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통다이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19초

충전성을 개선한 각형CFT 기둥-보 접합부의 구조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Beam-to-Column Connections in Rectangular CFT Structures Considering Concrete Filling)

  • 박제영;이명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87-196
    • /
    • 2013
  • CFT구조의 기둥-보 접합부는 강관의 국부좌굴을 방지하기위해 다이아프램이 필요하다. 외측다이아프램 형식은 관통다이아프램 형식보다 콘크리트의 충전성이 좋으나 시공성과 건축설비와 공조하는 측면에서 불편함이 있다. CFT구조 접합부의 상부 다이아프램은 외측다이아프램 형식으로 하고 하부 다이아프램은 관통다이아프램 형식으로 하였다. 이것은 건축물에서 바닥슬래브가 있으므로 상부 다이아프램은 바닥슬래브와 일체가 되고 하부 다이아프램으로 관통다이아프램을 적용하여 건축설비와의 마찰을 피하고자 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충전성을 개선시킨 CFT구조의 구조성능은 상, 하부 모두 관통다이아프램을 적용한 구조와 비교하면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충전성을 개선한 원형 CFT구조의 기둥-보 접합부 구조적 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Beam-to-Column Connections of Circular CFT Structures Improving Concrete Filling)

  • 박민수;김희동;이명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737-745
    • /
    • 2011
  • 콘크리트충전강관(Concrete Filled Tube 이하 CFT)구조는 강관 속에 콘크리트를 충전시킨 구조물로서 강관은 콘크리트를 구속시켜 압축내력을 증가시키며 콘크리트는 강관의 국부좌굴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CFT구조의 기둥-보 접합부는 강관의 국부좌굴을 방지하기위해 다이아프램이 필요하다. 외측다이아프램 형식은 관통다이아프램 형식보다 콘크리트의 충전성이 좋으나 시공성과 건축설비와 공조하는 측면에서 불편함이 있다. 이 연구는 원형CFT구조의 접합부의 상, 하부에 각각 다른 형식의 다이아프램을 적용시켜 콘크리트 충전성을 개선시킨 구조의 구조성능을 실험과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CFT구조 접합부의 상부 다이아프램은 외측다이아프램 형식으로 하고 하부 다이아프램은 관통다이아프램 형식으로 하였다. 이것은 건축물에서 바닥슬래브가 있으므로 상부 다이아프램은 바닥슬래브와 일체가 되고 하부 다이아프램으로 관통다이아프램을 적용하여 건축설비와의 마찰을 피하고자 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충전성을 개선시킨 CFT구조의 구조성능은 상, 하부 모두 관통다이아프램을 적용한 구조와 비교하면 동일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콘크리트충전 각형강관구조의 다이아프램 개구부 형상에 따른 기둥-보 접합부 구조적 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Beam-to-Column Connections of Rectangular CFT Structures having Different Diaphragm Opening)

  • 김기훈;이명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89-298
    • /
    • 2015
  • CFT 구조는 각형이나 원형강관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구조로서, 강관은 콘크리트를 구속하고 콘크리트는 강관의 좌굴을 방지함으로써 부재의 강성 및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통 다이아프램 충전개구부 형상이 각형CFT 기둥-보 접합부의 내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확인한 후,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실험 결과와 비교 검증했다. 이로써 각형CFT 기둥-보 접합부의 내력은 관통 다이아프램의 개구부 면적이 같을 경우 그 형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관통 다이아프램과 보 플랜지의 접합부분 형상 및 치수가 동일하면, 보에 발생한 휨응력이 다이아프램을 통해 기둥으로 전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노 다공질 실리콘 다이어프램에 캐리어 주입을 위한 전극 형성 및 응용 (Formation of electrode for carrier injection into nano-porous silicon diaphragm and its applications)

  • 표성열;강철구;강문식;홍석인;민남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77-78
    • /
    • 2002
  • 본 논문은 Pt/Ti 박막을 HF-ethanol 혼합 용액에 대한 매스킹 물질과 오믹 전극으로 사용하였다. 다공질 실리콘 층에 정공과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온 주입 공정으로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 전극을 실리콘 다이어프램에 구성하였다. 실리콘 다이어프램 영역에 정전압을 인가하여,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관통된 PSi 층을 다이어프램 영역에 성장시켰다. 또한, 제작된 소자를 UV에 대한 광 특성을 고찰하였다.

  • PDF

용접조립 각형 CFT 기둥-보 외다이아프램 접합부의 구조 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Welded Built-up Square CFT Column to Beam Connections with External Diaphragm)

  • 이성희;김영호;최성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75-83
    • /
    • 2016
  • 기존 콘크리트충전 각형강관(CFT) 구조에 사용하는 각형강관은 4개의 판을 용접하여 제작하는 박스칼럼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강관은 제작효율이 저하되며, 또한 기둥-보 접합부에는 내측 다이아프램과 관통 다이아프램을 용접하는데 특수한 용접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얇은 강판을 절곡하는 방식으로 응력집중 위치의 용접을 피하고, 단면효율이 극대화된 내부앵커 돌출형의 용접조립 각형강관을 개발하게 되었다. 용접조립 각형강관은 강관내부에 스티프너가 설치되어 내측 다이아프램과 관통 다이아프램과 간섭이 발생하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용접조립 각형CFT 기둥-보 접합부로 외다이아프램형식을 채택하고 외다이아프램의 설계식을 제안하였으며, 기둥-보 접합부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실대형 4개 실험체를 제작하여 구조거동 및 내력을 분석하였다.

LDPE 필름으로 코팅된 다공질 실리콘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탄산칼륨 용역내의 ${CO_3}^{2-}$ 이온농도 측정 (Measurements of ${CO_3}^{2-}$ ion concentration using porous silicon diaphragm coated with LDPE film)

  • 양정훈;강철구;진준형;민남기;홍석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908-1910
    • /
    • 2001
  • 본 논문은 마이크로머시닝 기술을 이용하여 lift-off 공정으로 패턴닝 한 후 TMAH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용액으로 $5{\sim}100{\mu}m$ 두께의 실리콘 다이어프램을 제작하였다. Pt/Ti 박막을 HF 전해질의 mask 물질로 사용하여 HF 용액 내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정전압을 인가, 다이어프램 영역에 다공질 실리콘을 성장시켜 관통하였다. 140$^{\circ}C$의 질소 분위기에서 $10{\sim}15{\mu}m$두께의 LDPE(Low Density Poly Ethylene) 필름을 물리적으로 다이어프램 영역에 코팅하고 $K_2CO_3$ 용액내에서 ${CO_3}^{2-}$ 이온의 barrier에 의한 전류의 감소를 전기화학적인 분석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일정 전압하에서 이온 농도에 기인하는 다공질 실리콘과 LDPE 표면에서 Barrier의 두께에 따른 저항의 증가를 전극으로 감지하여 농도-전류의 특성을 측정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미지농도의 $K_2CO_3$ 용액내의 ${CO_3}^{2-}$ 이온 농도를 측정하였다.

  • PDF

원사이드 볼트를 이용한 내진 각형강관 기둥-H형강 보 접합부의 구조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Connection of Seismic Rectangular Steel Tube Column-H Beam Using One-side Bolts)

  • 심현주;장보라;정진안;이은택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355-363
    • /
    • 2010
  • 각형강관 기둥은 H형강에 비해서 구조효율성이 높고,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접합 디테일의 부족 및 경험 부족 등의 이유로 현장에서 적용이 제한적이다. 각형강관 기둥을 사용한 기존의 모멘트 접합부는 관통형 다이아프램, 내/외측 다이어프램 형식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관통형 다이어프램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시공과정이 복잡하여 현장에서의 적용을 어렵게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원사이드 볼트를 적용하여 각형강관 기둥의 절단 및 용접을 하지 않는 접합상세에 대한 구조성능 및 내진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제진 강판의 블랭킹가공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lanking Characteristic of Anti- Vibration Sheet Metal)

  • 이광복;이용길;김종호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3년도 제4회 박판성형 심포지엄
    • /
    • pp.29-34
    • /
    • 2003
  • In order to study the shearing characteristics of anti-vibration sheet metal which has been bonded by resin, a blanking die of 40.02mm was manufactured to blank a material and it is used to reduce vibrational noise. The variables employed in this study were 1) Clearance 2) types of stripper plate, and 3) types of the die design technique. These variables were used to study the effects on burr height, diameter of product, and camber height. Lastly, the effect of the position of the rubber during blanking was observed. In the case of burr height from experimental investigation, the push-back die, combined with a movable stripper plate, resulted in the concentration of additional pressure between the cutting edges, meaning the crack initiation was delayed. This result was not affected by lubrication, although appropriate lubrication is preferred to enable a longer lasting die in terms of wear, which results from the presence of adhesive as the sheet metal is blanked. In the comparison of diameter measurement, the push-back die, combined with the back pressure from the knock-out plate showed a favorable precision. The use of the push back die with a fixed stripper plate, with a $4.5\%$ clearance, showed better accuracy in the diameter measurement. For comparing camber height, the push back die resulted in less cambering than the drop-through die. Also, the larger the clearance, the greater was the camber height. Considering experimental results, the shearing of anti-vibrational sheet metal is best achieved when the rubber is laying on the top, blanked with a fixed-stripper plate in a push-back die, with a $4.5\%$ clearance.

  • PDF

외다이아프램 응력경로에 따른 용접조립 각형기둥-보 접합부의 내진성능 평가 (Seismic Evaluation of Welded-formed square Column-Beam Connection for External Diaphragm Stress path)

  • 김선희;염경수;최성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311-322
    • /
    • 2014
  •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에 모멘트 접합부를 만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다이아프램 설치가 필요하다. 그 중 내측 다이아프램과 관통 다이아프램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기둥강관에 특수한 용접기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런 기술은 제작업체의 특수장비 보유에 따라서 제작성 저하와 생산단가 상승 유도 등의 문제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다이아프램을 갖는 실대형 기둥-보 접합부를 제작하였고, 반복가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이아프램의 용접 유무와 콘크리트 충전 여부, 형상에 따른 총 6개의 T자형 접합부 실험을 통해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외다이아프램 내력식에 대한 분석이 이뤄졌다. 본 실험에서 나온 결과를 인장내력식의 적절성을 검토 하였다.

고전압 GaN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완충층 누설전류 분석 (Analysis for Buffer Leakage Current of High-Voltage GaN Schottky Barrier Diode)

  • 황대원;하민우;노정현;박정호;한철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8권2호
    • /
    • pp.14-19
    • /
    • 2011
  • 본 논문에서 실리콘 기판 위에 성장된 GaN 에피탁시를 활용하여 고전압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를 제작하였으며, 금속-반도체 접합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GaN 완충층 (buffer layer) 누설전류와 제작된 다이오드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Ti/Al/Mo/Au 오믹 접합과 Ni/Au 쇼트키 접합이 제작된 소자에 설계 및 제작되었다. 메사를 관통하는 GaN 완충층의 누설전류를 측정하기 위하여 테스트 구조가 제안되었으며 제작하였다. $700^{\circ}C$에서 열처리한 경우 100 V 전압에서 측정된 완충층의 누설전류는 87 nA이며, 이는 $800^{\circ}C$에서 열처리한 경우의 완충층의 누설전류인 780 nA보다 적었다. GaN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의 누설전류 메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해서 Auger 전자 분광학 (Auger electron spectroscopy) 측정을 통해 GaN 내부로 확산되는 Au, Ti, Mo, O 성분들이 완충층 누설전류 증가에 기여함을 확인했다. 금속-반도체 접합의 열처리를 통해 GaN 쇼트키장벽 다이오드의 누설전류를 성공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높은 항복전압을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