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신념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초

예비 수학교사의 수학과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 조사

  • 조정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4권
    • /
    • pp.371-394
    • /
    • 2001
  • 교사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예비 수학교사들의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은 주로 초, 중, 고등학교를 다니면서 수학 교사와의 상호작용과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경험에 의해서 형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신념은 결국 사범대학에서의 교육을 받으면서 지식의 습득 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예비수학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수학의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을 조사하는 것은 이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신념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어 바람직한 신념형성 및 장차 교사가 되었을 때 수학교실에서의 교수-학습의 새로운 전환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신념을 조사, 연구하는 것은 현재 수학과 교사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수와 학습에 대한 질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서 과학 교육 과목이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reparatory Science Methods Courses on Korean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 Park, Sung-Hye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7권2호
    • /
    • pp.33-44
    • /
    • 1998
  •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의 신념을 조사하고 이해하는 것은 과학 교수를 향상시키는데 가장 유력한 요소가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연구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교사 양성 과정중 과학 교육 과목이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의 신념 즉, 자신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교육대학교와 인천교육대학교에 재학중인 예비교사들이 한 학기동안의 과학 교육 과목을 마치고 나서 그들의 과학 교수 효능의 신념이 어느 정도 변화했는지를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예비 교사들이 학습한 과학 교육 과목은 그들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에 대한기대감을 모두 향상시켰다. 그러나 앞으로는 과학 교육 과목의 어떤 요소들이 그들의 신념을 변화시키는지 구체적으로 알기 위해 질적 연구와 함께 더욱 긴 기간 동안의 연구가 행해져야하며, 변화된 그들의 신념이 실제 초등학교 교사가 될 때까지 지속되는지를 조사하고, 지속될 수 있는 방법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수학교사의 노티싱(Noticing) 분석을 통한 중심신념 탐색 (Exploring Central Beliefs through Noticing Analysis of Mathematics Teachers)

  • 강성권;홍진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377-411
    • /
    • 2021
  • 본 연구는 교수학습 맥락에서 수학교사의 중심신념과 주변신념의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고등학교 현직교사 8명을 대상으로 가상의 수학 수업 동영상을 활용하여 수학적 신념 측면에서 교사 노티싱(noticing)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티싱하는 교사는 동영상 속 수업교사의 교수학습 문제 상황에 대하여 자신의 수학적 신념을 반영하여 비판하고, 교수학습 대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노티싱 분석은 '교수학습의 학생참여'와 같은 특정 노티싱 주제에 반영된 교사들의 수학적 신념을 비교하여 교사 개인의 상대적 중심신념과 주변신념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노티싱을 활용하여 교수학습 맥락의 제약조건에서 수학교사의 중심신념과 주변신념을 추출하는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부가적으로 수학교사의 교수학습-의사결정-전문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Perry의 인식론적 신념 발달도식의 수학교육 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erry's Epistemological Development Scheme in Mathematics Education)

  • 이규희;이지현;최영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4호
    • /
    • pp.683-700
    • /
    • 2016
  • 본 연구는 인식론적 신념 발달을 위한 수학 교수학습 방안의 설계를 목표로 하였다. 인식론적 신념은 지식 및 앎의 본성에 관한 신념으로, 수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은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이지만, 많은 학생들이 수학 수업에 대하여 교사로부터 문제풀이 방법을 전달받는 수동적 과정이라는 이원론적 신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erry의 발달도식을 재해석하여 수학교육에서의 인식론적 신념 발달도식을 제시하고, 인식론적 신념의 발달을 유도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으로 비평형 상황과 스캐폴딩을 제안하였다. 설계 기반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설계한 교수학습 방안을 미시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수학영재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교수실험을 분석하여 논의하였다.

개방형 교수법에 의한 수학지도가 문제해결력과 신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 문성길;전평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1권
    • /
    • pp.159-170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교수법에 의한 수업이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신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수학 교수방법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첫째, 개방형 수업 집단과 일반적 수업 집단간에 문제해결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둘째, 개방형 수업 집단과 일반적 수업 집단간에 수학적 신념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개방형 교수법에 의한 수업은 일반적 수업보다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신념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법임을 시사한다.

  • PDF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과 교수 실제에 관한 사례 연구

  • 장인옥;전평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1권
    • /
    • pp.85-105
    • /
    • 2001
  • 본 연구는 수학 교육에 관심이 많은 초등학교 ‘초보 교사’와 ‘경력이 많은 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과 신념 형성의 주요 요인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이 교수 실제에 반영되는 정도가 초보 교사와 경력이 많은 교사간에는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신념이 실제에 반영되지 못하는 주요 요인을 조사함으로써 교수 실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보 교사’와 ‘경력이 많은 교사’ 각 한 명씩을 선정하여 불변의 비교 분석에 기초한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보 교사’와 ‘경력이 많은 교사’ 모두 비슷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러한 신념이 형성된 주요 요인은 달랐다. 그리고 신념이 교수 실제에 반영된 정도에서도 차이를 보였으나, 반영시키지 못하는 주요 요인은 환경적인 요인보다는 교사 자신의 의지 부족이라는 공통된 의견을 보였다.

  • PDF

물리학습에서의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에 대한 공과대학 학생의 인식과 교수자의 기대 비교 (Comparison Engineering Students' Beliefs with Professors' Expectations about the Cognitive Beliefs and the Motivational Beliefs in Learning Physics)

  • 강유진;김지나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50-57
    • /
    • 2013
  • 공학 교육에서 물리학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공과대학 학생의 물리학습 수행과 관련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물리학습의 수행과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에 의하면 물리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은 물리학습에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공과대학 학생의 물리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에 대한 교수자의 기대와 공과대학 학생의 인식 비교를 통해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물리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의 5가지 하위 차원 중에서, 교수자의 기대와 공과대학 학생의 인식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차원은 기대 차원이었다. 교수자들은 공과대학 학생들이 물리학습에 대해서 자신감을 가지기를 바라는데 비해서, 학생들의 자신감과 기대는 낮은 수준이다. 공과대학 학생에게 물리학을 가르치는 교수자는 이러한 차이를 인식하고, 신념적 측면의 정의적 영역에 관심을 가지고 지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과대학 학생의 물리학습 수행에서의 과제 수행 능력에 대한 신념, 물리학에 대한 목적, 중요성, 흥미 등을 이끌 수 있는 교수 학습 전략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

예비.현직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창의적 교수신념의 관계에서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Divergent Thinking Attitudes in the Relationship of Pre-service and In-service Child Care Teacher's Self-Esteem and Creative Teaching Beliefs)

  • 정혜진;이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1-18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과 창의적 교수신념의 관계에서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가 예비 유아교사와 현직 유아교사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에 현직 유아교사 157명, 예비 유아교사는 244명으로 자아존중감,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 창의적 교수신념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분석은 두 집단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 매개모형을 각각 독립적으로 검증하였고, 두 집단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변인 간 회귀계수를 산출하였다. 각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적합도지수를 이용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Z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예비-현직 유아교사의 경우 모두 자아존중감이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존중감이 창의적 교수신념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현직교사의 경우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가 창의적 교수신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자아존중감이 창의적 교수신념에 미치는 직, 간접 효과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예비 교사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창의적 교수신념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없었지만, 확산적 사고 태도를 통해 창의적 교수신념을 설명하는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 해결 교수에 대한 중학교 수학 교사들의 신념 (The Middle Grade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Problem Solving)

  • 이광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85-400
    • /
    • 2007
  • 이 논문은 전미교사협회에서 제시한 수학의 문제 해결에 대한 기준과 문제 해결 교수에 관한 중학교 수학 교사들의 신념에 대하여 연구자가 직접 디자인한 설문을 시험한 연구이다. 이 설문은 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신뢰도가 있음이 판명되었다. 이 설문에 응답한 중학교 수학 교사 124명의 설문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여교사와 남교사는 문제 해결 교수에 대하여 유의미하게 다른 신념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교사들의 나이는 문제 해결 교수 전략에 대한 신념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나타났다.

  • PDF

초등 교사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과 수업 내용, 방법, 환경 측면에서의 교수 실제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elementary teachers' beliefs of science learning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in the aspects of teaching contents, methods, and learning environments)

  • 안영돈;임희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555-568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이 교수 실제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4명을 대상으로 리커트식 설문 조사와 면담을 통하여 교사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각 교사당 2차시의 수업에 대하여 실제 수업 관찰 및 수업 후 면담을 통하여 수업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에서 전통적 관점을 보인 A교사와 B교사는 교수 실제에서도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을 진행하였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구성주의적인 신념을 보인 C교사와 D교사는 교수 실제에서 교과서 내용을 재구성하고 다양한 교수 방법과 전략을 활용하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초등 교사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에는 교사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신념의 차이는 대체적으로 과학 수업의 실제와도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초등 과학수업에서 교사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의 중요성에 대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