구는 모바일 앱 형태로 제작되며 학습활동에 있어 다양한 창의적 사고과정 활동과 표현방식, 상호작용성 등의 기능을 통해 학습자의 고차원적인 사고능력을 향상시키는 인지적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개발환경은 안드로이드용 앱 인벤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앱 인벤터 서버환경에서 제공되는 컴포넌트와 이벤트 핸들러를 이용하여 교수자모드와 학습자모드의 앱을 각각 설계하였다. 교수자 앱은 학습활동 제공을 의미하는 프로바이더(Provider) 모드 기능이 포함되며 학습자 앱은 CPS 활동을 위한 학습활동 모드 기능이 설계된다. 대부분의 창의성 관련 앱들은 그래픽작업을 통한 두뇌활동 향상 프로그램, 체험활동 위주의 프로그램 등으로 출시가 되어 있으나 교수-학습 활동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활동 관련 앱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수업활동에서의 활용측면에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on the Proper E-Learning System ECube for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자기주도적 학습환경에 적합한 이러닝 시스템 ECube에 관한 연구)

  • Lee, Tea-Won;Lee, Hyuk;Lee, Hee-Sung;Choi, Jun-Hyung;Han, Jae-Yun;Hwang, Ga-Young;Jung, Young-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294-1297
    • /
    • 2012
  • 기존의 이러닝에서는 교수자가 강의동영상을 통하여 주로 단방향으로 지식을 전달하였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논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이러닝시스템인 ECube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교수자에게는 학습자와 실시간 소통을 위한 실시간 강의기능, 전문가의 도움없이 미디어 제작과 편집이 가능한 동영상삼 저작도구인 EMC(Effective Media Contents) 솔루션을 제공한다. ECube 시스템 안의 EMC 솔루션만으로도 자막, 이미지, 퀴즈, 비디오를 합쳐 통합된 콘텐츠의 제작이 가능하다. 학습자에게는 실시간 강의를 수강하는 동안에 발표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고 자신의 학습에 관한 학습계획부터 학습성과까지의 내용을 문서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자는 과목별 포트폴리오 작성이 가능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제공한다.

Item difficultly Analysis of Learning Contents Based on SCORM (SCORM 기반 학습 컨텐츠 난이도 분석)

  • Kim, Chul-Hyun;Ko, Hyung-Dae;Kim, By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358-360
    • /
    • 2005
  • 본 논문은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평가 문항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제의 정${\cdot}$오답율을 측정하고, 코스 구성시 측정된 정${\cdot}$오답율을 근거로 문제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콘텐츠 제작에만 중점을 두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수준에 맞는 평가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다. 학습자의 수준은 기존 학습의 결과로 파악이 되며, LMS에 저장된다. 학습자가 문제를 풀면 정${\cdot}$오답 결과를 저장하여 해당 문제를 푼 여러 학습자들의 정${\cdot}$오답율을 메타데이터에 포함한다. 교수자는 학습 코스 설계 시 해당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평가 문항 검색, 새로운 코스에 포함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 코스 설계자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평가 문항을 학습코스에 적용할 수 있고, 학습자는 자신의 수준에 맞는 평가를 함으로써 학업성취도가 높아지게 된다.

  • PDF

A Study on Web Based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Collaborative Learning : A Case of Scheduling Agents Systems for Figure Learning (협력학습을 위한 웹 기반 지능형 교수 시스템에 관한 연구 : 도형학습을 위한 스케줄링 에이전트 시스템을 중심으로)

  • 한선관;김세형;조근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269-279
    • /
    • 1999
  • 본 연구는 Web상에서 원격 협력 학습을 위한 수준별 학습자 모집 스케줄링 에이전트의 설계와 구현에 관해 제안한다. 본 시스템의 구조는 원격 교사 모듈과 여러 명의 학습자, 그리고 이를 연결해 주는 스케줄링 Agents, 학습자를 진단할 수 있는 진단 Agent로 구성된다. 컴퓨터가 분산환경으로 발전됨에 따라서 교육의 변화도 가속화되었고, 지식의 공유와 정보의 공유가 원격 협력학습에 의하여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원격 협력 학습에서의 학습자는 동일한 과목과 주제에 흥미를 느끼는 여러 명의 아동이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상황이 필요하며, 선행 지식 또한 비슷한 수준이어야 동일한 주제로 학습의 효과가 있다. 이런 학습자를 판단하기 위해서 진단 Agent가 학습자를 진단하며 스케줄링 Agents의 학습자 지식에 추가한 후 스케줄링 Agents가 학습자의 기본 사항과 요구 내용을 추론하여 비슷한 수준의 학습자를 연결한다. 교사 모듈은 전통적인 ITS의 구조의 교수 학습 모듈, 전문가모듈로 구성되어 교수 학습을 할 수 있다. 이렇게 여러 명의 학습자를 연결하여 협력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간의 요구사항과 지식 수준 그리고 학습 가능한 시간이 같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 시간을 자원으로 하는 동적 자원 스케줄링(Dynamic Resource Scheduling)으로 모델링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형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실험을 통해 구현한 원격 협력학습을 위한 지능형 스케줄링 에이전트를 평가하였다.

  • PDF

Promoting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with Reflective Thinking using e-portfolio (e-포트폴리오 활용한 성찰활동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교수효능감 변화)

  • Lee, Sooyeon;Hong, Seongyo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1
    • /
    • pp.968-97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ategies for application of e-portfolio for improving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35 pre-service teachers wrote reflection papers and uploaded their data to their personal e-portfolio during 10 weeks. They participated in two teaching efficacy surveys which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using e-portfolio. Twelv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ir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e-portfolio. As the result of compared-sample tests, teaching efficacy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students' interview, the pros and cons of e-portfolio were identified and the strategies for application of e-portfolio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An Exploration of Interaction Factors and Analysis on Interaction-Level of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in University (대학 실시간 온라인 교육에서의 상호작용 요소 탐색과 수준 분석)

  • Han, Hyeong-J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4
    • /
    • pp.14-2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are the interactive factors of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in university and identify the level of interaction. This study used mixed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level, it was recognized that face-to-face education could be more interactive than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could have better interactive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 and among learners than asynchronous online education. Factors which influencing the interaction were as follows: small group activities and scaffolding, diversification of communication channels and integration of learner's question in learning content. Detrimental elements were distance felt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s, low intimacy among learners, content-focused lecture, restrictions on non-verbal communication, unstable systems and misusing microphones. The necessary factors to promote interaction are planning interactive class activities, etc. Based on the results, it was to suggest what kinds of efforts are needed to make interaction more effective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 activity, tool & system, and environment.

Analysis of Faculty Perceptions and Needs for the Implementation of AI based Adap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대학 교육에서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구현을 위한 교수자 인식 및 요구분석)

  • Shin, Jong-Ho;Shon, Jung-E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0
    • /
    • pp.39-48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level of professors'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adaptive learning and proposed how college can implement successful adaptive learning in college classes. For research purpose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162 professors of A university in capital region. As a result, professors seemed to feel pressure to provide students personalized feedback and gave concerned that students don't study enough in advance before participating in class. It was also found that professors realized that they have low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adaptive learning, while they revealed intention to make use of adaptive learning in their class. They also answered that adaptive learning system is the most helpful support for encouraging professors to apply adaptive learning in real class. We proposed what is required to encourage professor to implement adaptive learning in their class.

Design and Construction of Interactive Web-based Instruction System for Fashion Design (양방향 웹기반 의상디자인 교육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

  • Kim, LeeYoung;Park, Meegnee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7 no.5
    • /
    • pp.33-43
    • /
    • 2004
  • Fashion design education essentially requires not only a theoretical but also a practical process in which feedback comes through personal interactions between an instructor and a student. But the existing WBI system exemplifies its limitations by applying only a one-way Distance Education methodology that limit interactions based only on the theoretical texts. This study affirms that distance learning system is possible for the applied component of the fashion design curriculum as long as the specific needs of the particular program is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systematically applied. So it designed and applied an original web-based distance educational system specifically incorporating the needs of the fashion design curriculum Thus the results show that the enhanced distance education system is a tool that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with the same degree of success as the traditional classroom as long as the traditional teaching component of direct interaction necessary to the fashion design program is incorpor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