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대근무 수면장애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정신과 교대근무와 주간근무 간호사에서 수면의 주관적 및 활동기록기 평가의 비교 (Comparisons of Subjective and Actigraphic Measurements of Sleep between Shift-working and Daytime Psychiatric Nurses)

  • 곽준;윤보현;전봉희;시영화;송제헌;박수희;김경민;정하란;정유란;박진형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2호
    • /
    • pp.166-175
    • /
    • 2017
  • 연구목적 교대근무는 수면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건강상의 문제와 연관이 있고 결국에는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임상현장에서는 주로 대상자의 주관적인 보고에 의하여 수면을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신과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을 주관적인 수면평가와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수면평가를 통해 주간근무자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교대근무 간호사 23명과 주간근무 간호사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PSQI를 이용하여 주관적인 수면의 질을 평가하였고 기타 자기보고척도를 이용하여 정신사회적 측면을 평가하였다. 객관적인 수면을 측정하기 위해 활동기록기를 총 7일간 착용하도록 하였고, 그 기간 동안 수면일지를 함께 작성하였다. 교대근무군과 주간근무군간에 활동기록기의 수면변수, PSQI 총점과 구성요소 그리고 자기보고척도로 평가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PSQI 총점은 양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PSQI 구성요소 중에서 교대근무군이 유의하게 수면의 질(C1)이 나쁘고, 수면장애(C5)와 수면제 사용(C6)이 많으며, 주간기능장애(C7)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기록기로 측정한 수면변수에서 교대근무군이 주간근무군에 비해 유의하게 잠자리에 누워있는 시간과 총 수면시간이 짧으며, 수면효율이 떨어지고, 평균각성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교대근무 간호사가 주간근무 간호사에 비해 주관적 수면평가 및 활동기록기를 통한 객관적 지표 모두에서 수면에 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활동기록기가 수면장애를 평가하는데 있어 주관적 설문만으로는 측정이 어려운 객관적 수면변수를 측정하는 데 유용한 도구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정신신체사회적 문제에 대한 연구 (The Psychophysicosocial Distresses in Nurses with Shift Work)

  • 강범모;양창국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1호
    • /
    • pp.61-67
    • /
    • 1999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들의 심인적, 신체적 그리고 사회적 적응에 대한 교대근무의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다. 방 법 : 299명(교대근무 179, 비교대근무 120)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알맞게 고안된 56항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교대근무는 간호사들의 심인적, 신체적, 사회적 그리고 수면관련 요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대 근무 간호사들의 심인적, 신체적 건강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이 비교대 근무자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부정적이었다. 교대근무 간호사들은 비교대근무 간호사들에 비하여 교대근무와 관련된 사회생활의 장애 및 사회활동의 제한을 호소하고 있었고, 수면과 관련된 장애들을 유의하게 더 많이 호소하고 있었다. 결 론 : 본 연구결과는 교대근무가 정신생리적 기능의 일주기 리듬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교대근무자들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뒷받침 한다. 또한 교대 근무자들은 가족 및 일반적인 사회관계에서 여러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은 교대근무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교대근무가 음주에 미치는 영향 및 수면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the Shift Work on Drink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leep)

  • 정희주;공지숙;김미경;김석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2호
    • /
    • pp.111-120
    • /
    • 2021
  • 연구목적 이전 연구에 따르면 교대근무는 인간의 자연적인 일주기 리듬에 적응하기 어렵게 만들어 각종 건강문제를 일으킨다. 특히 교대근무자는 근무 일정과 연관된 수면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알코올을 수면유도를 위한 자가약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현재까지 교대근무와 수면 및 음주와의 관련성에 관한 명확한 기전이 밝혀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대근무와 수면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교대근무로 인한 수면의 변화가 음주를 유발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방 법 이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제7기 자료 중 2014, 2016, 2018년도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1360명(남성 5704명, 여성 5656명)을 연구대상인원으로 포함시켰다. 6 am-6 pm사이의 근무형태를 주간근무, 이외의 근무형태를 교대근무로 정의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교대근무와 수면의 질, 교대근무와 고위험 음주, 음주량 및 음주 횟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매개분석을 통하여 수면이 교대근무와 음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 과 교대근무는 남성과 여성에서 수면 질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다(남성 OR=1.37, 95% CI=1.11-1.70, 여성 OR=1.26, 95% CI=1.05-1.50). 교대근무와 음주와의 관계에서는 남성의 경우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성의 경우 교대근무와 음주횟수에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OR=1.34, 95% CI=1.04-1.72). 매개분석 시행 시 여성의 수면 질은 교대근무와 음주횟수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이 연구의 결과는 교대근무가 수면의 어려움을 유발하며, 여성의 경우에서는 수면의 부분매개효과를 통해 음주를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여성이 수면장애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음주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점을 고려할 때, 여성 교대근무자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중재방안이 마련된 필요가 있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위생 지식과 수행이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Knowledge and Sleep Hygiene Performance on Sleep Disturbances Among Shift-Work Nurses)

  • 정빛나;한기혜;유해영;정지혜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2권4호
    • /
    • pp.308-316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sleep hygiene among nurses with shift work schedules and examine the influence on sleep disturbance. Methods: A total of 199 shift-work nurses from a tertiary hospital were included in the study. To examine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sleep hygiene,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to a self-reported survey. To assess sleep disturbance, the General Sleep Disturbance Scale was us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applied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to analyze the data. Results: Both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sleep hygiene among nurses with shift work schedules were measured at a moderate level. Nurses' knowledge and the performance of sleep hygiene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leep disturbance, whereas age, experience with shift-working,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Conclusion: Strategies for providing more accurate information and motivating better sleep hygiene would help to enhance sleep hygiene in nurses with shift work schedules. Further studies examining the association of knowledge and the performance of sleep hygiene with sleep disturbances in nurses with shift work schedules are needed.

순환제 교대근무자의 수면양상과 주간의 졸리움 및 성격요인과의 관련성 (Sleep Patterns, Daytime Sleepiness and Personality Factors in Rotating Shiftworkers)

  • 김현;김인;서광윤
    • 수면정신생리
    • /
    • 제5권1호
    • /
    • pp.71-79
    • /
    • 1998
  • 연구배경 : 본 연구는 순환제 교대근무가 전반적인 수면양상과 주간의 졸리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주간의 졸리움과 성격요인 사이의 상호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 20-30대 순환제 교대근무 간호사 41명과 대조군 39명을 대상으로 Beck 우울척도(BDI), 상태특성불안 척도(STAI), 고려대학교 병원 수면장애 클리닉 수면력 검사지, Epworth 졸리움 척도(ESS), 성인용 성격요인 검사(16PF)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 교대근무로 박탈된 수면시간은 평균 64.26분 ${\pm}\;14.54$이고, 수면에 어려움을 겪는 빈도($1.24\;{\pm}\;1.17$일/주 vs $0.67\;{\pm}\;1.31$ 일/주, p < 0.05), 잠들기 어려울 때 수면까지 걸리는 시간($103.05\;{\pm}\;73.48$ 분 vs $70.00\;{\pm}\;60.08$, p < 0.05), 불면증이 있을 때 취하는 수면시간($204.25\;{\pm}\;79.90$ 분 vs $280.44\;{\pm}\;111.59$ 분, p < 0.001), 최근들어서의 기력의 변화($x^2\;=\;4.16$, p < 0.05), 수면에 대한 걱정($x^2\;=\;11.08$, p < 0.05), 낮잠자는 여부($x^2\;=\;4.98$, p < 0.05) 등의 문항에서 교대근무를 시행한 대상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Epworth 졸리움 척도의 결과도 순환제 교대근무자에서 $8.68\;{\pm}\;3.04$로 대조군의 경우인 $6.86\;{\pm}\;3.04$인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 0.01). 성격요인검사에서 자아강도 요인(C factor, $R^2\;=0.283$), 민감성 요인(I factor, $R^2\;=0.358$), 도덕성 요인(G factor $R^2\;=0.470$)이 주간에 느끼는 졸리움의 정도에 대해 유의한 설명량을 보였다(p < 0.001). 결론 : 순환제 교대근무 간호사들은 불면증, 수면부족등과 같이 여러가지 수면곤란을겪고 있으며, 이는 심한 불안감, 기력 및 집중력 저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주간의 졸리움도 순환제 교대근무자에서 유의하게 많이 겪고 있었다. 순환제 교대근무로 인해 겪는 주간의 졸리움의 정도를 예측하는 성격요인으로는 신경증적 행동의 속성인 정서적 불안정을 나타내는 낮은 자아강도 요인, 정서적으로 민감하고 의존적인 성격을 나타내는 높은 민감성 요인, 그리고, 직업에 만족하지 못하는 속성을 의미하는 낮은 도덕성 요인 등이 보여졌다.

  • PDF

병원 간호사의 연속 야간 교대근무와 근무시간이 불면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nsecutive Night-Shift Work and Working Time on Insomnia among Hospital Nurses)

  • 신승화;김수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3-139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onsecutive night-shift work and working time on insomnia among hospital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designutilizing secondary data analysis was adopted. Data on consecutive night-shift work, working time, and insomnia were collected from 64 hospital nurses using a Fitbit activity tracker an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Consecutive night-shift work for more than three day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somnia among hospital nurses. Weekly working hours also accounted significantly for the variance in insomnia, exceeding the influence of consecutive night-shift work. Conclusio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per schedules to control consecutive night-shift work and working time is important to alleviate insomnia among hospital nurses.

순환교대근무 간호사의 일주기유형에 따른 근무조별 수면시간, 사회적 시차, 주관적 수면장애 비교 (Comparison of Sleep Duration, Social Jetlag, and Subjective Sleep Disturbance in Rotating Shift Nurses According to the Chronotype)

  • 최수정;주은연;김경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3권3호
    • /
    • pp.227-236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leep duration, social jetlag (SJL), and subjective sleep disturba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ronotype in rotating shift nurses. Methods: A total of 344 rotating 3-shift nurses (mean age 28.67 years) were recruited at one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They complet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which were used to assess their chronotype and sleep: the morningness-eveningness questionnaire (MEQ), self-reported sleep duration of work days (SDWshift) and free days (SDFshift) in each shift (day [D], evening [E], night [N]), and sleep disturbance (Insomnia severity index, ISI). SJLshift was calculated as the difference in midsleep (MS=sleep onset+1/2 sleep duration) between work days (MSW) and free days (MSF). Results: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chronotype groups according to the MEQ; morning (MG, 4.4%) intermediate (IG, 57.8%), and evening groups (EG, 37.8%). SDWD was shortest (4.68 hr) and SDFE was longest (8.93 hr) in the EG. SJLD was longest in the EG (3.77 hr), and SJLN was longest in the MG (7.37 hr). The prevalence of sleep disturbance was 33.3% (MG), 29.6% (IG), and 40.0% (EG), respectively, without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sleep of shift workers, it is recommended that the evening chronotypes should reduce the day shifts and the morning chronotypes should reduce the night shifts. We also propose a study to determine whether these shift assignments can improve the sleep in shift nurses.

교대근무 간호사의 혈액과 체액 노출 경험과 수면장애, 피로,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성 (Association of Sleep Disturbance, Fatigue, Job Stress and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 in Shift-work Nurses)

  • 류재금;최스미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0권3호
    • /
    • pp.187-195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ssociations among the sleep disturbance, fatigue, job stress, and blood and body fluid (BBF) exposure of shift-work nurses. Methods: A total of 299 shift-work nurses from two tertiary hospital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used the Insomnia Severity Index (ISI), and the Fatigue Severity Scale (FSS), and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to evaluate sleep disturbance, fatigue, and job stress, respectivel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r chi-squared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We found that 43.8% of participants reported BBF exposure over the past year. Splash or exposure to broken skin of BBF were most frequent (56.9%), and followed by needlestick injuries (30.4%) and sharp injuries (12.8%). Age, hospital, working period, level of stress, sleep disturbance ($ISI{\geq}15$), fatigue (FSS $score{\geq}4$), job demand and organizational climate subset in KOSS-SF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BF exposure in shift-work nurses. In multivariate analysis after adjusting age and hospital, the risk factors of BBF exposure in shift-work nurses were the level of stress and fatigue (FSS $score{\geq}4$). Conclusion: Fatigue and job stress were related to BBF exposure in shift-work nurses. Our results suggest that management of sleep disturbance, fatigue, and high job stress in shift-work nurses is needed to reduce risk of BBF exposure.

사업장 교대근무자와 비교대근무자의 수면문제와 건강상태 비교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Sleep Patterns between Shift Workers and Non-shift Workers in Manufacturing Plants)

  • 김은주;김명애;권경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5-54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estimate sleep patterns and health status of the shift and non-shift factory work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0 male workers in 13 companies, which manufacture automobile parts in Daegu, Korea.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5th, 2007 to April 5th, 2007. PSQI was scored to check the quality of sleep, ESS for excessive daytime sleep disorder, ISI for insomnia, and SF-36 for health status. The data were analyzed by $X^2$ and t-test using SPSS 12.0 for windows.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in quality of sleep patterns between shift and non-shift workers (p=.033). A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excessive daytime sleep (P=.005) and in the degree of insomnia (p=.030)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statu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hift workers are in need of careful and continuous monitoring regarding sleep disorders and we need to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s including sleep hygiene for shift work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