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사교육프로그램

Search Result 1,35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pplication of TPACK-P Educational Program for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In-service Teachers'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 향상을 위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 적용)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217-220
    • /
    • 2017
  • 테크놀로지의 발전에 따라 교육에서도 테크놀로지를 도입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교육에서는 테크놀로지를 학생들이 학습 과정에서 겪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하였다. 하지만, 교사들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전문성 부족으로 인하여, 교사들은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도입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을 위하여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이 도입되었고, 교사의 TPACK 향상을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테크놀로지가 가진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새로운 테크놀로지 도구로써 프로그래밍이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선행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김성원과 이영준(2017)에서 개발한 TPACK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색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사에게 적합한 40차시의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연구를 위하여 모집한 1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또한, 교사의 TPACK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박기철과 강성주(2014)의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 도구를 교육 프로그램 투입 전, 후에 실시하였다. 적용 결과, TPACK-P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교사의 TPACK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세부 영역에서는 Pedagogical Knowledge(PK), Technological Knowledge(TK),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TCK),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TPK),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Content Knowledge(CK)와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모든 영역은 아니지만, 테크놀로지와 관련된 지식과 교사의 TPACK 발달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사의 TPACK 변화를 검사 도구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TPACK-P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의 변화와 학교 현장에서 수업의 변화,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f the Change of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According to TPACK Education (TPACK 교육에 따른 예비 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연구)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215-216
    • /
    • 2019
  •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라 교육에서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하였지만, 교사와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하여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통합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Kim과 Lee(2018)은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TPACK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는 진행되었지만, 예비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규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 집단의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ICT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예비 교사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특수적 자기효능감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ICT 기반 TPACK 교육과 프로그래밍 교육을 받은 예비 교사는 자기효능감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예비 교사는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특수적 자기효능감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 PDF

The Analysis of Difficulties of Pre-service Teachers in Process of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Programming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설계 과정에서 예비 교사의 어려움 분석)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09-210
    • /
    • 2019
  • 정보 교과가 아닌 타 교과에서 교육 도구로써 프로그래밍의 교육적 효과가 증명됨에 따라 프로그래밍을 수업에 도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김성원과 이영준(2017)은 TPACK 이론을 도입하여, 테크놀로지 도구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도입하고,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수업에 도입하였지만, 예비 교사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비 교사에게 선행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설계를 하는 과정에서 예비 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는 예비 교사는 프로그래밍 학습,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 교과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계로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설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진행하고, 개선한 교육 프로그램을 예비 교사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TPACK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Programming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연구)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1a
    • /
    • pp.21-23
    • /
    • 2018
  •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 테크놀로지가 활용되고 있다. 교육에서도 효과적인 학습을 촉진하기 위하여 테크놀로지를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테크놀로지에 대한 교사의 지식 부족으로 인하여 맹목적인 테크놀로지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TPACK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김성원과 이영준(2017)은 프로그래밍을 도입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 (TP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발달에는 효과적이었지만,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 (TCK)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사례 탐색 및 분석을 보완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였다. 개선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TPACK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K 대학에 다니고 있는 예비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개선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예비 교사의 TPACK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박기철과 강성주(2014)의 TPACK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TPACK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PACK의 모든 세부 영역의 발달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집단을 대상으로 개선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조군을 설정하고,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TPACK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야 한다.

  • PDF

The Effects of the TPACK-P Education Program on TPACK of Pre-service teachers'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TPACK에 미치는 영향)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229-230
    • /
    • 2017
  •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교사와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 관련 지식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비 교사의 TPACK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을 접목한 TPACK-P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예비 교사에게 적용하고, 예비 교사의 TPACK 변화를 관찰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K 대학의 2016년 2학기 강의의 일부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수업을 수강하는 예비 교사 19명이었다.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박기철과 강성주(2014)의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예비 교사의 TPACK을 측정하였고, 대응 표본 t-검정을 통하여 예비 교사의 TPACK 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TPACK-P 기반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TPACK 발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영역에서는 PCK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Training Program (기술.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 Nam, Seung-Kwon;Choi, Won-Sik;Yin, Zi-Long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6 no.2
    • /
    • pp.25-4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er-training program to improve the Technology Home Economics teacher's educational activity effects.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developed a training program for the Technology Home Economics teacher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the research.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develop a systematic teacher training program to raise the professionalism related to the Technology Home Economics teacher's instruction. Second, the developed program for the Technology Home Economics teacher organizes the 46 subjects and 121 educational contents, and this educational program is worthwhile to be facilitated when a teacher-training institution like the Ministry of Eduction, Science and Technology, local education offices and universities organizes a teacher-training program. Third, as the result analyzing teachers' training demands abou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a Technology Home Economics teacher-training program, it was appeared that the most demand was 'development of professional activities for the Technology Home Economics teacher', and following demands were the 'production of various evaluation tools', the 'effectively epilogue strategy', and the 'technology to increase the learning motivation' in order. Therefore a training program for the Technology Home Economics teacher should deal these educational contents importantly, and a future teacher-training program developer need to refer to them.

Church School 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Analysis (교회학교 유치부 교사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 Kim, Sung Hye;Kang, Ran Hye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8 no.6
    • /
    • pp.77-97
    • /
    • 2012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cognition and demands of church school kindergarten teachers enrolled in a kindergarten teacher training program. 278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area were chosen as the research objects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nd recollected from them. The questions cover 3 areas: the recognition, necessity and contents of the training program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 data from the collected questioners were processed to bring in frequency and percentage by question and an X2 test was employed to se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background variables. In additi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for the questions regarding the program cont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had a deep interest in and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the program.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they turned out statistically different by academic career, education-related career and major. Second, the list of the demands they made for the training contents for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that they wanted, in the order of importance; educating parents, understanding young children, handling techniques of troubled children,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with young children, and understanding their traits and teaching methods by trait and spiritual training of teachers.

An Analysis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focusing on the Reflect Qualities of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 반영을 중심으로 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분석)

  • Cho, Kyu-Seong;Chung, Duk-Ho;Park, Kyeong-Jin;Kim, Hee-Jin;Park, Seon-Ok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4 no.4
    • /
    • pp.543-55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cusing on reflect qualities of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A total of 20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collected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the teacher training center of university and the remote training center. These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analyzed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showed that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nd 'development of curriculum' were emphasized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Therefore,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operated with an emphasis on teacher's professional qualities. Th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many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dealt with professional and teaching faculty's qualities more than affective qua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to be diversified and balanced. Furthermore,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quality equally, we suggest a systematic training program should be pot in place.

The Effects of TPACK-P Educational Program on Self-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277-278
    • /
    • 2018
  •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교육에서도 테크놀로지가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다. 이에 따라 TPACK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김성원과 이영준(2017)은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에 한계가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사례 분석이 추가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개선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예비 교사의 자아 효능감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개선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자아 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선행 연구와 다르게 자신감, 과제 난이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 PDF

The Effects of Programming-based TPACK Educational Program on Self-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Kim, Seong-Won;Lee, Youngj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21 no.5
    • /
    • pp.49-59
    • /
    • 2018
  • As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increases, the need for TPACK, an knowledge for pre-service teachers, to integrate technology into education has increased. In order to improve TPACK of pre-service teachers, programming-based TPACK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However, th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did not affect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study, the improved TPACK-P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pre-service teachers to verify the change of self-efficacy. As a result, the improved TPACK-P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self-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In detail, pre-teacher's self-confidence and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previous. The TPACK-P education program, which is improved through this, confirms that the pre-service teacher promotes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into the classroom rather than the existing education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