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ting Effect of Divergent Thinking Attitudes in the Relationship of Pre-service and In-service Child Care Teacher's Self-Esteem and Creative Teaching Beliefs

예비.현직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창의적 교수신념의 관계에서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 정혜진 (인하대학교대학원 소비자아동학과) ;
  • 이완정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전공)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We investigated whether divergent thinking attitud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reative teaching beliefs among teachers. We examined differences in the mediating model we proposed in the group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child care teachers. We found differences in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child care teachers in the proposed mediating model. Especially in th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the mediating effect of divergent thinking attitudes was confirmed.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from self esteem to creative teaching beliefs and also a significant effect from divergent thinking attitudes to creative teaching beliefs. But in-service child care teachers, there was neither direct nor indirect effect of self-esteem to creative teaching beliefs. Suggestions for more studies and for better in-service education for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child care teachers are recommended for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과 창의적 교수신념의 관계에서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가 예비 유아교사와 현직 유아교사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에 현직 유아교사 157명, 예비 유아교사는 244명으로 자아존중감,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 창의적 교수신념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분석은 두 집단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 매개모형을 각각 독립적으로 검증하였고, 두 집단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변인 간 회귀계수를 산출하였다. 각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적합도지수를 이용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Z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예비-현직 유아교사의 경우 모두 자아존중감이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존중감이 창의적 교수신념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현직교사의 경우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가 창의적 교수신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자아존중감이 창의적 교수신념에 미치는 직, 간접 효과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예비 교사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창의적 교수신념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없었지만, 확산적 사고 태도를 통해 창의적 교수신념을 설명하는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진(2011). 동화와 음악을 활용한 창의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20(1), 293-316.
  2. 김애경(2001). 예비 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자아개념 및 창의성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1(2), 5-24.
  3. 김원경, 우남희(2002). 아동의 창의성에 대한 심리적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3(2), 1-16.
  4. 김호(2008). 유아의 내외적 동기 및 어머니와 교사의 창의성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3(4), 283-298.
  5. 김희태, 백영숙(2009).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교수효능감. 유아교육학논집, 13(3), 51-67.
  6. 문미옥(1999).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평정척도 개발연구. 아동학회지, 24. 5-42.
  7. 성은현(1999).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217-228.
  8. 윤영란(2002). 창의성 계발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창의력 교육연구, 5(1), 51-88.
  9. 윤정진, 정옥분(2004).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연구. 인간발달학회지, 11(2), 21-40.
  10. 윤유경(1996). 주관적 연령의 예측요인과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1. 이유미(2009).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5(2), 1-20.
  12. 정민자(2005).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창의적 특성변인간의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3. 조성연(1997). 도시와 농촌 아동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 및 어머니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2), 17-32.
  14. 홍세희 (2001).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초와 응용. 워크샵 교재. Departments of Education and Psych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15. Basadur, M., & Hausdorf, P. A. (1996). Measuring divergent thinking attitudes related to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innovation management. Creativity Research Journal, 9(1), 21-32.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0901_3
  16. Biggs, J. B., & Moore, P. J.(1993). The process of learning(3rd ed.). London: Prentice-Hall.
  17. Chan, D. W., & Chan, L. K. (1999). Implicit theories of creativity: Tearchers' perception of student characteristics in Hong Kong.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2, 185-195.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203_3
  18. Csikszentmihalyi, M. (1999). Implication of a systems perspectives for the study of creativity. In Sternberg, R. J. (ED.),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Ng, A. K. (2002). The development of a new scale to measure teachers' attitude toward students(TATS).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7(1), 63-78.
  20. Ng, A. K. (2004). Liberating the creative spirit in Asian students. Singapore: Prentice-Hall.
  21. Ng, A. K., & Smith, I.. (2004). Why is there a paradox in promoting creativity in the asian classroom? In L. Sing, A. Hui, & G. Ng(Eds.), Creativity: When East meets West(pp. 87-112). Singapore: World Scientific Publishing.
  22.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 J. :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Rudowica, E., & Yue, X. D. (2002). Compatibility of Chinese and creative personalitie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4, 387-394.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434_9
  24. Scott, C. L. (1999). Teachers' biases toward creative childre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2, 321-328.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204_10
  25. Torrance, E. P. (1963).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the ideal pupil. Teachers College Record, 65, 220-226.
  26. Westby, E. L., & Dawson, V. L. (1995). Creativity: Asset or burden in the classroom?. Creativity Research Journal, 8(1), 1-10.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0801_1
  27. Wong, W. (2006). Understanding dialectical thinking from a cultural-historical perspective. Philosophical Psychology, 19(2), 239-260. https://doi.org/10.1080/09515080500462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