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역지역청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Intercomparison of Satellite-based Climate Hazards Group InfraRed Precipitation with Stations (CHIRPS) Gridded Dataset and Rain Gauge Data over Korea (Climate Hazards Group InfraRed Precipitation with Station (CHIRPS)와 한반도 지상관측 강수량 자료의 비교 평가)

  • Jeon, Min-Gi;Nam, Won-Ho;Mun, Young-Sik;Kim, Taegon;Hong, Eu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97-201
    • /
    • 2018
  • 인공위성 기반의 원격탐사자료는 홍수, 가뭄 등 자연재해에 대한 모니터링 및 예측에 활용되어 왔으며, 특히 인공위성을 이용한 광역적 강수량 추정 자료는 지형적 제약을 받는 지상관측자료와 비교하여 시공간적으로 연속적이고 균질한 강수량 자료 취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상대적으로 조밀한 지상관측망이 구축되어 있어 공간적으로 상세한 강수량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지만, 북한 지역의 경우 기상, 수문, 통계자료에 관한 자료의 접근 및 품질의 제한성으로 인해 미계측 지역에 대한 강수량의 추정에 한계가 있다. CHIRPS (Climate Hazards Group InfraRed Precipitation with Stations) 데이터는 1999년부터 미국국제개발처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 미국항공우주국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미국해양대기청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의 지원으로 개발된 전지구 강우데이터 자료이다. CHIRPS는 1981년부터 현재까지 전지구 강우자료를 0.05도 격자 해상도로 제공하고 있으며, 강수량의 추세 분석 및 가뭄 모니터링을 위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HG (Climate Hazards Group)에서 제공하고 있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광역적 강수량 추정 자료인 CHIRPS와 남한 및 북한의 지상관측 강수량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위성으로부터 유도된 격자 강수량자료의 정확도 및 지역적인 강수추정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수자원 및 재해 분야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Generation and assessment of drought outlook information using long-term weather forecast data (장기예보자료를 활용한 가뭄전망정보 생산 및 평가)

  • So, Jae Min;Son, Kyung Hwa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7-97
    • /
    • 2016
  • 가뭄은 홍수와 더불어 매우 심각한 자연재해이며, 그 특성상 광역적이고 장기간 발생함에 따라 구체적인 발생시점, 규모, 범위 등을 규명하기가 어렵다. 다만, 적시에 경보해야 하는 홍수와 달리 진행속도가 느리고 시간적으로 대처할 여유가 있어 진행중 일지라도 초기에 감지한다면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미국 등 수문기상 선진국에서는 수문기상 장기예보자료를 활용한 가뭄전망정보 생산 및 제공하고 있으며, 활용성을 검증한바 있다. 국내의 경우 기상청에서는 대기-해양-해빙 모델을 접합한 GloSea5 (Global Seasonal forecasting system version 5) 모델을 도입하였으며, 가뭄예보를 목적으로 장기예보자료 기반의 가뭄전망정보 생산체계를 구축한 바 있다(기상청, 2012; 손경환 등, 2015). 본 연구에서는 장기예보자료 기반의 수문기상 전망정보를 이용하여 2014-15년 가뭄사례에 대한 가뭄감시 및 전망정보를 생산 및 평가하였다. 수문기상전망 정보는 기상청 현업예보 모델인 GloSea5와 지면모델을 이용하여 생산하였으며, 관측자료와 수문전망정보 기반의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매스컴 및 언론 보도 자료부터 2014-15년 가뭄에 대한 행정구역별 피해사례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시계열, 지역별 및 통계적(CC, RMSE) 분석을 이용하여 선행시간별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1개월 및 2개월 전망정보의 정확도가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가뭄심도가 심각한 시기의 가뭄상황을 적절히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Metaverse-based Collaborative Content Building Model for Representative Libraries: Focusing on the Gyeonggi-do Region (광역대표도서관의 메타버스 기반 협력적 콘텐츠 구축 모델: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 Seonghun Kim;Mi Ryung Kim;Yoon Ju Roh;Hyojung S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40 no.3
    • /
    • pp.221-244
    • /
    • 2023
  • Focusing on Gyeonggi Library, which is preparing Metaverse services using resident participatory budgets, we deduced the role of Metaverse suitable for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 conducting a preliminary study and analyzing various informational resources. Subsequently, we presented a collaborative content construction and service model primarily centered around the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y.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on-site librarians from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 as well as various libraries across Gyeonggi Province and the entire nation. Through this survey, we extracted insights into the Metaverse role, content possibilities, and considerations for seamless cooper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y. Based on the opinions of surveyed librarians, it was evident that the role of the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y's Metaverse should function as a tool for continuous utilization of library resources and serve as a space for the entire local community. Approximately three-fourths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content development. However, concerns were raised about human resource limitations, budget constraints, and excessive workloads as potential obstacles to participation. This highlighted the need for systematic support from the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y to address these concern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D Promotion Program and its Investment Efficiency for Regional Industry by Practical Analysis: Focused on R&D for Regional Industry in Jeonbuk (실증분석을 통한 지역산업 R&D 육성전략 및 투자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전북 지역산업 R&D를 중심으로)

  • Cha, Hwadong;Baek, Janghyu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8 no.2
    • /
    • pp.233-263
    • /
    • 2015
  • This study considers the improvement of R&D promotion program and its investment efficiency for regional industry. We find out some problems of R&D promotion program and suggest plans to improve investment efficiency of R&D through practical analysis of achievement. Since the 2000s, our country has implemented diverse policies for regional industry; R&D for regional industry has become a core part of business from the point of view of regional industry. As ever, these policies are highly support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through practical analysis of certain region (Jeonbuk), reviews some problems of R&D promotion program and suggests plans to enhance the achievements of a variety of policies, strategies, and projects. We perform practical analysis using three methods for three different aspects: shift-share analysis for each industry type, performance analysis for each investment type and characteristic analysis for each company type. Reviewing the results of practical analysis, we suggest some plans to promote the collaboration of main R&D support organizations and to minimize the doubleness caused sporadically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is research will be used effectively in setting up, implementing, and evaluating R&D investments for regional Industry.

Analysis of Regional Drought Characteristics using Bivariate Joint Drought Index (이변량 결합가뭄지수를 활용한 지역별 가뭄특성 분석)

  • So, Jae-Min;Son, Kyung-Hwa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3-23
    • /
    • 2015
  • 가뭄은 홍수와 더불어 매우 심각한 자연재해이며, 그 특성상 광역적이고 장기간 발생함에 따라 구체적인 발생시점, 규모, 범위 등을 규명하기가 어렵다. 그동안 가뭄관리 기관에서는 가뭄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가뭄 지수를 활용하여 발생시점, 발생빈도, 피해규모, 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해 왔다. 그러나 가뭄특성은 가뭄 지수의 해석방법 및 판단기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부분 가뭄지수가 단일 기상(강수, 기온 등) 및 수문(유출량, 토양수분량, 증발산량 등)정보 기반으로 산정됨에 따라 대상지역의 가뭄특성을 적절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적 가뭄특성을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서는 단일변수 기반의 가뭄지수의 활용보다는 두 개 이상의 변수가 고려된 가뭄지수를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 및 토양수분량 기반의 이변량 결합가뭄지수(Bivariate Joint Drought Index, BJDI)를 산정하고 기존 단일변수(강수량, 토양수분량)에 의한 가뭄지수와 함께 지역별 가뭄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강수량은 1977~2012년 동안의 기상청 관할 59개 기상관측소 자료, 토양수분량은 지표수문해석모형으로 부터 산정한 결과를 이용하였다. 59개 지점에 대한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S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및 BJDI를 산정하였다. 또한, 지점별, 가뭄지수별 빈도해석을 통해 재현기간을 산정하고 과거 가뭄피해사례를 바탕으로 가뭄특성을 정량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현기간은 동일한 심도일지라도 SPI, SSI, BJDI 순으로 BJDI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중부지역이 높고, 남부지역에서는 낮게 산정되었다.

  • PDF

Classification of Wind Corridor for Utilizing Heat Deficit of the Cold-Air Layer - A Case Study of the Daegu Metropolitan City - (냉각에너지를 활용한 바람길 구성요소 분류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 Sung, Uk-Je;Eum, J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1 no.5
    • /
    • pp.70-83
    • /
    • 2023
  • Recently, the Korea Forest Service has implemented a planning project about wind corridor forests as a response measure to climate change. Based on this, research on wind corridors has been underway. For the creation of wind corridor forests, a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wind corridor function is necessary. However, currently, there is no evaluation index to directly evaluate and spatially distinguish the types of wind corridors, and analysis is being performed based on indirect indicator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o evaluate and classify wind corridors by utilizing heat deficit analysis as an evaluation index for cold air generation. Heat deficit was analyzed using a cold air analysis model called Kaltluftabflussmodell_21 (KLAM_2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analysis, the wind path was functionally classified. The top 5% were classified as cold-air generating Areas (CGA), and the bottom 5% as cold-air vulnerable Areas (CVA). In addition, the cold-air flowing Areas (CFA) were classified by identifying the flow of cold air moving from the cold air generation area.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n evaluation method for the effectiveness of wind corridors. It is also anticipated to be used as an evaluation index to be presented in the selection of wind corridor forest sites.

A Study on the Variation of the Peak Discharge according to Temporal Patterns of Short-Duration Rainfall in Urban Area (도시지역에서 단시간강우의 시간분포형에 따른 첨두유량의 변화에 관한 연구)

  • Lee, Jung-Sik;Shin, Chang-Dong;Kim, Yo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68-177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시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설계강우의 시간분포형에 따른 첨두유량의 변화를 규명하고자 Huff 및 Yen과 Chow의 시간분포방법을 이용하여 단시간 강우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기왕의 연구인 건설교통부의 전기간 강우에 의한 시간분포와의 비교를 실시하고, 실제 도시지역에 적용하여 첨두유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한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대상지역은 서울, 부산과 대구지점이며, 강우자료는 1961년부터 2004년까지 44년간의 연속된 자료로서 기상청의 자기우량지 및 AWS자료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첨두유량분석을 위한 대상유역으로는 서울특별시 일원의 성내와 반포배수구역과 부산광역시 일원의 동의대 시험유역, 경북 구미시 일원의 광평배수구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으로 인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Huff의 시간분포방법의 경우에는 단시간 강우자료의 지속기간에 따른 최대강우강도는 제1구간에서 발생할 확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3구간에서 가장 낮게 발생하였으며, 기왕의 연구들과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Yen과 Chow의 시간분포방법에서는 기왕의 연구와 본 연구의 결과에서 전반적으로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셋째, 첨두유량의 비교에서는 시간분포방법에 따라 변화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Fire Patterns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수도권지역의 화재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Sin, Jae-Wook;Kim, Hae-Rim;Park, Young-Ju;Lee, Hae-Pyeong;Moon, Kyong-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24-42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수도권지역(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의 화재발생 유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소방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SPSS와 Clementin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소방방재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의 2007년과 2008년 화재발생 자료를 대상으로 기초통계분석(교차분석, 빈도분석)을 비롯하여 의사결정트리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로서, 수도권지역의 화재건수는 2007년 이후부터 감소하거나 유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화재유형은 50% 이상이 건축/구조물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명피해를 보면 서울시는 다른 수도권지역과 달리 2007년 대비 2008년 부상자와 사망자 수가 감소하였으며, 재산피해의 경우, 서울을 비롯한 대부분의 수도권지역에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 analytic Study on long-term increasing and decreasing Typ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학생수 증감 추세 유형 특성 연구)

  • Yoon, Yong-Gi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6 no.3
    • /
    • pp.27-3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determining when a school established long term school plans accepted by analyzing the trend of increase or decrea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30 years to target of following city, 323 elementary schools in Busan - 16 administration zone for this purpos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ype 5 occupies 55.4% of the total, followed by the second most, type 10, 21.4%> type 11> type 13> type 15, which is the most urgent object of the student placement plan Can be. Second, the results of the Conflict Model I and Conflict Model II showed that Type1 and Type7 were not needed to be adopted. Third, we can see through the case analysis that the effect of excessive school opening on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nearby school is seriou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number of students in Busan, the number of schools with less than 150 students accounted for 12.4% of the total 323 elementary schools, 30.0% for schools with less than 300 students, and 60.4% for students with less than 600 students. Fifth, whe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induction rate of urban redevelopment area in Busan was examined, the average induction rate was 0.37.

A Study on stabilized supporting plan of the specific high-school in Gwangju area (광주지역 특성화고 안정적 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 Yim, Ki-Heung;Chong, Min-Yeong;Park, Chun-Gyu;Son, Myoung-D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7
    • /
    • pp.1-1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tabilized supporting plan of the special high-school in Gwangju area. For this, It is to analysis the general present situation and explore the supporting plan in Gwangju area.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howed the future supporting plan and the current events of the special high-school in Gwangju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