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합성

검색결과 1,468건 처리시간 0.025초

차광처리가 벌개미취와 구절초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a (Maxim.) Kitam. and Aster koraiensis Nakai by Shading Treatment)

  • 김동학;김영은;김상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1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차광처리가 벌개미취와 구절초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대조구(0%)와 3개의 서로 다른 차광처리구(50%, 75%, 95%)를 설치하고 엽록소 함량, 생장 및 광합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벌개미취와 구절초 모두 차광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은 광도에 적응하기 위해 광합성에 대한 빛의 흡수 효율이 높은 잎이 형성되었다. 또한 차광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은 광도에서 광합성을 수행하기 위해 암호흡속도의 저하와 광보상점의 감소가 나타났고, 광합성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엽록소 함량과 순양자수율이 증가하였다. 광합성 속도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고 차광수준이 높아질수록 저하하였다. 대조구에서는 강광에 의한 수분손실을 막기 위해 기공전도도와 증산속도가 감소하였다. 50% 차광처리구의 기공전도도와 증산속도는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나, 75%와 95% 차광처리구에서는 더 낮게 나타나 광합성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이용효율 또한 광합성속도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고, 차광수준에 따라서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벌개미취는 전천광보다 낮은 광 조건에서 생육할 시 광합성 능력이 저하하는 것으로 보이며, 구절초의 경우 50% 차광처리까지는 광합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벌개미취와 구절초는 광을 제한하여 차광 상태를 지속하게 되면 생육에 불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벌개미취와 구절초의 생육특성은 상층임관이 존재하지 않은 DMZ 불모지와 같은 환경에 도입시키기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분리된 시금치 엽록체에서 광합성중 광합성능이 소실되는 이유 (The Reason for the Loss of Photosynthetic Activity in Isolated Spinach Chloroplasts during Photosynthesis)

  • 김성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4호
    • /
    • pp.371-375
    • /
    • 1993
  • 시금치에서 분리한 엽록체의 탄소고정을 관찰하면 반응시작 후 20분 정도가 지나면 고정율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1시간 정도가 지나면 고정이 완전히 멈춘다.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광합성 도중 시간별로 여러 단계의 엽록체에서 틸라코이드와 스트로마를 분리하여 재조합한 엽록체의 탄소고정을 조사하였다. 후기 단계의 틸라코이드를 사용하여 재조합한 엽록체의 탄소고정능이 후기 단계의 스트로마를 사용하여 재조합한 엽록체의 탄소고정능보다 더 많이 떨어진 것으로 미루어 그 저해 원인이 스트로마보다는 틸라코이드에 의한 것으로 짐작된다. 각 단계별로 틸라코이드의 기능을 조사한 결과 후기 단계에서의 전자전달과 광인산화반응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반응 후 60분 시에는 광인산화반응이 완전히 멈추어 P/2e 비율이 0이 되었다. 따라서 분리한 엽록체에서 광합성 도중 광합성능이 떨어지는 이유는 스트로마보다는 틸라코이드 기능, 특히 광인산화 반응의 저하에 있다고 사료된다.

  • PDF

해바라기의 광합성에 대한 동력학적 연구 (A Study on Phtosynthetic Kinetics of Sunflower , Helianthus annus L.)

  • Chang, Nam-Kee;Kim, Sung-Ha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7-85
    • /
    • 1983
  • 본(本) 보고(報告)는 광합성(光合成)의 동력학(動力學)에 관하여 연구(硏究)한 결과(結果)이며 더욱 동력학식(動力學式)의 타당성과 확실성(確實性)을 해바라기의 광합성실험(光合成實驗)으로 구명(究明)되었다. 광합성(光合成)의 동력학식(動力學式)은 물질(物質)의 동화작용(同化作用)과 이화작용(異化作用)의 수식화(數式化)로 부터 유도되었으며 그 결과(結果)는(6), (7)식(式)과 같다. 한편 해바라기를 재료(材料)로 한 제환경조건(諸環境條件)에 관계하는 광합성실험(光合成實驗) 결과(結果)로 얻어진 (8)식(式)에 의하여 동력학식(動力學式)에 대한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 PDF

전동싸리의 생장에 미치는 Al과 Co의 영향

  • 박태규;송승달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0년도 정기총회 및 봄 학술발표회
    • /
    • pp.245-246
    • /
    • 2000
  • 콩과식물인 전동싸리를 대상으로 통제된 조건하에서 Al과 Co처리에 따른 식물체의 생장반응과 식물체내 중금속의 축적정도 및 근류의 질소고정 활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중금속은 Co가 Al보다 높게 축적되었고, 처리 초기에는 지하부를, 장기간 처리시는 광합성 기관의 생장을 억제했는데, Co 처리는 영향이 미약하였으나, Al처리구는 다소 심각한 영향을 주었으며, 생장에 비해 질소고정계의 피해가 현저하였다. 전동싸리는 흡수된 중금속을 뿌리수준에서 조절함으로써 광합성기관으로 이동을 억제하는 중금속에 대한 생장적응을 나타내었다. 결국 전동싸리는 30ppm의 중금속 처리시 뿌리 수준에서 조절함으로써 광합성기관으로 전이를 차단하여 금속에 대한 내성 나타내었고, Al이 Co보다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광합성유효광량자속과 광주기에 따른 대목용 박의 생육 특성 (Growth and Development of Bottle Gourd(Lagenaria siceraria Standl.) for Rootstock Affected by Photosynthetic Photon Flux and Photoperiod)

  • 김용현;박현수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9-22
    • /
    • 2000
  • 접목을 실시할 때 접수와 대목의 적정한 생육은 접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활착 후 접목묘의 묘소질 지속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연광 조건에서 육묘를 실시하면 묘의 생육이 불균일하여 묘소질이 일정치 않게 된다. 그러므로 인공광을 이용한 폐쇄된 환경 조건에서 육묘가 바람직하나, 대목용 박에 대한 적정 광합성 유효광량자속 또는 광주기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목용 박의 초기 생육에 미치는 광합성 유효광량자속과 광주기의 영향을 구명하는 데 있다. (중략)

  • PDF

광합성의 생리생태(1) - 광도와 엽육내 $CO_2$분압 변화에 대한 광합성 반응 - (Ecophysiology of Photosynthesis 1: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Intercellular $CO_2$ Pressure on Photosynthesis)

  • 김판기;이은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6-133
    • /
    • 2001
  • 녹색식물과 같이 독립영양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CO_2$와 물로 탄수화물을 만드는 일련의 반응을 광합성이라 한다. 그 일련의 반응 중에서(그림 1) 반응 I과 II는 틸라코이드(thylakoid)에서, 반응 III은 스트로마(stroma)에서, 반응 IV는 엽록체내와 세포질에서 일어나는 반응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나타난다. 과거에는 반응 I과 II를 명반응, 반응 III과 IV를 암반응이라 부르기도 하였다.(중략)

  • PDF

Cyanobacteria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및 전망

  • 김영창
    • 미생물과산업
    • /
    • 제17권2호
    • /
    • pp.2-10
    • /
    • 1991
  • 식물체에서 일어나는 유전자 발현의 광조절 현상은 매우 복잡하다. 이는 각 유전자들이 조직에 따라 질적, 양적, 시간적 측면에서 빛에 대한 반응에 커다란 차이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물체를 대상으로 광조절 기작을 연구하는 데는 현상의 복합성과 실험과정의 기술적, 시간적, 경제적 제약이 많기 때문에 이에 관한 연구가 아직 초보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 광합성 세균 중에서 purple bacteria나 green bacteria와는 달리 식물성 광합성을 하며, 식물체보다 세포구조가 훨씬 간단한 cyanobacteria는 유전자 발현의 광조절 기작을 연구하는데 간단, 명료한 'model'로서 기대되는 바 크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cyanobacteria의 광계와 광합성 색소인 chlorophyll의 생합성 과정을 중심으로 광조절 현상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과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일사량, 온도, 탄산가스 농도 및 엽중 질소농도가 양액재배 오이엽의 광합성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tosynthetic rate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Plants as Affected by Light Intensity, Temperature, Carbon Dioxide and Leaf Nitrogen Content)

  • 임준택;김학진;정순주;이범선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87-191
    • /
    • 1999
  • 식물의 호흡에 영향하는 환경요인은 총 광합성율에 영향하는 모든 요인을 들 수 있으며 뿌리의 호흡에는 근권환경요인 및 질소 흡수량과 같은 영양요인도 들 수 있다.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식물의 생장 및 수량을 예측하는 식물생장모형의 개발은 식물의 생장이 광합성과 호흡에 의해 좌우되므로 환경요화의 변이에 따른 생육모형개발이 우선적이라 할 수 있다. (중략)

  • PDF

탄산가스($\textrm{CO}_2$) 농도의 계측 (3) ($\textrm{CO}_2$ Concentration Measurement (3))

  • 류관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5-68
    • /
    • 1993
  • 탄산가스는 탄소나 그 화합물이 완전연소할 때, 생물이 호흡할 때, 발효 등에 의하여 생성되는 무색, 무취의 기체로 분자식은 $CO_2$(이산화탄소)이며, 분자량은 44, 비중은 공기 1에 대하여 1.529이다. 식물은 탄산가스와 물을 원료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수화물을 합성하므로 탄산가스는 광합성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탄산가스가 충분하게 공급되지 않으면 광합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가 없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대기중의 농도(0.03%)보다 높은 농도에서 포화점을 갖고 있으므로 대기중에서의 탄산가스의 농도는 식물의 광합성작용에 충분하지 못하며, 생육촉진을 위해서는 인위적인 방법으로 탄산가스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실용화되고 있다.(중략)

  • PDF

미국인삼의 광합성에 미치는 단색광의 영향 (Photosynthesis Rate of American Ginseng under the different Monochromatic Light)

  • 이종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87-91
    • /
    • 1988
  • 일복개량의 일환으로 일복의 피복재선택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적색광, 청색광 및 백색광하에서 미국인삼(Panax quinquefolin L.)의 광합성을 측정하였다. 광질별 광합성량은 전반적으로 적색과, 백색광 및 청색광 순으로 많았으며 그 광합성량의 차이는 조도가 증가할수록 감소되었다. 따라서 일복의 피복물 색상은 적색으로 하는 것이 인삼(미국인삼) 생육에 유이할 것임을 시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