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의 인식과 태도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34초

통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Recognition and Attitud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Integrated Education)

  • 이정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5-29
    • /
    • 2006
  • 본 연구는 통합교육의 주체인 유아교사의 개인적인 변인들이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양을 분석하여 향후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적이고 올바른 구현을 위한 기본전략 구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사경력, 직급, 학력, 통합교육, 경험, 장애관련 연수의 개인적인 변인들이 통합교육에 대안 교사의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사 개인적인 변인들은 인식과 태도의 각 하위영역별로 각기 다른 차이와 영향강도를 보이고 있으나, 통합교육 경험과 장애관련 연수경험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교사들의 현직교육을 활성화하여 장애관련 연수나 통합교육에 관한 실습 등을 실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과학교사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Nanotechnology)

  • 김현정;홍훈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633-642
    • /
    • 2010
  •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과학교사들은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으나 구체적인 정보는 옳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과학교사들의 나노기술에 대한 태도는 매우 긍정적이었으며, 나노기술의 긍정적인 면뿐 아니라 부정적인 면에 대해서도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교사들은 대부분의 나노기술 적용분야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는데, 개인정보를 담은 체내 삽입형 칩이나 나노분자 미각 향상제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과학교사들은 나노기술에 관련된 정보를 TV, 인터넷과 같은 다양한 곳에서 얻고 있었으나 교과서나 교사용 자료에서는 거의 얻고 있지 못했다. 과학교사들은 대부분의 교과서가 나노관련 개념의 소개가 부족한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교사들은 주로 교과서에 나노관련내용이 있을 경우에 이를 수업시간에 설명하고 있었으며, 수업시간에 나노관련 개념을 전혀 설명하지 않는 교사의 비율도 높았다.

교사들이 인식하는 과학과 목표의 영역별 중요도와 장애요인 (Teachers' Perceptions about Priority and Hinderance of Science Objectives)

  • 배성열;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72-58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중의 하나인 교사가 과학교육목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과학교육목표가 학교 현장에서 실현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구시의 중고등학교 교사 217명과, 초등학교 교사 76명이었는데, 연구자들이 제작한 선택형 설문지에 이들이 직접 반응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통계적인 분석은 종속변인이 서열이나 빈도인 관계로 비모수 통계법인 Friedman test, Kruskal-Wallis test, 카이자승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현재의 교육과정이 탐구, 지식, 과학적 태도, STS 순으로 중요시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들은 탐구를 가장 중요하게 다룬다고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중등학교 교사들은 지식을 더 중요하게 다룬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적 태도에 있어서도 초등교사가 중등교사들보다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 자신들은 목표들 중에서 탐구를 가장 강조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과학적 태도, STS, 지식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근무학교별로는 초등학교 교사들과 연령이 높은 교사들이 탐구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두었고, 중등학교 교사들은 과학적 태도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지식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실제 수업에서 교사들은 탐구를 가장 강조한다고 보고하였고, 그 다음으로 과학적 태도, 지식, STS의 순으로 나타났었다. 초등학교 교사들과 연령이 높은 교사들이 탐구를 더 중요시하고 있었고, 지식은 고 중 초등학교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또한 연령이 낮은 교사들이 지식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었다. 둘째로, 목표달성에 대한 장애물에 관해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급 인원수 과다로 인해서 탐구, 과학적 태도의 목표가 잘 실현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반면, 중등학교 교사들은 입시제도의 중압감과 지식의 편중으로 인해서 학생들의 흥미가 떨어졌다고 응답했다. 특히 STS 목표의 경우는 교재 내용이 목표에 맞게 엮어져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 PDF

학생의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학적 태도의 관계 분석: 자기효능감의 매개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ception Toward Mathematics Teachers' Instructional Practices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 Mediation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 황성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83-403
    • /
    • 2019
  • 본 연구는 수학 수업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교사의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TIMSS 2015에 참여한 4669명의 초등학교 4학년 자료를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변수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잠재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이 교사의 수학 수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때,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교사의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사이의 관계를 매개함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그리고 방법론적인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독서태도에 관한 암묵적 지식 연구 사서교사와 초등교사 및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acit Knowledge of Attitude toward Reading)

  • 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05-33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태도에 관한 암묵적 지식을 확인하고 독서태도를 측정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정보와 시사점을 획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5개의 초등학교에서 사서교사와 초등교사 및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과 교사들은 독서태도를 평가하는 기준과 특성을 학생의 능력, 성격 및 행동적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학생들은 독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독서를 즐거운 감정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독서능력이 하인 그룹의 학생들은 다른 그룹의 학생들보다 독서가 학업적 목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독서를 보다 부정적인 정서로 표현하였다. 학생들은 또래집단과 교사, 가족구성원을 독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책의 주제 및 내용과 더불어 책 자체의 특성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교사들은 독서태도를 책에 대한 태도와 그 책을 읽는 태도를 포괄한 개념으로 인식하였고, 독서환경과 관심, 습관, 책, 경험 등을 독서태도의 영향요인으로 언급하였다.

예비 초등 교사들의 환경에 대한 태도 연구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Environmental Issues)

  • 이은아;최성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5-140
    • /
    • 2003
  • 본 연구는 예비 초등 교사들의 환경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이러한 태도에서 비롯된 환경 관련 인식이 학교환경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예비 초등 교사들은 경제적인 성장 내지는 과학기술의 발달이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과 환경보호의 필요성은 비교적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런 인식과는 대조적으로 삶의 질의 저하에 대하서는 매우 두려워하고 있으며 이는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실천적 지식으로 연계되고 있지 못함을 보여준다. 아울러 예비 초등 교사들은 환경 문제에 대해 균형감이 상실된 편향된 태도 및 인식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이들의 환경에 대한 태도 및 지식이 대개 대중매체를 통해 형성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예비 초등 교사들이 환경에 대하여 균형 있는 태도를 갖추고 이와 연계된 올바른 인식을 형성하며, 이것이 실천적 지식으로 연계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을 통한 체계적인 환경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스마트 교육 도입 및 활용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과 태도 (Perception and Attitud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about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Smart Education)

  • 이영주;길효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13-2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교육 도입 및 활용에 대한 예비 유아 교사의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J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 교사 26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지와 포커스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유아 교사는 대부분 스마트 폰을 사용하며, 하루 2시간 이상을 통화하는 용도이외로 사용하였다. 용도는 주로 메신저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스마트 교육의 도입 및 활용에 대한 태도는 개인적 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수업에서의 기기 활용 경험, 발달에 대한 영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포커스 면접을 통하여. 예비 유아 교사의 스마트 교육 도입 및 활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2개의 주제, 4개 영역, 18개의 의미 범주가 나타났다.

여교사의 옷차림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태도 비교 (Comparison of the Attitude for Female Teachers' Attir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 이의정;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1-60
    • /
    • 2007
  • 여교사의 옷차림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태도를 비교분석하여 바람직한 여교사의 옷차림을 모색함으로써 보다 나은 교육적 효과를 주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서울과 수원지역의 초 중 고 학생과 초 중 고 교사를 대상으로 수집하여, 학생 622부, 교사 17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교사의 옷차림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태도를 살펴본 결과 옷차림과 헤어스타일의 단정성과 정숙성에 대해 보통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옷차림의 정숙성은 교사가, 헤어스타일의 단정성은 학생이 더 높게 인식하였다. 옷차림과 수업의 연관성에 대해 교사는 높다고 생각하는 반면 학생은 옷차림과 수업의 연관성이 낮다고 하였다. 교사 옷차림에 대해서는 교사가 학생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학교 급별로 살펴본 결과 여교사 옷차림과 헤어스타일의 단정성은 초등학교에서는 학생이 교사보다 높게 인식했으나 고등학교에서는 교사가 학생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정숙성에 대해서는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갈수록 학생과 교사 간에 큰 차이가 나타났는데 교사가 학생보다 더 정숙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옷차림과 수업과의 연관성과 옷차림의 중요성에 대한 태도에서는 초등, 중, 고등학교 모두에서 교사가 학생보다 더 긍정적 태도를 나타냈다.

  • PDF

한국과 미국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이해 및 다문화교육 관련 특성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on Multicultural Experiences Influence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Characteristic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서현아;천희영;위수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69-94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라 다문화교육의 이해, 다문화교육 인식과 태도 및 다문화교육 효능감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유아교사 5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다문화 관련 경험, 다문화 이해,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다문화교육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들이 한국의 예비유아교사들보다 다문화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 다문화 가정 유아 경험, 해외 문화 경험, 다문화 가정학생 동분 수업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미국 양국 모두 다문화 경험의 유무에 따라 예비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교육 관련특성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미국 예비교사의 경우 다문화 경험의 유무에 따라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국예비교사의 경우, 다문화가정 학생과 동반 수업의 경험이 있을수록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교육 효능감에 있어서는 미국 예비 교사들은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라 다문화 효능감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며 한국 예비 교사들은 다문화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예비 교사일수록 다문화교육에 대한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디지털 콘텐츠 불법복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 toward students' piracy of digital contents)

  • 김미량;김덕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9-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디지털 콘텐츠 불법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교사들의 태도와 노력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Ajzen과 Fishbein에 의해 개발된 합리적 행동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177명의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PLS(Partial Least Square) 모형이 사용되었다. 검증 결과, 학생들의 디지털 콘텐츠 불법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의도에 교사의 태도와 사회적 영향력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인식수준과 불법복제에 대한 처벌수준도 의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태도나 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 교사의 효능감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연구 가설의 검증을 통해 결론적으로, 학술적이고 실질적인 결과들이 논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