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 유도 효과

Search Result 267, Processing Time 0.05 seconds

Electromagnetically Induced Absorption in Cs Vapor (세슘원자에서와 전자기-유도-흡수)

  • 김경대;권미랑;문한섭;박현덕;김중복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198-199
    • /
    • 2000
  • EIT에 의한 흡수의 감소현상은 관측되고 이해되었으나 반대효과라 할 수 있는 원자결맞음으로 인한 흡수의 증가현상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Akulshin 등이 $^{85}$ Rb D2 전이선에서 자기장에 의한 유도 흡수 현상을 관측하고, 이론적인 결과를 보고했을 뿐이다$^{(1-3)}$ . 이들은 조사광과 결합광이 같은 주파수로 공진할 때, 특별한 조건에서 EIT 신호와는 반대부호의 공명신호 즉, 전자기-유도-흡수(Electromagnetically Induced Absorption; EIA$^{(1)}$ 를 처음으로 관측하였다. (중략)

  • PDF

Electromagnetically Induced Transparency with Hyperfine Structure (사다리형 전자기 유도 투과에서의 초미세 구조)

  • Moon, Han-Sub;Lee, Rim;Lee, Won-Kyu;Seo, Ho-Sung;Kim, Joong-Bok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2a
    • /
    • pp.206-207
    • /
    • 2003
  • 전자기 유도 투과(electromagnetically induced transparency ; EIT)는 원자의 공명 진동수를 갖는 조사광이 원자 매질을 통과할 때, 강한 결합광에 의한 효과로 매질에 흡수되지 않고 투과하는 양자 간섭 효과로써 원자결맞음 현상의 가장 대표적인 현상 중의 하나이다. EIT 현상은 Boller 등에 의해서 고출력 펄스 레이저를 이용하여 Strontium 증기에서 처음 관측된 이후, 여러 가지 원자와 분자의 증기 셀, 원자 빔, 고체, 냉각된 원자, 그리고 BEC(Bose Einstein condensate)상태에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중략)

  • PDF

Optical Characteristics of Liquid Crystal Cell Prepared by Using Surface Relief Grating As the Alignment Layer (표면 부조격자를 배향막으로 사용하여 제작된 액정셀의 광특성)

  • 이종진;김정성;황의중;오차환;이건준;박병주;이영백;백상현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7a
    • /
    • pp.120-121
    • /
    • 2003
  • 아조벤젠 고분자는 광 정보저장 및 광 스위치 소자 등의 응용가능성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이것은 바로 아조 분자가 가지고 있는 두 이성체 간의 광 이성화 과정에 의한 아조 분자의 정렬에 의한 광 유도 anisotropy가 생기는 특성과 더불어 아조 분자의 이동에 의한 표면 부조가 형성됨이 보고된 이후에 광 정보 저장은 물론 액정의 배향이나 phase mask로의 응용, 특히 photonic band gap(PBG)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는 주기구조 형성에의 응용성 때문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PDF

Effect of Light on Anthocyanin Biosynthesis in Callus Culture of Purple Sweetpotato (자색고구마 캘러스배양에서 안토시아닌 생합성에 미치는 광의 영향)

  • Park Hyae-Jeong;Kim Jung-Suk;Park Hyeon-Yo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v.32 no.4
    • /
    • pp.307-311
    • /
    • 2005
  • The anthocyanin biosynthesis in callus culture of purple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cv. Borami) was investigated under growth in different light intensity and light emitting diodes (LED) treatment. Pigmented calli were induced from leaf explants cultured on MS agar medium supplemented with $0.5\;{\mu}M$ 2,4-D under light condition. The color value of these calli extracted after $2{\sim}4$ weeks of cultures was $0.4{\sim}0.5\;mg/mL$. Irradiation intensity is an important factor for anthocyanin biosynthesis. The optimal anthocyanin accumulation occurred on light intensity of 3000 lux. Light irradiation of 3000 lux and blue light treatment for 2 h resulted in a significant enhancement of anthocyanin accumulation. This value was 1.4 fold that the control.

Surface Relief Grating Formation on Azo-Polymer (아조 고분자의 표면 부조격자 형성)

  • 황의중;김정성;여세연;이현기;오차환;송석호;김필수;한양규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2a
    • /
    • pp.248-249
    • /
    • 2003
  • 아조벤젠 고분자는 광 정보저장 및 광 스위치 소자 등의 응용가능성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이것은 바로 아조 분자가 가지고 있는 두 이성체 간의 광 이성화 과정에 의한 아조 분자의 정렬과 이 때문에 야기되는 광 유도 anisotropy가 생기는 특성 때문이다. 이와 더불에 아조 분자 필름에 빛을 쪼여 주었을 때 표면에 주기적인 부조 격자(SRG)가 형성됨이 보고 된 이후에 광 정보 저장은 물론 액정의 anchoring 이나 phase mask로의 응용, 특히 photonic band gap(PBG)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는 주기구조 형성에의 응용성 때문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략)

  • PDF

Optical & electrical induced nano-scale photo-darkening effect on non-oxide thin film and near-field data-storage (광/전기로 유도되는 광 암색화와 근접장 정보저장)

  • 송기봉;김은경;김준호;이성규;박강호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7a
    • /
    • pp.264-265
    • /
    • 2003
  • 광 회절한계를 극복한 기록밀도 향상 기술로 대두된 근접장 응용 정보저장기술은 차세대 광 정보저장의 핵심기술로 간주되고 있다. 근접장을 응용한 기술에는, 근접장 헤드구조의 관점에서, 근접장 효과 렌즈(SIL), 탐침형, 미소구멍레이저, 안테나 구조 등 나노크기 Aperture를 가지는 구조 등이 있다. 그러나 각각의 근접장 헤드구조에 적합한 특히, 탐침형 근접장 방식에 적합한 근접장 매체에 대한 활발한 연구는 아직 진행되고 있지 않다. (중략)

  • PDF

A Novel Heptapeptide that Promotes Cellular Activity and Inhibits Photoaging in Fibroblasts (섬유아세포에서 세포 활성 촉진 및 광노화 억제 효능을 보이는 신규 헵타펩타이드)

  • Lee, Eung Ji;Kang, Hana;Hwang, Bo Byeol;Chung, Yong Ji;Kim, Eun Mi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48 no.2
    • /
    • pp.157-167
    • /
    • 202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eptapeptide on cellular activation and inhibition of cellular damage induced by photoaging condition in NIH3T3 fibroblasts. Cell proliferation and extracellular matrix (ECM) expression were induced by heptapeptide. The reduced cell viability under photoaging condition through ultraviolet A (UVA) irradiation was increased by heptapeptide. And UVA-induced apoptosis, matrix metalloproteinases-1 (MMP-1) express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 were decreased by heptapeptide. In addition, the inhibi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smad signaling under UVA irradiation which resulting in reduction of ECM expression was also recovered by heptapeptide. We also tested the effect of heptapeptide under another photoaging condition through heat shock, and pre-treatment of heptapeptide prevented the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MMP-1 expression induced by heat shock. From these results, it has been shown that the heptapeptide has protective effects on fibroblasts through the up-regulation of cellular activity and through the decreasing of intracellular ROS level induced by UVA irradiation or heat shock. It is expected that the dermal protection effect of heptapeptide can be applied as a new cosmetic material in the future.

A Novel Luminance Adaptation Effect Model in Pixel Intensity Domain for Image Quality Assessment: Theory and Application (영상 화질 측정을 위한 픽셀 강도 영역의 새로운 광적응 효과 모델: 이론 및 적용)

  • Bae, Sung-Ho;Kim, Munchur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78-80
    • /
    • 2015
  • 광적응(Luminance Adaptation; LA) 효과는 영상의 배경 밝기에 따른 왜곡에 대한 시각 인지 민감도가 달라지는 특성을 의미한다. 기존 영상 화질 측정(Image Quality Assessment; IQA) 방법들은 베버의 법칙(Weber' s law) 모델을 이용하여 LA 효과를 IQA 방법에 반영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IQA 방법들에 있어서 베버의 법칙 기반 LA 효과 모델은 다음 두 가지 이유로 부정확하게 동작한다: (i) 전통적인 베버의 법칙 모델은 실제 광도(luminance)에 대한 인지 민감도 응답값을 정확히 반영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ii) 대부분 IQA 방법들은 픽셀 강도 영역에서 계산되지만, 베버의 법칙과 같은 LA 효과 모델들은 광도 영역에서 개발되었다. 따라서 광도와 픽셀 강도간 비선형 관계로 인해 IQA 방법에 반영된 베버의 법칙 기반 LA 효과 모델들은 부정확하게 동작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처음으로 픽셀 강도 영역에서의 LA 모델을 이론적으로 유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픽셀 강도 영역에서의 LA 효과 모델은 감마 교정 함수(Gamma correction function)와 광도 영역에서의 LA 효과 모델인 제곱-법칙(power-law)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테일러 급수 확장 근사화를 통해 유도된다. 제안하는 픽셀 강도 영역 LA 효과 모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제안하는 LA 효과 모델을 PSNR 에 도입하여 광범위한 실험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LA 효과 모델 기반 PSNR 은 PSNR 및 베버의 법칙 기반 PSNR 대비 괄목할 만한 주관적 화질 예측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Light Quality on the Changes in Protein Pattern of Callus from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between Nicotiana tabacum and Solanum nigrum (Nicotiana tabacum과 Solanum nigrum의 속간 원형질체 융합에서 유도된 캘러스의 단백질 양태변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 및 광선의 효과)

  • 김영상;이동희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3 no.2
    • /
    • pp.141-155
    • /
    • 1994
  •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NAA, BA and $ extrm{GA}_3$) and light (blue, red and far-red) on the changes in total protein and thylakoid membrane protein pattern of callus from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between Nicotiana tabacum and Solanum nigrw were investigated. When the callus were irradiated with different wavelengths of light, blue and red light accelerated the synthesis of total proteins and thylakoid membrane proteins. Particularly, red light led to an increase in the protein synthesis compared to blue light. When the callus were subjected to various combinations of growth regulators, NAA+$ extrm{GA}_3$ and NAA+BA treatments induced remarkable increase of total proteins and thylakoid membrane proteins accumulation, particularly in the combination of NAA+$ extrm{GA}_3$. NAA.$ extrm{GA}_3$ treatment with irradiation of red ligh showed highest value in the accumulation of total proteins and thylakoid membrane proteins. We conclude that simultaneous application of red light and NAA+$ extrm{GA}_3$ treatment may induce synergistic effect in the synthesis of total proteins and thylakoid membrane Protei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