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교육프로그램

검색결과 1,356건 처리시간 0.053초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 향상을 위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 적용 (Application of TPACK-P Educational Program for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In-service Teachers')

  • 김성원;이영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17-220
    • /
    • 2017
  • 테크놀로지의 발전에 따라 교육에서도 테크놀로지를 도입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교육에서는 테크놀로지를 학생들이 학습 과정에서 겪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하였다. 하지만, 교사들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전문성 부족으로 인하여, 교사들은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도입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을 위하여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이 도입되었고, 교사의 TPACK 향상을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테크놀로지가 가진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새로운 테크놀로지 도구로써 프로그래밍이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선행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김성원과 이영준(2017)에서 개발한 TPACK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색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사에게 적합한 40차시의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연구를 위하여 모집한 1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또한, 교사의 TPACK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박기철과 강성주(2014)의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 도구를 교육 프로그램 투입 전, 후에 실시하였다. 적용 결과, TPACK-P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교사의 TPACK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세부 영역에서는 Pedagogical Knowledge(PK), Technological Knowledge(TK),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TCK),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TPK),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Content Knowledge(CK)와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모든 영역은 아니지만, 테크놀로지와 관련된 지식과 교사의 TPACK 발달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사의 TPACK 변화를 검사 도구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TPACK-P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의 변화와 학교 현장에서 수업의 변화,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TPACK 교육에 따른 예비 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연구 (A Study of the Change of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According to TPACK Education)

  • 김성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215-216
    • /
    • 2019
  •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라 교육에서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하였지만, 교사와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하여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통합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Kim과 Lee(2018)은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TPACK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는 진행되었지만, 예비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규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 집단의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ICT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예비 교사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특수적 자기효능감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ICT 기반 TPACK 교육과 프로그래밍 교육을 받은 예비 교사는 자기효능감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예비 교사는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특수적 자기효능감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 PDF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설계 과정에서 예비 교사의 어려움 분석 (The Analysis of Difficulties of Pre-service Teachers in Process of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Programming)

  • 김성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209-210
    • /
    • 2019
  • 정보 교과가 아닌 타 교과에서 교육 도구로써 프로그래밍의 교육적 효과가 증명됨에 따라 프로그래밍을 수업에 도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김성원과 이영준(2017)은 TPACK 이론을 도입하여, 테크놀로지 도구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도입하고,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수업에 도입하였지만, 예비 교사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비 교사에게 선행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설계를 하는 과정에서 예비 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는 예비 교사는 프로그래밍 학습,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 교과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계로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설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진행하고, 개선한 교육 프로그램을 예비 교사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TPACK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Programming)

  • 김성원;이영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1-23
    • /
    • 2018
  •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 테크놀로지가 활용되고 있다. 교육에서도 효과적인 학습을 촉진하기 위하여 테크놀로지를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테크놀로지에 대한 교사의 지식 부족으로 인하여 맹목적인 테크놀로지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TPACK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김성원과 이영준(2017)은 프로그래밍을 도입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 (TP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발달에는 효과적이었지만,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 (TCK)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사례 탐색 및 분석을 보완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였다. 개선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TPACK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K 대학에 다니고 있는 예비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개선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예비 교사의 TPACK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박기철과 강성주(2014)의 TPACK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TPACK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PACK의 모든 세부 영역의 발달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집단을 대상으로 개선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조군을 설정하고,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TPACK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야 한다.

  • PDF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TPACK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TPACK-P Education Program on TPACK of Pre-service teachers')

  • 김성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229-230
    • /
    • 2017
  •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교사와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 관련 지식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비 교사의 TPACK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을 접목한 TPACK-P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예비 교사에게 적용하고, 예비 교사의 TPACK 변화를 관찰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K 대학의 2016년 2학기 강의의 일부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수업을 수강하는 예비 교사 19명이었다.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박기철과 강성주(2014)의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예비 교사의 TPACK을 측정하였고, 대응 표본 t-검정을 통하여 예비 교사의 TPACK 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TPACK-P 기반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TPACK 발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영역에서는 PCK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기술.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Training Program)

  • 남승권;최완식;윤자룡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5-46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 가정과 교사의 수업과 관련된 교육활동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해 기술 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 가정과 교사의 수업과 관련된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체계화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기술 가정과 교사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은 46개 과목과 121개 교육 내용으로 구조화 되었는데,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교육과학기술부, 시도교육청 및 대학 등의 교사 재교육 기관에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활용할 가치가 있다. 셋째, 기술 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기술 가정과 교사로서의 전문성 계발 활동', '다양한 평가도구의 제작', '효과적인 발문 전략' 및 '학습의욕을 높이는 기술' 순으로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술 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이러한 교육 내용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며 추후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교회학교 유치부 교사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Church School 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Analysis)

  • 김성혜;강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77-97
    • /
    • 2012
  • 본 연구는 교회학교 유치부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는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유치부 교사 278명이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방법으로 유치부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필요성 및 교육내용의 3개 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유치부 교사들에게 배부한 후 회수하였다. 회수 된 설문지는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구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X2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내용에 관한 문항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사들은 유치부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관심과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의 배경변인중 학력, 교육경력, 전공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부 교사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로는 부모교육과 유아발달이해, 문제행동 영유아지도법, 영유아와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의사소통법, 영유아 기질 이해 및 기질에 따른 교육방법, 교사를 위한 영성훈련 순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 반영을 중심으로 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focusing on the Reflect Qualities of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 조규성;정덕호;박경진;김희진;박선옥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543-55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영재교육 담당교사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이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연수 프로그램이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을 충분히 반영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각 지역 교육청, 대학 부설 연수원과 원격연수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영재교육 관련 20개의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에 관한 프레임을 선정하였고, 이 자료를 토대로 연수 프로그램을 강의별로 코딩하여 정제한 뒤 분류 작업을 거쳐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교육과정', '교수법', '교육과정 개발'에 중점을 두어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많은 교사연수프로그램이 정의적 자질보다 전문성 및 교수능력 자질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연수 프로그램을 다양하고 균형 있게 재편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교사의 자질을 균등하게 개선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연수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PACK-P Educational Program on Self-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

  • 김성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277-278
    • /
    • 2018
  •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교육에서도 테크놀로지가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다. 이에 따라 TPACK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김성원과 이영준(2017)은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에 한계가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사례 분석이 추가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개선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예비 교사의 자아 효능감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개선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자아 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선행 연구와 다르게 자신감, 과제 난이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 PDF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ogramming-based TPACK Educational Program on Self-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 김성원;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9-59
    • /
    • 2018
  •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교육에 테크놀로지를 통합하기 위하여 예비 교사를 위한 지식인 TPACK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예비 교사의 TPACK 향상을 위하여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하였지만, 개발된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자아효능감 발달에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예비 교사에게 적용하여 자아효능감 변화를 검증하였다. 검증을 위하여, 두 집단의 예비 교사에게 기존과 개선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개선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자아효능감 발달에 효과적이었다. 세부 영역에서는 예비 교사의 자신감, 과제난이도선호가 기존 프로그램보다 유의한 향상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개선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기존의 교육 프로그램보다 예비 교사가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통합을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