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 양성교육

검색결과 506건 처리시간 0.029초

예술영재에 대한 인식 변화: 1999~2013 신문기사 내용분석을 통하여 (Change of Attitude Toward the Artistically Gifted: Seen through Newspaper Articles from 1999 to 2013)

  • 박경빈;박현진;윤혜정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5호
    • /
    • pp.731-750
    • /
    • 2013
  • 예술영재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999년 7월부터 2013년 9월까지 14년 2개월간의 국내 주요일간지에 실린 예술영재 관련 신문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5개 주요일간지의 예술영재 관련 기사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사의 건수는 모두 1,281건이 나타났고, 기사의 양은 전체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영재교육진흥법이 시행된 2002년, 예술영재학교 설립 추진 계획이 발표된 2007년, 예술영재를 비롯한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지원을 다룬 특별법 제정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된 2009년 이후 꾸준히 높게 나타났다. 예술영재 영역별 관심의 정도는 음악영재 37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무용영재 61건, 미술영재가 61건, 문학영재 21건으로 음악영재에 대한 관심이 다른 영역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분석유목별 기사의 양은 예술영재의 특성과 활동에 대한 기사 597건으로 가장 많았고, 예술영재 교육정보에 대한 기사 193건, 예술영재를 위한 사회 환경에 대한 기사 176건, 정책의 의의와 가치에 대한 기사 164건, 그리고 정책의 현황과 동향에 대한 기사 151건이었다. 정책의 의의와 가치에 대한 기사의 내용은 영재교육 예술영재교육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필요하다는 인식이었지만 과도한 교육열에 대한 우려와 예술영재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예술영재 분야별 판별 기준,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 등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며 또한 예술영재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철학 개선이 필요하다는 논지가 있었다.

REDIS를 활용한 학급경영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의 설계 (Design of Web Application Framework Using REDIS for Class Management)

  • 박준석;전석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81-390
    • /
    • 2014
  • 전통적인 학급경영시스템은 교사의 독단적인 의사에 의해 운영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자질을 갖춘 민주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학생과 교사 모두 함께 자치 규범을 만들어 스스로 학급을 운영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래서 기존의 학급 경영시스템은 이러한 다양성을 가진 오늘날의 학급에 더 이상 적합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REDIS를 활용한 학급경영 웹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REDIS는 일종의 다양한 키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소인데 보통 공유 메모리를 가진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개발될 웹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사용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최대화하도록 설계되어진다. 이러한 학급경영시스템은 프레임워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템플릿 함수들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시스템의 확장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문화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 개발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Standards for Revitalization of Cultural Property Education)

  • 안대현;홍후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3호
    • /
    • pp.150-167
    • /
    • 2021
  • 3차 교육과정 이후 중학교 역사교육은 정치사 중심으로 실시되어왔으나 많은 학생들은 역사 과목을 단순 암기 과목으로 인식하며 추상적인 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점이 역사교육과정기준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에서 문화재 교육 활성화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창의적 인재 양성과 학생 참여형 역사 수업 구현 등 문화재 교육의 유용성을 밝히고 현행 정치사 중심의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후 중학교 3학년 학생들과 사회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역사교육 및 문화재 교육에 관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학생들은 현행 정치사 중심의 역사를 학습량이 많다고 생각하며 교사들도 이에 대해 동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집단에서 역사교육에서 문화재 교육의 필요성을 공감하였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정치사 중심의 역사교육과정에서 문화재 교육을 충분히 하기가 쉽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문화재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정치사를 중심으로 구성된 현행 역사교육과정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2015 개정 역사교육과정기준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성격' 부분에서는 문화재 관련 내용을 추가할 것과 역사 자료에 문화재를 포함할 것, '목표' 부분에서는 정치·경제·사회·문화를 포함할 것과 문화재 학습을 통해 우리 민족의 전통과 문화를 계승·보존·발전시켜 나간다는 것을 추가 기술할 것,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부분에서는 소주제에 문화재 관련 내용을 추가할 것과 성취 기준에 문화재 관련 내용을 좀 더 보강할 것, '교수·학습 및 평가' 부분에서는 사료 학습에 문화재 학습을 포함할 것과 문화재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안내를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이 현재 개발 중인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다면 문화재 교육이 강화되어 보다 생동감 있는 역사교육을 학생들에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학교안전망 운영에 관한 개선방안 - 학교보안관 및 CPTED 중심으로 - (An Improvement Way of School Safety Operation Network - Centering on School Marshal and CPTED -)

  • 이세환
    • 시큐리티연구
    • /
    • 제38호
    • /
    • pp.83-107
    • /
    • 2014
  • 학교 안전망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서울시 학교보안관제도와 그 외 지역의 배움터 지킴이 사업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학교 내 및 주변의 범죄 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음을 본 연구에서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교안전망 구축 사업의 효과적인 개선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성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으로 학교 안전에 관한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을 위한 준교사급의 학교안전교사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둘째, 범죄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 환경조성을 위한 학교 안전 CPTED의 법적제정을 통해 학교 안전망 구축 사업을 실시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안전망의 실태 및 문제점을 알아보고 임시방편적인 학교안전대책이 아닌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학교안전대책방안으로 학교안전교사제도와 CPTED의 법적 제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한·중 사범대학의 교육과정과 개혁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for University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Reform between China and Korea)

  • 박성일;이재철;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139-4147
    • /
    • 2014
  • 본 연구는 한 중 사범대학들의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개혁동향을 고찰하였다. 문헌분석의 방법으로 4개 대학(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한국교원대학교, 호남사범대학교, 연변대학교)의 요람, 연구논문, 보고서들을 참고하여 세부영역별로 비교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 중 양국은 모두 목적지향형의 교원양성방식을 취하며, 기본적인 편성 운영 체제가 유사했지만, 중국의 경우 학점이수와 과목선택권 측면에서 폐쇄적인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한, 모두 교육학과 교육실습에 해당하는 학점배분이 부족하여 향후 예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이의 증치가 필요했고, 학생들의 교육과정 개혁요구를 적시에 수용할 수 있는 자체적인 상설기구의 설립이 필요했다. 양국 사범대학들의 개혁은 교육과정의 문제를 양적인 문제가 아닌 질적인 문제로 바라보고, 학생들의 자주적인 발전과 평생학습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양국 사범대학의 교육과정 개정에 효과적인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컴퓨팅 사고력의 과정중심 평가 방안 (Process-oriented Evaluation Method for Computational Thinking)

  • 이정훈;조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95-104
    • /
    • 2021
  • 소프트웨어 교육은 4차 산업혁명을 이끌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으로 주목받고 있다. 유아부터 성인까지 모두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의 목적은 단순히 프로그래밍 능력을 기르는 것이 아닌, 컴퓨팅을 기반으로 현실 세계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문제 해결 능력인 '컴퓨팅 사고력'을 기르는 것이다. 따라서 어떻게 컴퓨팅 사고력을 함양하고 평가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본 논문은 학습자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과정중심 수행평가 방식을 적용하여 컴퓨팅 사고력을 평가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내용은 컴퓨터과학·컴퓨터교육 전공의 대학 교수 5인, 컴퓨터과학·컴퓨터교육 전공 현직 정보교사 5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최종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이 문제 해결 관점에서 컴퓨팅 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Educational Psychology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이선영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231-260
    • /
    • 2017
  • 4차 산업혁명은 우리의 삶에 급진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디지털 혁명으로 불리 우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유비쿼터스 학습을 토대로 한 개별화 학습이 강조된다. 학습내용은 서술적 지식이 아닌 절차적 지식을 중심으로 구성될 것이며 학습 영역 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융합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무엇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학습자는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자기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기조절 능력과 인지적 유연성을 토대로 하는 메타인지가 중요하다. 또한,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협업 활동과 사회적 조망 능력, 사회 정서기술 역시 중요한 필수 역량이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학습자에게 개별화된 학습 내용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특성인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흥미, 호기심과 창의성을 토대로 하는 학습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이와 더불어 변화하는 교수 학습 방법에 따른 평가 양식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교육 혁신을 이끌어 나갈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수역량에 대한 재 개념화가 필요하다. 미래의 교사는 학습 현장에서 테크놀로지를 능숙하게 활용하여 창의적인 수업을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뿐만 아니라, 타 학문과의 융합을 도모하기 위한 협업 능력과 인지적 유연성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논의와 함께 교육의 변화 방향과 함께 정책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예비 가정과교사를 위한 통일대비 가정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Family Life Culture Education Program in Preparation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aimed at Pre-Service Home Economics Teachers)

  • 이윤정;김유경;송지은;안순희;이연숙;이예영;이하나;임정하;정순화;정민영;한영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5-143
    • /
    • 2017
  • 본 연구는 예비 가정과교사들의 남북한 간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도와 수용을 고양시킴으로써 중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북한의 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하여 북한의 가정생활문화의 전반적 측면들을 반영하도록 내용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교사양성기관의 가정교육과 학부학생들 3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은 15차시의 150분짜리 수업으로 구성되었다. 첫 3회의 수업은 가정생활문화와 다문화주의를 정의하고, 남북간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포함하는 도입 수업으로 이루어졌다. 이후의 9차시 동안에는 북한의 가정생활문화를 5개의 영역(소비 및 여가생활, 가족생활 및 양육, 식생활, 주생활, 의생활)으로 나누어 다루었다. 마지막 2차시 동안에는 예비교사들이 설계한 교수-학습과정안을 가지고 수업실연을 하는 시간을 가졌다.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가 실시되었으며, 전반적인 교수 효능감과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도의 변화를 대응표본 t-검증으로 검증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의 결과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의 남북한 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고양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미국 5-, 8-, 11-학년 및 대학교 학생들의 대기 중의 물 개념에 대한 직관적 해결 (A Description of American Students' Intuitive Ideas About "Water in the Atmosphere" at Fifth-, Eighth -, Eleventh - Grades, and College Level)

  • 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3-83
    • /
    • 1990
  • 이 연구의 목적은 (가)학생들의 "공기중의 물"에 대한 직관척 견해와 그 특성들을 파악하여 기술하고, (나) 나이와 학습 능력의 증가에 따른 직관적 견해의 분포 및 변화 경향의 파악 및 기술(description)에 있다. 미국 텍사스주 중부에서 36명의 연구대상 학생들이 선발되었다(5-, 8-, 11-학년 및 대학교 학생 각각 9명씩). 대학생들을 제외한 각 학년은 3명 씩의 우수, 보통 및 열퉁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연구 방법은 현상에 대한 면담법(Interview-About-Phenomena)이 사용되었다. 대기 중의 물은 7개의 종속개념(수증기, 습도, 증발, 웅결, 승화 I 과 II, 그리고 이슬점)으로 세분되어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각 종속개념마다 3개에서 7개까지 여러 직관적 견해들이 파악되었다. 학년과 학습능력이 증가 할수록 학생들은 더 정교한 직관적 견해를 보유하고 있었다. 파악된 직관적 견해들의 재구성(restructuring) 또는 보다 정교한(more sophisticated) 견해로의 변화는 종속개념에 따라 다르다. 직관적 견해들이 재구성되기 쉬움에 따라 종속개념들을 배열한 것올 "재구성 계열"(Restructuring series)이라 정의 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수증기-습도-이슬점-응결-중발-승화 I 과 II.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교수 전략 및 과학 학습교재의 고안과 개발, 과학교사 양성과정, 그리고 과학학습 평가 등에 활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중등 과학교사 양성 과정의 실태 분석 (A Status Survey on the Preservice Education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 김희백;김영수;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9-213
    • /
    • 1994
  • The quality of science teacher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the scienc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preservice education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was surveyed and th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were suggested as follows: 1. The purposes of departments of science education have to be partially revised to include oth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than preservice training courses of science teachers. 2. Training courses of integrated science teacher should be organized differently from those of physics, chemistry, biology or earth science teachers because their requirements are different. 3. Strict standards of curricula for training science teacher have to be established and applied practically. 4. The curricula of departments of science education have to reflect the contents and the changes of secondary science education. 5. More credits to subjects on the science education,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 laboratory experiments should be taken in the preservice courses of science teachers. 6. Professors at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have to use various methods to teach inquiry lab and evaluation techniques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them at the training courses. 7. The number of professors majoring in science education at the department of sciece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8. Enough research funds have to be supported to activate the researches in science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