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표백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Refractive Index Changes of Polymer Film by Photochemical Reactions (광반응에 의한 고분자 필름의 굴절률 변화)

  • 조정환;신미영;이종하;김성수;송기국
    • Polymer(Korea)
    • /
    • v.28 no.6
    • /
    • pp.545-550
    • /
    • 2004
  • The refractive index of thin copolymer film was controlled by photo-degradation of chromophores in the copolymer. FTIR and UV/Vis spectroscopy were employ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chemical structure on refractive index changes after photobleaching. The decrease of refractive index of the film by photobleaching can be ascribed to the decrease of polarizability of polymer molecules through breakage of C =C bond in the chromophore. Due to the selective photoreaction of the chromophores which align along the film plane, refractive index of the copolymer film measured in TE mode decreases faster than that in TM mode. Polarized ATR-FTIR spectroscopy was used to verify such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of the film.

Influence of Monochromatic Light on Photosynthesis and Leaf Bleaching in Panax species (단색광이 인삼속 식물의 광합성과 잎표백화에 미치는 영향)

  • Lee Sung-Sik;Proctor John T.A.;Choi Kwang-Ta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v.23 no.1 s.53
    • /
    • pp.1-7
    • /
    • 1999
  • Photosynthetic rates and leaf bleaching were measured under light of far-red, red, orange, green, blue and white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light qualities on photosynthesis in Panax species, P. ginseng and P. quinquefolium. Photosynthetic rate of P. ginseng and P. quinquifolium showed higher in the order under the light of red > orange > blue > white > green. Degree of leaf bleaching in P. quinquifolium showed severer in the order under the light of far-red > red > white > blue > orange > green. These suggest that shading material with blue or orange color is good for ginseng growth. As for the effect of temperature, the photosynthesi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untill $25^{\circ}C$ and thereafter decreased. Therefore, it was clarified that the optimum temperature for photosynthesis of P. ginseng and P. quinquefolium was $25^{\circ}C$. And the dark respiration rate of ginseng leaf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air temperature. Especially, the dark respiration rate increased by $80\%$ for P. ginseng and by $73\%$ for P.quinquefolium at above $30^{\circ}C$ as compared with $25^{\circ}C$. In general, the photosynthesis rate was higher in P. quinquifolium than in P. ginseng and ranged from 3.54 to 4.04 mg $(CO_2{\cdot}dm^{-2}{\cdot}hr^{-1})$ for P. quinquefolium and from 2.08 to 2.59 mg$(CO_2{\cdot}dm^{-2}{\cdot}hr^{-1})$ for P. ginseng.

  • PDF

Self-Organized Dynamics of Photoinduced Phase Grating formation in Optical Fibers (광 섬유내의 광유도 위상격자가 형성되는 자기조직 역학에 관한 연구)

  • 안성혁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4 no.4
    • /
    • pp.464-473
    • /
    • 1993
  • The dynamics of phase grating formation with visible light in an optical fiber is investigated. Adopting a simple two-photon local bleaching model, it is shown that the grating self-organize into an ideal grating, where the writing frequency is always in the center of the local band gap, as it evolves. The evolution at each point in the fiber is described in terms of a universal parameter that reduces the coupled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describing the system to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r~s. These equations are used to prove that there exists a fixed point of the grating growth process that corresponds to a perfectly phase-mached grating.

  • PDF

Polymeric digital optical switch with a coupling region modified for optimum mode coupling (모드 결합을 최적화 하기 위해 수정된 결합 영역을 갖는 전기광학 폴리머 디지탈 광스위치)

  • 이상신;신상영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8 no.3
    • /
    • pp.245-249
    • /
    • 1997
  • An electro-optic polymer digital optical switch with a coupling region modified for optimum coupling is designed and demonstrated. Its branch waveguide is fabricated by reactive ion etching. Then, the modified coupling region is adiabatically introduced along the propagation direction from the branching point of the two waveguides, and it is implemented by photobleaching after the device fabrication. The structure of the modified coupling region and its refractive index profiles are designed to optimize and mode coupling in the Y-branch waveguide. Therefore, the switching performance of the device was shown to be enhanced with a fixed device length. The measured drive voltage is reduced by more than 30 percents, and the crosstalk is also improved by about 4~6 dB.

  • PDF

Photodegradation of Cellulosics(Part II) - Chemical Properties of Irradiated Cotton - (Cellulose의 광분해에 관한 연구(II) - 광조사된 면섬유의 화학적 성질을 중심으로 -)

  • 전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18 no.1
    • /
    • pp.15-22
    • /
    • 1994
  • The formation of carbonyl group was dominant to other functional groups. Concentrations of both carboxyl and peroxide groups were found to rapidly reach low steady state values that increased slightly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relatice humidity. Since the deg-radation of cellulose samples was in the initial stage and the conversion of glycosidic bonds and hydroxyl groups were very small, it was found that changes i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could be fitted to a first-order reaction model.

  • PDF

Fabrication of integrated optical waveguide polarizer by utilizing the birefringence induced by photobleaching in an electro-optic polymer (광표백으로 유기되는 복굴절을 이용한 전기광학 폴리머 광도파로 편광기의 제작)

  • 안세원;이상신;신상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D
    • /
    • v.34D no.4
    • /
    • pp.73-78
    • /
    • 1997
  • A polymeric waveguide TE-pass polarier operating at wavelengths around 1.55.mu.m is realized by utilizing the birefringence induced by photoleaching at room temperature. To implement the polarizer, the photobleached waveguide supporting only TE mode is integrated in the middle of the etched rib waveguide that supports TE and TM modes. It has a simple structure and requires no high temperature process like poling. The measured polarization extinction ratio is about 21dB and the estimted excess loss is about 0.4dB.

  • PDF

Measurement of Diffusion Coefficient in Cell-Laden Agarose Gel with Different Cell Concentrations (아가로스 겔에 포함된 세포의 농도가 확산 계수에 미치는 영향 측정)

  • Lee, Byung Ryong;Jin, Song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Visualization
    • /
    • v.11 no.1
    • /
    • pp.16-21
    • /
    • 2013
  • In this study, diffusion coefficients of 20 kDa FITC-dextran in 2% agarose gel with different cell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fiberoptic-based fluorescence recovery after photobleaching technique. As increasing cell concentration suspended in agarose gel, the diffusion coefficients were decreased.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agarose gel which contains $10{\times}10^6$ cells/ml was decreased to 11% that of in agarose gel without cells. The distribution of fluorescence dye in 3D scaffold was also simulated.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the diffusion coefficient is more significant factor than the scaffold structure.

Studies on Photoprotection of Walnut Veneer Exposed to UV Light (자외선 노출에 의한 Walnut 베니어의 광 변색 방지 연구)

  • Park, Se-Yeong;Hong, Chang-Young;Kim, Seon-Hong;Choi, June-Ho;Lee, Hyo-Jin;Choi, In-Gyu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6 no.3
    • /
    • pp.221-23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everal chemical treatments to prevent photodegradation of wood veneer by external UV (Ultraviolet) light. Of woods, walnut veneer is selected as a raw material for this study since it is known as a luxurious wood with dark color giving an esthetic effect. Alcohol-benzene, hydrogen peroxide ($H_2O_2$) and sodium hypochlorite (NaClO) solution were used for investigate the effect on color stabilization. Despite the removal of the extractive compounds, which is known as a discoloration component, a significant color change of walnut wood veneer was observed. Meanwhile, the veneers treated by 20 and 30% $H_2O_2$ solution at $75^{\circ}C$ for 1 h also showed the no positive effect of color stability exposed to UV light although they have a bleaching effect on wood veneer. Besides, it was difficult to maintain the original color of walnut veneer due to the elution of the extractive compounds. On the other hands, the veneer treated by NaClO solution indicated the good performance on color stability despite of the intensive UV light test. However, when the concentration exceeds 3%, surface roughness and fiber damage occurred simultaneously. Therefore, the walnut species should be treated with proper concentration when sodium hypochlorite is applied to the veneer.

국내 석회석의 활용현황

  • 채영배;정수복;김완태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10a
    • /
    • pp.93-101
    • /
    • 2002
  • 석회석은 우리나라 광업법 제3조에서 규정한 법정광물로써 백운석, 대리석, 방해석 및 코퀴나 등을 포함하며, 최근 우리나라 전체 광산물 생산량의 $75\%$를 상회하는 단일광종 최대생산량을 나타내고 있는 광종이다. 이외에도 석회석 광은 여러 가지 통계적으로도 국내 최대임을 나타내는데, 즉, 2001년도 우리나라 일반광(66종) 등록광구수 5,242개소 중에서 1,494개소를 차지하여 $28.5\%$를 차지하며, 가행광산 수에서도 320개소 중 109개소$(34\%)$, 근로자 수에서는 4,291명중에서 2,748명$(64\%)$으로 최대의 규모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석회석 및 관련제품은 오늘날 화학공업이나 환경산업 등 각종의 산업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의 이용 역사에서도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즉, 고대 유적분석 결과는 이미 신석기 시대에도 석회 재료가 쓰였을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성경(신명기 27장 1-5절)에도 소개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의 석회 사용의 역사도 동국여지승람(성종16년), 세종실록, 문종실록 등에 석회 산지가 자세히 조사 기록되어 있으며 소성석회의 제조, 사용에 대하여도 기록하고 있다. 이외에도, 그리이스, 로마, 중국 등지의 역사에서는 건축재, 농업, 표백 및 제혁공업 등에 사용되었다는 사실이 발견되고 있지만, 석회석의 용도가 크게 증가된 것은 역시 산업혁명 이후 20세기가 시작되면서부터 라고 할 수 있다. 석회석은 국가산업구조 및 인간의 삶의 양식에 따라 그의 용도가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변화하는 만큼, 그의 품질 또한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아직도 시장규모가 큰 일부용도이외에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다양한 품질의 석회제품을 제조하는 데에는 인색하고, 또한 사용자의 대부분은 용도가 명시되어 있는 외국의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에 따라 석회석 및 관련제품의 수입량이 감소하지 않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는 국제통화기금(IMF)이후에, 국내산업을 보호하는 정부의 규제나 지원은 폐지 또는 축소되고, 외국회사의 시장참여에 의한 국제경쟁기반이 약화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고 환율에 의하여 일부제품의 수입은 자제되고, 국내산 대체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안정되고 신뢰할 수 있는 품질의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국내시장의 확장에는 좋은 시기가 될 수도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최근 국내 석회석 관련제품을 활용하는 사례를 분석하고 향후 유효 이용을 도모하는 데에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작성하였다.

  • PDF

국내 석회석의 활용현황

  • 채영배;정수복;김완태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2.10a
    • /
    • pp.93-101
    • /
    • 2002
  • 석회석은 우리 나라 광업법 제3조에서 규정한 법정광물로써 백운석, 대리석, 방해석 및 코퀴나 등을 포함하며, 최근 우리 나라 전체 광산물 생산량의 75%를 상회하는 단일광종 최대생산량을 나타내고 있는 광종이다. 이외에도 석회석 광은 여러 가지 통계적으로도 국내 최대임을 나타내는데, 즉, 2001년도 우리 나라 일반광(66종) 등록광구수 5,242개소 중에서 1,494개소를 차지하여 28.5%를 차지하며, 가행광산 수에서도 320개소 중 109개소(34%), 근로자 수에서는 4,291명중에서 2,748명(64%)으로 최대의 규모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석회석 및 관련제품은 오늘날 화학공업이나 환경산업 등 각종의 산업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의 이용 역사에서도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즉, 고대 유적분석 결과는 이미 신석기 시대에도 석회 재료가 쓰였을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성경(신명기 27장 1~5절)에도 소개되고 있고, 우리 나라에서의 석회 사용의 역사도 동국여지승람(성종16년), 세종실록, 문종실록 등에 석회 산지가 자세히 조사 기록되어 있으며 소성석회의 제조, 사용에 대하여도 기록하고 있다. 이외에도, 그리이스, 로마, 중국 등지의 역사에서는 건축재, 농업, 표백 및 제혁공업등에 사용되었다는 사실이 발견되고 있지만, 석회석의 용도가 크게 증가된 것은 역시 산업혁명 이후 20세기가 시작되면서부터 라고 할 수 있다. 석회석은 국가산업구조 및 인간의 삶의 양식에 따라 그의 용도가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변화하는 만큼, 그의 품질 또한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하지만,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아직도 시장규모가 큰 일부용도이외에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다양한 품질의 석회제품을 제조하는 데에는 인색하고, 또한 사용자의 대부분은 용도가 명시되어 있는 외국의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에 따라 석회석 및 관련제품의 수입량이 감소하지 않고 있다. 최근 우리 나라는 국제통화기금(IMF)이후에, 국내산업을 보호하는 정부의 규제나 지원은 폐지 또는 축소되고, 외국회사의 시장참여에 의한 국제경쟁기반이 약화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고 환율에 의하여 일부제품의 수입은 자제되고, 국내산 대체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안정되고 신뢰할 수 있는 품질의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국내시장의 확장에는 좋은 시기가 될 수도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최근 국내 석회석 관련제품을 활용하는 사례를 분석하고 향후 유효이용을 도모하는 데에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작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