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tudy on the Adaptation of the Official Uniform and the Uniform Color Regulation in the Early Goryeo Dynasty  

Lim Kyoung-Hwa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Kang Soon-Che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6, no.1, 2006 , pp. 131-14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has been done based on the Jeon Si Gwa(田柴科) regulation, the monumental inscription material and the former studies. The background of adapting the official uniform regulation in the early Goryeo Dynasty has been surveyed. Differentiating criterion in the official uniform color like purple(紫衫), red(丹衫), red(緋衫), and green(綠衫) has been studied. The official rank had been classified by the color of the official uniform in the early Goryeo uniform regulation. The lower class had worn purple(紫衫). The purple wearing class had not been the government post but the official rank. Those who worked for the Palace had worn purple color since purple color represented the Imperial Palace on which TAI-IL(太一), that is, the highest one of gods dwelt. Those who had worn red(丹色) in the monumental inscription had worked for the job associated with the military service or Hanlim savant(翰林學士) of Kwangmun Academy(光文院) and Hanlim Academy(翰林元). Dan Seo(丹書) which recorded King's commands also means the monumental inscription. In the Goryeosa(高麗史), the military class had been only in Dan Sam(丹衫). That means those class worn Dan Sam(丹衫) could have been as the strong supportive class for the Dynasty. In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four colored uniform regulation had followed the enforcing policy of the royal authority.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uniform regulation had been used as a way of enrolling the new supporting class into the existing official system. Dan Sam(丹衫) which had been worn only in the early Goryeo can be seen as the special class for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Keywords
official uniform; Goryeo; monumental inscription; Jeon Si Gwa; regulation; official unifor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구당서 권 45 지 제 25 與服
2 김당택 (1981). 최승로의 상서문에 보이는 후생과 경종 원년 전시과. 고려 광종 연구, 일조각
3 황선영 (1987) 고려 초기 공복체의 성립. 부산 사학, 제10집
4 고려사 93 열전 최승로전
5 삼국사기 38, 잡지 7 職官(上), 四天王寺成典條
6 고려도경 제 19권
7 황선영 (1991).고려 시정전시과의 분석. 고고역사학지, 제7집
8 신호철 (1981).고려 광종대의 공복제도. 고려 광종 연 구, 일조각 pp. 80-84
9 노용필 (2001). 고려 경종초 개혁정치와 그 추진세력, 진단학회. 91, p. 33
10 구당서 권106 王毛仲傳
11 윤성재 (2002). 고려 광종의 정치기반. 고려사학회, pp. 147-148
12 이현숙 (1992). 신라말 魚袋制의 성립과 운용. 사학연구, 43
13 呂氏 春秋 권 5 大樂
14 윤성재 (2002). 고려 광종의 정치기반. 고려사학회, p. 148
15 삼국사기 38, 잡지 7 職官(上), 感恩좋成典條
16 송사 권 153 지 제 106 여복 5 諸臣服下 士人庶服
17 강은경 (1999 ), 고려시기 향리 공복제. 한국사상과 문화, 제4집, 수덕문화사
18 고려사 제 18권
19 고려도경 제 7권
20 김당택 (1981). 최승로의 상서문에 보이는 광종대의 '후생'과경종원년 전시과. 고려광종연구. p. 64
21 고려사 권78 食貨 田制 田架科
22 노용필 (2001). 고려 경종초 개혁정치와 그 추진세력, 진단학회. 91, p. 41
23 황선영 (1987) 고려 초기 공복제의 성립. 부산 사학, 제 10집 p. 31
24 조선금석총람 상. p. 130
25 사기 권 27 天官書 索隱
26 崔南子 天文訓 紫宮者太一之居也
27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p.663
28 김미자 (1982). 우리나라 공복에 관한 연구. 복식, 9
29 唐會要 권31 與服上內外官章服
30 정환호 (2003). 신라 골품저의 전개 과정과 진덕왕대 공복저 정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윤성재 (2002). 고려 광종의 정치기반. 고려사학회, p. 147
32 신호철 (1981).고려 광종대의 공복제도. 고려 광종 연 구, 일조각
33 김당택 (1981).최승로의 상서문에 보이는 광종대의 '후생'과경종원년 전시과. 고려광종연구, p. 72
34 고려사 권78 食貨1 경종2년 3월
35 노용필 (2001). 고려 경종초 개혁정치와 그 추진세력, 진단학회. 91, p. 38
36 고려사 72 지 26 여복 관복 공복(公服)
37 박정수 (1984). 고려전기 관복제 연구- 동아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현숙 (1992), 신라말 魚袋制의 성립과 운용. 사학연구, 43, p. 22
39 유송옥 (1998). 한국 복식사 수학사, p. 117
40 唐會要 권 31 與服上 魚袋
41 박경자(1986). 고려시대의 향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pp. 19-20
42 정일순 (1989). 공복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