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학소자

검색결과 1,375건 처리시간 0.029초

바이오포토닉스응용을 위한 MEMS 미세광학소자의 개발 (MEMS Technology for Biophotonic Applications)

  • 정기훈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9년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87-388
    • /
    • 2009
  • 바이오포토닉스는 생물학과 포토닉스의 융합학문으로 특히, 최근 바이오이미징기술, 광바이오센서, 광조절 및 바이오칩의 광학센서시스템 및 광학집게 개발등에 큰 관심을 받고 있고 다양한 융합연구를 창출하고 있다. 미세기전시스템(MEMS: Microelectromechancial system)은 센서나 구동기를 초소형화 하기 위해 매우 유용한 기술로서 지난 10여년간 광통신분야에서 미세광학소자 및 집적광통신 반도체소자개발에 응용되어왔다. 최근 이러한 MEMS 기술을 이용하여 고감도 바이오센서나 고분해능, 실시간 바이오 이미징시스템을 초소형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포토닉스 응용을 위한 광학소자의 초소형화 기술의 장점과 응용가능분야에 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광학R&D산실 - 초정밀가공 방산기술 국산화로 도약의 기지개 '활짝', 한국전광(주) 부설연구소

  • 박지원
    • 광학세계
    • /
    • 통권126호
    • /
    • pp.22-24
    • /
    • 2010
  • 한국전광(주)(대표.채진석, www.keocvi.com)는 코팅전문업체로서 국내보다는 미국, 일본, 독일 등 세계에 먼저 이름을 알리며 고출력레이저광학소자의 가공 및 코팅에서만큼은 이미 세계 최고 대열에 들어섰다고 자부한다. 최근에는 방산, 항공우주, 반도체, 의료기기 등 전방위에 들어가는 고부가가치 광학소자 및 시스템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시키며 광학부품업체에서 토털솔루션 제작업체로 변신을 추구하고 있는 가운데 부설연구소의 김기호 연구소장을 만나 최근의 연구개발 현황을 들어보았다.

  • PDF

해외리포트 - 편광소자의 광학특성의 한계

  • Toda, Shin-ichiro
    • 광학세계
    • /
    • 통권122호
    • /
    • pp.44-49
    • /
    • 2009
  • 이번호에는 광기술컨텍트 2009년 5월호 <특집:광학기술의 한계>에서 Toda Shin-ichiro씨가 기고한 '편광소자의 광학특성의 한계' 내용을 번역하여 게재한다. 최근 노광기, 광기록을 비롯하여 레이저 가공, 광계측 등 여러 분야에 걸쳐 광원파장의 단파장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광학부품의 하나인 편광자의 자외화(紫外化)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성능적으로 밸런스가 좋은 편광자로 글랜 톰슨 프리즘을 들 수 있는데 본 고에서는 글랜 톰슨 프리즘 구조에서 파장 $\lambda$=1800nm부터 사용 가능하고 투과율도 높은 편광자와 그 제작 시의 문제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PDF

GaAs 광전집적 회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GaAs Optoelectronic Integrated Circuits)

  • 권영세;홍창희;유회준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1990년도 광학 및 양자전자학 워크샵
    • /
    • pp.6-12
    • /
    • 1990
  • GaAs 광전집적회로의 구현을 위해 MBE와 MOCVD system을 이용하여 수직 구조에 알맞는 광소자 및 전자소자를 개발하였으며 이 소자들의 집적화를 시도하였다. 발광소자로서는 Bcllcorc와 공동으로 MBE를 이용하여 표면 방출형 레이저 다이오드 및 array 구조의 연구가 시도 되었고 수직형 전자소자로서는 sclcctive MOCVD를 이용하여 W이 매몰된 VFET 구현하였다. VFET 위에 LED를 집적시켜 출력단의 수직 광전집적회로를 제안하고 제작하였으며 수신단 광전집적회로에서는 PIN 다이오드와 VJFET를 집적화한 광전집적회로가 현재 연구중에 있다.

  • PDF

촬영계 및 미소 렌즈

  • 한국광학기기협회
    • 광학세계
    • /
    • 통권102호
    • /
    • pp.28-36
    • /
    • 2006
  • 소자의 추세로는 고정밀도화 및 소형(소경)화 및 복합화가 키워드라고 할 수 있으며, 중요한 것은 이들 키워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독자적인 설계 기술과 독자적인 제조 기술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기존의 가공법이라도 양성해 온 노하우나 기술을 바탕으로 고정밀화와 소형화 및 환경 대응을 위한 대처 방안이 중요하며, 또한 그 이전에 요구되는 소자의 고기능화 및 복합화에 대하여 종래의 생각에 구애받지 않는 새로운 소자 설계 기술이나 그를 유지할 가공법에 대한 개발이 중요하다. 본 고에서는 제품이나 용도의 관점에서 최근의 유리 렌즈가 요구되는 양상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유리 렌즈 제조 추세를 제안하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