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복제도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고구려의 관복 제도

  • 정완진;남윤자;조우현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28-28
    • /
    • 2004
  • 본 연구는 문헌사료와 고분벽화를 토대로 고구려 관복 제도의 변천과정과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문헌에 나타난 고구려의 관복 제도를 살펴보면 의복은 유고제를 유지했으며 관등 고하에 따른 유고의 색채나 소재상의 규제는 보이지 않는다. 신분표시의 기능은 주로 관모가 담당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문헌에 나타난 3세기-7세기까지의 고구려 관모 제도를 고분벽화를 참조하며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략)

  • PDF

청조 관복제도의 등급체계에 관한 연구 (제1보) (A Study on the Rank System of Official Uniforms of Qing Dynasty)

  • 박현정
    • 복식
    • /
    • 제53권1호
    • /
    • pp.17-34
    • /
    • 2003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ank system of official uniforms of Qing dynasty to analyze ethnic characteristics of the official uniforms. As a research document, Qing Huidian Tu(청회전도) has been used. The official uniforms of Qing dynasty were chao-fu(조복), ji-fu(길복), chang-fu(상복), hang-fu(행복), and yu-fu(우복), which were used in different occasions. Each of the five official uniforms had distinct items. For example, chao-fu(조복) consisted of four items: chao-guan(조관), chao-fu(조복), chao-dai(조대), and chao-zhu(조주), and ji-fu(길복) consisted of four items: ji-fu-guan(길복관), long-pao(용포), ji-fu-dai(길복대), and chao-zhu(조주). Each of these items had elements that made distinction between ranks.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important elements to make distinction between ranks were textiles, precious stones, patterns and colors, and additionally the number of Bo(보) and the types of Bo(보) were used.

조선시대 공신초상(功臣肖像)의 관복(제1기) 고찰 (A Study of the Gwanbok (1st period) of Meritorious Vassals' Portraits in the Joseon Dynasty)

  • 김미경;이은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180-203
    • /
    • 2020
  • 연구는 공신초상의 관복 제1기를 하향뿔의 사모와 잡색 단령 시기로 규정하고 성종 7년(1476) 이전에 그려진 조선 초 개국공신(1392)에서 성종 초 좌리공신(1471)까지의 공신초상 관복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관복 제1기에 속하는 공신초상(이모본) 중 이제(개국), 이천우(정사·좌명), 마천목(좌명), 신숙주(정난), 설계조(정난), 그리고 이숭원(좌리) 공신초상 등 관복 표현이 비교적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6점을 선정하고 관복 구성품별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조선 초 삼공신(개국·정사·좌명)의 사모는 모체는 낮고 모정은 둥글며, 사모의 하향각(下向角)은 좁고 짧은 형태였으나 단종대 이후 정난·좌리공신 사모는 모체가 높아지고 사모의 하향각도 두 배 정도로 길어졌다. 그리고 관복 제1기 공신초상의 사모뿔에는 무늬가 표현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국 초에는 단령의 색상 규정이 없었으나 대체로 옅은 색의 단령으로 표현되었다. 세종대 이후 예복용 흑단령 제도가 시작되었으나 공신초상 관복에는 흑단령 제도가 반영되지 않았으며 단종대 이후에는 담홍색 단령으로 표현되었다. 단령 겉감에는 무늬가 표현되지 않았으며, 옆트임에는 '안주름무'가 표현되었다. 단령 받침옷 답호와 철릭 역시 통일된 색상은 없었으나 정난공신 이후에는 청색 답호와 초록색 철릭을 착용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품대는 공신의 품계를 나타내는 역할을 하였다. 단종대 이후 흉배제도가 제정되었으나 제1기 공신초상 중에는 정난공신 신숙주 초상에서만 유일하게 흉배가 표현되었다. 단령에 신는 화자는 조선 초 삼공신 초상에서는 흑화가 확인되었으나 단종대 이후 정난·좌리공신 초상에서는 백화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일부 공신초상의 흑화와 백화 솔기선 부분에 연금사로 장식한 휘(揮)가 확인되었는데 휘 장식의 화자는 3품 이상이 신던 협금화를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남녕위(南寧尉) 윤의선(尹宜善)의 1837년 「혼수발기」 속 관복(冠服) 고찰 (A Study on Nam Nyeong-wie Yun Uiseon's Gwanbok Described in the List of Wedding Gifts in 1837)

  • 이은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3호
    • /
    • pp.200-221
    • /
    • 2019
  •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혼수발기[婚需件記]"는 1837년 8월 순원왕후가 부마 남녕위(南寧尉) 윤의선(尹宜善)에게 내린 혼수품을 기록해놓은 물목이다. 노란 종이에 궁서체로 작성된 이 발기에는 4종의 관복과 평상복, 장신구 등 55종의 복식류가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을 통해 19세기 전기 남자 관복, 부마 관복, 1품 관복 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녕위에게 보낸 "혼수발기"의 복식 기록을 통해 19세기 전기 관복제도를 파악할 수 있었고 "덕온공주가례등록"의 기록보다 더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기록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남녕위는 순원왕후로부터 네 종류의 관복을 받았는데 개인적으로 제작하는 사비(私備) 관복, 즉 조복과 상복 흑단령, 시복 홍단령과 함께 국가에서 제공하였던 공비(公備) 관복, 즉 공복 일습이 포함되어 있었다. 공복은 부마의 명복(命服)으로, 관례복과 혼례복으로 사용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관복이었다. 셋째, 조복으로 금관, 대홍항라조복, 폐슬, 패옥, 후수, 항라백삼, 목화, 상아홀, 서대가 마련되었다. 이 기록을 통하여 1837년 당시까지는 조복용 중단으로 백삼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공복으로 대홍항라공복과 남설한초더그레, 남생경광주창의, 초록왜항라쿠리매가 마련되었다. 이 기록을 통하여 관복의 안감이 더그레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복 안에 창의와 쿠리매, 즉 두루마기를 입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상복으로 사모, 금치쌍학흉배, 유록운문갑사관대, 남운문갑사더그레, 남쌍문초창의와 당자적화문사쿠리매가 마련되었는데, 특히 금치쌍학흉배를 통해 일반 관원과 차별화된 부마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시복으로 분홍광사관대, 남광초더그레가 마련되었다. 시복용 단령은 무늬 없는 분홍색 광사를 소재로 사용하였고 안감으로 남색 더그레를 사용하였다. 일곱째, 의류 소재는 가례 시기인 8월에 적합한 항라, 왜항라, 설한초, 쌍문초, 광초, 갑사, 화문사, 광사, 생경광주 등을 사용하였다.

등급체계 분석을 통한 청조(淸朝) 관복제도의 민족적 특성 연구 (On Ethnic Characteristics of Official Uniforms of Qing Dynasty by Analyzing the Rank System)

  • 박현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54-56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ethnic characteristics of official uniforms of Qing(淸)) by comparing the rank systems of official uniforms of Ming(명(明)) and Qing(淸)) dynasties. As research documents, Dai-Ming-Huidian(大明會典)) and Qing-Huidian-Tu(淸明會圖)) have been used. This research shows that there are many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Manchurians (滿族)) in the official uniforms of Qing(淸)) dynasty. The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Qing dynasty made their own official uniform based on the traditional Manchurians(滿族)) costume, and added rank system on it. Second, Qing dynasty used the animal's leather as the material of official uniforms and distinguished the level of the uniforms according to the rerity value of rareness, color, and warmth of the leather. Third, Qing dynasty used pearls produced in Manchuria as the highest level, as opposed to jades and rhinoceros horns of Ming. Fourth, Qing dynasty eliminated the animal's rank system of twelve patterns which had been used for whole history of China, but the Emperor is the only man who is able to use twelve patterns. Qing dynasty made her own pattern system of standstill/moving dragons and standstill/moving pythons. Fifth, Qing dynasty used the rank system by colors in the order of yellow, red, and blue consistently over various official uniforms, while Ming used different color orders for different uniforms.

발해 건국 초기 관복(官服)에 대한 소고(小考) (A Study on the Official Uniform in the Early Years of the Balhae Era)

  • 전현실;강순제
    • 복식
    • /
    • 제57권2호
    • /
    • pp.59-68
    • /
    • 2007
  • It seems that Balhae(渤海) had built up its national power through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from the early years of an establishment of a dynasty. And the envoys that were sent with the official duties dressed up the official uniform for a diplomatic courtesy. Accordingly, this study will be considered about the official uniform in the early years of the Balhae era. The system of the official uniform of Balhae was classified into two form as the starting from $739\sim742$ A.D. The official uniform of the early years of the Balhae($698\sim739$ A.D.) was based on the costume of the three Kingdoms[三國時代], that is, Yu, Go(待), Jo-u-gwan(鳥羽冠). These results were available owing to the reasons that the Balhaehad succeeded the culture of Go-gu-ryo(高句麗), which w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arhae's own culture, and the most of the governing group and the ruling class in Balhaewere the drifting people from Go-gu-ryo. After that, which the 3th King Mun(文王), acrepted the Tang's culture positively, assumed the reins of government ascended the throne and the brisk exchange with Tang(唐) by the envoys and Suk-wui(宿衛) were dispatched to Tang, the official uniform of the Balhaewas transformed into the system of Tang. This system was similar to that of Tang in point of using a four colors and the items as Danryeong(團領), Bokdu.

조선시대 공신 초상(功臣肖像)의 관복(제2기) 고찰 (A Study on the Official Uniform (2nd period) of Meritorious Vassals' Portraits in the Joseon Dynasty)

  • 김미경;이은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142-163
    • /
    • 2020
  • 조선 전기 적개공신(1467, 1476 초상 제작)과 정국(1506)·정난공신(1507), 위사공신(1545) 초상까지를 아청색 흑단령 차림이 등장하여 정착하는 '관복 제2기' 공신 초상으로 규정하고 적개공신 손소, 오자치, 장말손 초상 3점, 그리고 정국·정난공신 유순정과 홍경주, 정국공신 이우와 유홍의 초상 4점, 총 7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예복 흑단령' 차림의 적개공신 초상의 사모는 성종 초 높아졌던 모체가 다시 낮아졌고 모정은 둥글게 표현되었다. 너비가 넓은 타원형의 사모 양각에 무늬는 표현되지 않았다. 아청색 단령과 답호, 철릭에도 무늬가 표현되지 않았다. 단답호와 철릭의 색상이 각각 녹색과 홍색으로 통일되었으며 단령과 답호의 무는 '안팎주름무'로, 신발은 백화로 표현되었다. 적개공신 초상은 책록 시의 품계가 아닌, 초상 제작 시의 품계로 그려졌음을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시복 흑단령' 차림의 정국·정난공신 초상은 사모의 경우, 적개공신 초상에서 낮아진 사모 모체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되었으나 모정 부분이 조금 좁아지고 앞으로 휜 형태로 변하였으며 사모 양각은 전체적으로 너비가 균일한 타원형으로 표현되었다. 그리고 전 시기와 마찬가지로 사모 양각에도 무늬가 표현되지 않았다. 당하관 초상의 복식에는 무늬가 표현되지 않았으나 당상관 초상의 복식에는 운문(雲紋) 등이 표현되기 시작하였다. 또 단령은 안감 없는 홑단령으로 표현되었다. 당상관 초상에서는 홍색 답호와 녹색 철릭을, 당하관 초상에서는 녹색 답호와 남색 철릭이 표현되었다. 따라서 당상·당하 신분에 따라 받침옷의 색상이 구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단령과 답호에는 '안팎주름무'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신발은 흑화로 표현되었으며 흉배와 품대는 공신 책록 당시의 품계가 반영되어 있었다. 한편 위사공신 초상은 확인할 수 없었으나 명종대의 기록화를 통해 중종대의 단령 제도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살펴 본 제2기 적개공신 공신 초상을 통해 흑단령 차림을 공신 초상의 관복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는 점, 공신 초상 제작 시기의 품계를 초상에 반영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국공신 초상 이후 복식에 무늬가 표현되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흑단령의 무늬 유무로 당상·당하를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표현된 관복 모습은 당시의 관복 규정이나 관행과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당$\cdot$대일본과의 교류관계를 통해 본 발해의 복식문화 연구 - 교류시 품목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Costume of Parhae through the Exchange for Tang and Ancient Japan - focused on the Exchanged Items-)

  • 전현실;강순제
    • 복식
    • /
    • 제55권4호
    • /
    • pp.38-48
    • /
    • 2005
  • This study is consider·ed about the relation or costume among Parhae, ancient Japan and Tang and the culture of this time commonly was influenced by Tang;s culture. The recorded items, which were exchanged from Parhae to Tang and ancient Japan, are the pelt of marten, seal, bear and tiger skin or Ammowhaha(암모화) Gu(구) and so on. Other items from Tang and ancient Japan to Parhae are various clothes and material like silk and so on. This Parhae's clothes made with leather obtained through hunting were the main product of Parhae and had been greatly famous in Tang and ancient Japan. At that time, Tang and ancient Japan had been only dependent on the agricultural life but had not been accustomed to the hunting life, and thereupon, the people in Tang and Nara Era had difficulties to get leather clothes. Accordingly, the leather products stood for the rich, and the people who purchased the leather products from Parhae were recognized as the rich. On the other hand, The prince and the royal family in Parhae were dispatched to Tang as Sooktwui(숙위). They paid a tribute to Tang and In return for it, Tang gave to Sookwui as well as to Parhae's envoys various items and clothes such as Po(포), belt(대), gold and silver Eodae(어대) and textile like a type of silk. These clothes were considered as the formal uniform like Kwanbok(관복) of Parhae. Specially, the time when Sookwui was sent to Tang rot-responded with the time when Tang gave formal uniform to Parhae's envoys.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the sending of Sookwui influenced to form uniform system of Parhae. In this exchange relation, there were several duplicated items showed, for example Po(포)-belt(대), Eui set(의일습), Eoeui(어의), Jobok(조복), Go(고). These items in Parhae were appeared in process of exchanging from Tang to Japan and from Tang to Parhae. At that time, the exchanges between Tang and Parhae were frequently active much more than those between Tang and Japan, and the acceptance of the culture from Tang was easier in Parhae than Japan in consideration of the geographical location. Therefore, those clothes could be understood as the items already used in Parhae and affected from Tang. These items in Parhae were appeared in process of exchanging from Tang to Japan and from Japan to Parhae.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costumes, which Parhae took from Japan, are the same as those of Tang.

조선시대 백관의 시복과 상복 제도 변천 (Development Process of Sibok and Sangbok for Officer in Joseon Dynasty)

  • 이은주
    • 복식
    • /
    • 제55권6호
    • /
    • pp.38-50
    • /
    • 2005
  • A chronological classification of Sangbok(상복) and Sibok(시복) for officers in Joseon Dynasty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classification results in four distinct periods according to the usage of Sangbok and Sibok as well as their colers and naming: 1) the mixed usage period, 2) the usage-differentiation period, 3) the name-differentiation period, and 4) name-reversal period. During the mixed usage period which lasted until the early 15th century, Sangbok and Sibok were used with no distinction. In the usage-differentiation period, the King Sejong first made a regulation on the use of colors of Dal-lyung according to the occasion and black colored uniforms were used only for daily cabinet meetings. In the 16th century, the names of Sangbok and Sibok began to be used distinctively: Sangbok for formal clothing in black color and Sibok for ordinary clothing in pink color This period is defined as the name-differentiation period in this paper. In the name-reversal period f·hick begun around the 17th century, the usages as well as the colors of Sangbok and Sibok are totally reversed because of some confusions of the understanding on the previous government publications. However, the distinction of formal clothing and ordinary clothing remained.

고려 초 공복제[公服制] 도입과 복색[服色] 운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daptation of the Official Uniform and the Uniform Color Regulation in the Early Goryeo Dynasty)

  • 임경화;강순제
    • 복식
    • /
    • 제56권1호
    • /
    • pp.131-142
    • /
    • 2006
  • This research has been done based on the Jeon Si Gwa(田柴科) regulation, the monumental inscription material and the former studies. The background of adapting the official uniform regulation in the early Goryeo Dynasty has been surveyed. Differentiating criterion in the official uniform color like purple(紫衫), red(丹衫), red(緋衫), and green(綠衫) has been studied. The official rank had been classified by the color of the official uniform in the early Goryeo uniform regulation. The lower class had worn purple(紫衫). The purple wearing class had not been the government post but the official rank. Those who worked for the Palace had worn purple color since purple color represented the Imperial Palace on which TAI-IL(太一), that is, the highest one of gods dwelt. Those who had worn red(丹色) in the monumental inscription had worked for the job associated with the military service or Hanlim savant(翰林學士) of Kwangmun Academy(光文院) and Hanlim Academy(翰林元). Dan Seo(丹書) which recorded King's commands also means the monumental inscription. In the Goryeosa(高麗史), the military class had been only in Dan Sam(丹衫). That means those class worn Dan Sam(丹衫) could have been as the strong supportive class for the Dynasty. In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four colored uniform regulation had followed the enforcing policy of the royal authority.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uniform regulation had been used as a way of enrolling the new supporting class into the existing official system. Dan Sam(丹衫) which had been worn only in the early Goryeo can be seen as the special class for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