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각

검색결과 946건 처리시간 0.032초

교각일체형 세굴방지구조물에 의한 교각세굴 방지 (Scour Countermeasure using Additional Facility in front of Bridge Pier)

  • 김웅용;안상진;윤석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424-428
    • /
    • 2004
  • 본 연구는 장기하상변동, 단면축소세굴, 국부세굴로 일반적으로 분류되는 세굴형태 중 국부세굴의 방지를 위하여 교자 전면에서 발생하는 하강류를 차단함으로써 교각 및 교각기초를 세굴로부터 보호하여 세굴심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험적 인구로서, 동시에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각의 기초부의 전면에 유수방향과 대응되도록 세굴방지구조물을 설치하여 세굴방지구조물의 상부 끝단에 하강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각을 주었고 세굴방지구조물의 폭은 교자의 폭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이러한 세굴방지구조물은 기초에 하강류 차단 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세굴심의 방지효과가 약 $20\~40\%$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교자기초에 설치하던 매트 및 사석보호공에 비해 경제적 시공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 PDF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기초세굴모의 교각의 고유진동수 변화분석 (Analysis of Natural Frequency Change of Foundation Scour Imitation Pier Using FEM)

  • 장성희;박병철;임종혁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183-186
    • /
    • 2010
  • 교각에서의 기초세굴 단계 및 상부구조물의 영향에 따른 진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교각 시험체를 이용하여 충격진동실험과 Midas FEA ver.2.0를 이용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기초세굴 모의는 교각시험체 기초 주위의 지반을 단계별로 굴착하였으며, 상부구조물의 영향은 철근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여 교각 시험체 위에 재하하였다. 충격진동실험과 수치해석결과, 강성이 작아지거나 질량이 커질수록 1차 모드 고유진동수도 작아지는 등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체적으로 충격진동실험으로 구한 1차모드 고유진동수는 수치해석으로 구한 값보다 작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지반의 강성변화를 수치해석 모델에서 연속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로 인해 발생한 오차로 판단된다. 따라서 1차 모드 고유진동수의 변화를 이용한 교각 세굴 건전성 평가를 위한 유한요소해석을 위해서는 지반물성을 보다 잘 모의할 수 있는 기법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 PDF

수평 반복하중을 받는 비내진상세 RC 중실원형교각의 거동특성 (Behavior of Solid Circular RC Piers without Seismic Detailing Subjected to Cyclic Lateral Load)

  • 김재관;김익현;임현우;전귀현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83-95
    • /
    • 2001
  • 내진상세가 적용되지 않은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거동특성 및 내진성능을 살펴보기 위해서 축소교각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횡방향 철근이 심부를 구속할 만큼 충분히 배근되어 있지 않은 중심 원형 단면의 실교각을 대상으로 기초 상단의 소성 힌지 부위에서 겹침이음이 된 주철근을 사용했을 때와 연속철근을 사용했을 경우로 구분되도록 철근상세를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3기의 축소교각시험체를 제작하여 수직방향 축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준정적 반복하중을 재하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해서 겹침이음이 있는 교각시험체는 연성거동을 하지 않지만, 겹침이음이 없이 연속철근을 사용한 교각시험체는 어느 정도의 한정연성거동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비부착텐던 프리캐스트 교각의 내진거동에 대한 해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for Unbonded Precast Column under Seismic Loading)

  • 최승원;김익현;조재열;이도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109-112
    • /
    • 2008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은 일반 철근콘크리트 교각에 비하여 내진성능과 지진후의 공용성능이 우수하고, 특히 급속시공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부착 프리캐스트 교각의 내진거동을 OpenSEE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교각의 콘크리트 강도, 강선의 초기 긴장비율, 강선의 량, 세그먼트의 크기의 변화에 대한 프래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의 내진거동에 대하여 해석적으로 연구하였다. 교각의 휨강도는 프리스트레스량 및 긴장비율에 따라 변화하였고, 콘크리트 강도 및 세그먼트 크기는 교각의 휨거동에 미치는 영향이 작았다. 그러나 긴장비율의 증가는 강선의 항복을 앞당기고 또한 세그먼트 크기는 교각의 시공에 영향을 미치므로 설계시 이러한 영향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심부콘크리트 변형률이 극한변형률에 미치지 않으므로 일반 콘크리트교각에 비하여 심부구속 철근량을 감소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 PDF

FCM 공법으로 시공되는 콘크리트 교량의 교각 모멘트 제어 (Moment Control of Pier in Concrete Bridges Constructed by Free Cantilever Method)

  • 양인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711-720
    • /
    • 2006
  • FCM 교량 상부구조의 거동은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 등에 의해 시간 의존적 거동을 나타내며, 이에 의해 하부구조 즉, 교각에는 시간에 따른 추가의 과도한 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FCM 공법으로 시공되는 콘크리트 교량의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한 교각의 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기법은 교량의 체계적인 시간의존적 거동 해석과 교량 시공중의 제어하중 재하로 이루어진다. 제어하중의 크기 및 교각 유연도에 따른 교각의 거동 분석을 수행하였다. 교각 유연도에 따른 수치해석 결과는 교각의 유연도가 작을수록 시간에 따른 교각 모멘트 값은 증가하여 설계시 불리한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하중을 도입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어하중을 도입한 경우의 모멘트는 감소하고 있다. 또한, 실제 교량에 대한 수치해석 분석을 통하여 제안기법의 효용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FCM 공법으로 시공되는 교량에서, 유연도가 작은 교각의 시간에 따른 모멘트 변화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불균일단면교각 주위의 사석 세굴 보호공 (Riprap Scour Countermeasures around Nonuniform Bridge Piers)

  • 윤태훈;박기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385-392
    • /
    • 2000
  • 교각과 기초로 구성되는 불균일단면교각 주위의 사석보호공의 거동에 관련된 인자들의 영향에 관한 실험결과가 기술된다. 불균일단면교각은 교각의 전 길이에 대한 단면이 일정하지 않고 직경 bp의 원주가 보다 큰 직경 bf인 기초에 설치된 구조이다. 사석보호공의 안정은 기초의 높이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으며 한계기초높이, Zc가 존재함이 밝혀졌다. 한계기초높이는 균일단면교각의 한계유속과 같은 한계유속을 갖는 불균일단면교각의 기초높이로 정의되고 실험결과 Zc=0.8bf로 밝혀진다. 기초높이가 Zc보다 작으면 기초의 상류연장으로 작용하여 사석보호공은 더 안정하게 되고, 기초높이가 Zc보다 크게 되면 기초는 단면이 증대된 교각으로 작용하고 기초 자체의 하강류로 인하여 사석보호공은 불안정하게 되어 쉽게 움직이게 된다. 기초상단면적의 영향과 불균일단면교각의 사석보호공의 크기 결정방법이 또한 기술된다.

  • PDF

원환 설치에 의한 원형교각 주위의 수리특성변화 (Variation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round a Cylindrical Bridge Pier with Circular Collar)

  • 진병호;심우배;송재우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47-15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원환 설치 전 후 교각 주위의 수리특성을 분석하였다. 하천 흐름에서 교각 전 후의 수위 변화를 분석한 결과, 교각 전면부에서 원환 설치 전 후의 수위차는 약 0.2cm, 교각 후면부에서 원환 설치 전 후의 수위차는 약 0.1cm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원환이 하천 흐름에 장애가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교각 전 후의 유속 변화를 분석한 결과, 교각 전 후면부에서 원환 설치 전 후의 흐름방향 유속(u)과 횡방향 유속(v)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교각 전면부에서 연직방향 유속(w)은 수심비(y/D)가 0.33인 지점에서 약 16.72% 최대감소효과를 나타냈으며, 교각 후면부에서 연직방향 유속(w)은 수심비(y/D)가 0.67인 지점에서 약 15.83% 최대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원환을 설치했을 경우 교각 주위에서 세굴을 일으키는 하강류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국부세굴심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대형 교각 실험을 통한 교각 세굴안정성 평가 실험 기법 정립 (Establishment of Testing Method for Abutment Scour Stability by Real-scale Model Test)

  • 이명재;유민택;김기현;이일화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7호
    • /
    • pp.5-14
    • /
    • 2019
  • 본 연구는 교각 안전성 평가 기법을 확립하기 위해 실대형 교각을 구축하여 충격하중을 이용해 일련의 비파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대형 교각에 상재 하중은 0 tonf에서 2.5 tonf씩 적재하여, 최대 25 tonf 까지 적재하였다. 타격 방향에 따른 교각의 거동을 분석하기위해 교축 방향과 교축직각 방향 그리고 교각의 외측방향으로 타격하였고, 타격 높이도 교각의 상단과 하단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계측기는 가속도계를 사용하여 타격했을 시의 가속도 응답을 측정하였다. 일련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고속 푸리에 변환(FFT)를 이용해 타격 방향 및 상재 하중에 따른 고유진동수를 산정했다. 또한 위상차를 이용해 교각의 1차 모드에서 4차 모드까지 분석이 가능했으며, 세굴에 대한 영향을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했다. 그 결과, 2차 모드와 3차 모드를 통해 합리적인 교각의 안정성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철근부식, 겹침이음 및 축하중의 영향을 고려한 원형 전단 교각의 내진성능실험 (Seismic-performance Experiments of Circular Shear Piers Considering Effects of Rebar Corrosion, Lap splice and Axial Load)

  • 이수형;이승건;이혜린;홍기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43-153
    • /
    • 2021
  • 노화된 교각의 횡철근, 주철근, 겹침이음의 철근부식은 교각의 내진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횡철근 및 주철근의 철근부식은 교각의 전단강도 및 휨강도를 각각 직접적으로 감소시킨다. 겹침이음에 철근부식이 생긴다면, 특히 내진설계되지 않은 기존 노후 교각의 휨강도 및 휨연성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더불어, 교각에 작용하는 축하중이 증가하면 교각의 전단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영향들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노화를 고려한 합리적인 내진성능평가를 위해, 앞서 언급한 철근부식, 겹침이음, 축하중이 형상비 2이하인 교각의 전단거동과 휨거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철근부식으로 인해 전단파괴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교각에서 오히려 휨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한다. 이러한 파괴모드와 그 원인을 분석하고 내진보강 시 필요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