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관계

검색결과 1,530건 처리시간 0.031초

부모와의 의사소통, 교사와의 관계 및 교내외 활동이 청소년의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Relations with Teachers and Intramural/ Extramural Activities on Peer Relationships)

  • 김영미;심희옥
    • 아동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59-175
    • /
    • 2000
  • This study explored how communication with parents, relations with teachers and intra- and extra-mural activities were related to peer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from 453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ity of Iksan.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ith more harmonious communication with parents reported more desirable peer relationships. More familiar and friendly relations with teachers was also associated with more harmonious peer relationships. As adolescents appeared more vigorous in intra- and extra-mural activities, they had friendlier peer relationships. Gender, communication with fathers, relations with teachers, and intra- and extra-mural activit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peer relationships. Relations with teachers was the best predictor for peer relationships.

  • PDF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Research Student Teacher's Sense of Humo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 최남정;오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417-438
    • /
    • 201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의 경향과 관계와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자아탄력적인 유아교사를 양성하고, 교육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B시에 위치한 2-3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23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유머감각 설문지(우소연, 2008), 심리적 안녕감 설문지(이임숙, 2006), 자아탄력성설문지(박현진, 1997)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량분석과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은 대체로 평균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한 결과 유머감각의 하위변인은 5%,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은 26%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내에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내용을 포함하여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고 유멈감각,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연수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xpression and Stress Coping Style on their Human Nature)

  • 허수윤;서현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1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인성과 자기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를 파악해보며, 각 변인들이 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봄으로서 예비유아교사의 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인성과의 상관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자기표현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검증하였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도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인성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인성 전체와 인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개념과 창의 인성은 자기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문대학 예비유아교사 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과정운영에 대해 논의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직윤리,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ic ability on Teaching Ethics, Child Abuse Reporting Intention)

  • 마지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25-33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직윤리 및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중소도시 I시 유아교육과 재학생 2학년과 3학년 학생으로 총 168명이다. 연구 검사도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교직윤리 및 아동학대 신고의무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의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직윤리와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직윤리 전체와 관계가 있었다. 인지적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관점취하기와 상상하기는 교직윤리 전체와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특히 공감적 관심과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인지적 공감은 영유아에 대한 윤리와 가장 높은 상관이 있었고, 정서적 공감은 사회에 대한 윤리와 정적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에 미치는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은 관점취하기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지니고, 그 다음으로 상상하기가 영향을 미치고, 마지막으로 공감적 관심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 및 아동학대 신고의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인지적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관점취하기와 상상하기와 관련된 공감의 내용을 반드시 포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 및 아동학대 신고의 증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고 교직윤리와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능력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초등학교 과학 교사가 인식하는 PCK, 그릿,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CK, Grit, and Teaching Effica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 채유정;이기영;박재용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89-402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PCK, 그릿,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문헌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PCK를 수업 지식 영역과 수업 실행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들 두 가지 영역을 외생잠재변수로 설정하여 PCK와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에 교사의 그릿을 외생잠재변수로 추가하여 수업 지식, 수업 실행, 그릿이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CK와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한 결과, 수업 지식과 수업 실행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수업 지식은 수업 실행과 비교하여 교수 효능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PCK, 그릿,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한 결과, 수업 지식과 그릿은 모두 교수 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수업 실행과 교수 효능감 사이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 전문성과 교수 효능감을 강화하는 방안과 교사 전문성 영역에서 그릿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사와 유아가 지각하는 교사-유아 관계 및 관련변인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as Perceived by Teachers and Children and the Variables Affecting Such Relationships)

  • 천향숙;조은진
    • 아동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67-183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ny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how factors such as the child's self-regulation and stress, and the teacher's self-efficacy and stress affect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01 kindergarteners and 17 teachers. Most of the children (88%) and teachers (88%) perceived teacher-child closeness. On the other hand, 22% of children and 11% of teachers perceived teacher-child conflict. The child's self-regulation affected both children'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child closeness and conflict. The teacher's self-efficacy affected both children'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child closeness. It also affecte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child conflict. The child's and teacher's stress affected both children'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child conflict.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respect to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 and future research.

디지털 앨범 창조 2.1의 구현 (The Evolution of Digital Album Changjo 2.1)

  • 박경진;김갑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A)
    • /
    • pp.97-99
    • /
    • 2005
  • 학교 정보화 기기의 보급과 함께 다양한 디지털 자료가 학급 경영 과정에서 나오고 있다. 이러한 학급 경영 과정에서 나오는 여러 자료들을 자신의 학급 경영의 산물로 학생들과 나누고자 하는 교사들이 많다. 하지만, 컴퓨터 능력 한계와 교사의 구미에 맞는 앨범 제작 소프트웨어가 부족한 관계로 많은 교사들이 이를 시도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교사들이 원하는 앨범 제작 소프트웨어의 조건으로는 첫째, 컴퓨터 능력이 별로 없어도 쉽게 앨범을 만들 수 있어야 하며 둘째, 학급 경영 과정에서 나오는 다양한 디지털 자료를 넣을 수 있어야 하고. 셋째, 간단하고 쉽게 배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교사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디지털 앨범 제작 도구인 디지털 앨범 창조 2.1구현하려고 한다.

  • PDF

초등 교사의 변인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상관 분석 (An Correlation Analysis of 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Teacher Variables)

  • 이소율;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213-21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초등 현직 교사 14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검사지(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E-TEBI) 조사 결과에 따라 교사의 성별, 지역, 경력, 연수 경험 및 시간, SW 교육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변량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SE-TE)에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이는 것은 SW 교육에 대한 태도였으며, 그 다음의 관련성을 보이는 것은 연수 경험 및 시간이었다. 성별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지역과 경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초등 교사의 SE-TE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SW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수 경험을 제공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 PDF

유아 교사의 이론과 실천에 관한 고찰: bottom-up 관점을 중심으로 (Theories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ottom-up Perspectives)

  • 김미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107-119
    • /
    • 2017
  •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과 실천의 관계에서 교수 행위를 바라보는 상반된 두 가지 관점 중 bottom-up 관점에서 유아 교사의 실천을 탐색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으로 유아교육에서는 top-down 관점을 중심으로 발달심리학 이론, 발달에 적합한 이론과 실제에 관한 담론, 그리고 발달이론에 근거하여 개발된 다양한 프로그램모델의 틀 안에서 유아교사의 실천과 교수행위를 정의하고 합리화해 왔다. 둘째, 이와 반대로 bottom-up 관점은 현장에서의 교사의 행위와 실천이 이론을 이끈다고 보며 반성적 사고를 통해 교사가 현장에서 실천방법을 구성해 가는데 초점을 둔다. 이 관점에서 실천은 이론의 근거가 되며, 교사는 암묵적 이론을 형성하면서 연구자의 역할을 한다고 보면서 개인경험, 학교풍토와 맥락, 그리고 우세한 교육담론이 교사의 이론을 구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본다. 셋째, 실제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결과로부터 예비교사는 경험으로부터 오는 교수에 대한 기대가 양성과정에서의 담론과의 교류, 실습 및 학교의 영향으로부터 교수에 대한 이론을 발달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현직교사들은 그들이 지닌 암묵적 지식의 전개가 지속적인 전문성 발달과 관련이 있으며 행정적 압력 및 현장의 복잡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개인적으로 발달시킨 전략을 사용하여 해결함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에 따라 bottom-up 관점에 근거한 향후 교사 실천에 관한연구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of Daycare Center Director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 이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69-376
    • /
    • 2020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보육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 감성리더십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산출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Sobel-test 및 Baron과 Kenny의 모형에 따라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교사-영유아 상호 작용, 원장 감성리더십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원장 감성리더십의 상대적 설명력에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원장의 감성리더십 보다 상대적으로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부분적으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보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