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능적 이미지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 연구 - 1990년대 여성복을 중심으로 -

  • 이화정;채금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41-41
    • /
    • 2001
  • 본 연구는 1990년대 밀리터리 패션에서 성적 이미 지의 표현양상을 살펴보고 각각의 미적 특성과 형성 요인을 분석하여 현대 여성의 다양한 미적 가치와 미의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1, 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자연스럽게 등장한 밀 리터리 패션은 20세기 초반에 여성의 사회참여와 지 위 향상으로 인해 실용성과 기능성을 추구하였고 중 반에 들어서면서 히피와 젊은 세대들에 의해 반전운 동의 일환으로 입혀져 안티패션의 의미를 내포하게 되었으며 후반에는 포스트모더 니즘으로 인해 다양성 을 추구하는 복고풍의 패션 트랜드로서 각종 컬혜션 에서 부각되었다. 그 결과 밀리터리 패션은 기존의 남성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여성적 이미지도 표현하 게 되었다. 이러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 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의 남성적 이 미지와 보수적 이미지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 지의 여성적 이미지로 표현되어 나타났다. 남성적 이미지는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남성 중심적 사고 방식에 도전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자아의식이 한층 강하게 작용한 일종의 반 패션 현 상으로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로 특정지을 수 있다. 첫째, 권위적 이미지는 주로 고전적 군복과 제복의 이미지를 차용해 군복이 가지는 권위와 위엄을 표출 하였으며 남성 우월주의에 기초한 영웅주의를 가시 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떳떳하게 자신의 위치를 세 우고자 하는 여성들의 욕구를 대변하였으며 영웅주 의와 가부장제도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공격적 이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에 대한 저 항과 기존의 성 정체성에 대한 저항으로써 전위적인 형태와 해체적인 표현으로 본래의 위엄있는 군복의 이미지를 무너뜨려 남성다웅의 표면적인 메시지를 약화시키고자 하였으며 반체제 정신, 성 정체성에 대 한 저항, 해체주의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성적 이미지는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여성 본래의 성을 부각시키고 여성이 주체가 된 여 성중심적 사고로 여성의 감성적 심리를 패션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보수적 이미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지로 특징 지을 수 있다. 첫째, 보수적 이미지는 남성적 영역이라고 믿어왔 던 군복에 여성성을 강조하여 가늘고 유연한 실루엣 과 곡선적인 라인, 색채. 심플한 디테일만으로 밀리 터리 패션을 표현하여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여성도 사회의 중심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 였으며 남성 권위의 추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 였다. 둘째, 과시적 이미지는 전통적 군복이 과거의 상 류층 엘리트들만의 아이템이었듯이 현대의 여성들은 신분과 매력의 과시를 표현하고자 금속 단추나 벨트 등 기타장식을 부각시킨 밀리터리 패션을 착용하였 으며 엘리트층에 대한 동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관능적 이미지는 신체의 간접적인 노출과 직접적인 노출을 통해 여성의 신체에 의한 에로틱한 관능미를 부여하고자 하였으며 나르시시즘과 보이고 자 하는 욕구, 성적 유희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므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는 패션을 통해 자아를 표현하고 미적으로 자기완성의 방편을 삼으려고 한 현대 여성들의 가치 관과 미의식을 이해하며 이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패 션 트랜드와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The Analysis of Body-Image on the On-Line Game Lineage II Character Fashion (온라인 게임 리니지II 캐릭터 패션에 나타난 바디 이미지 분석(分析))

  • Jin, Kyung-Ok;Seo, Jung-Lip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
    • v.8 no.5
    • /
    • pp.144-15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body-image throughout the on-line games and with this study we researched the symbolic meaning reflected by the character's body-images throughout the fash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images presented in modern fashion is expressed in 4 features on Lineage II game. First, it adopts the ways in which modern fashion expresses the erotic image and represents various sexual stimulation, which can not be represented in the real world, in cyberspace. Second, it expresses the beauty and taste in sensitivity by exchanging the items, which are the features of body-image, each other as the neutral body-image and pursuits for the double side feature between males and females by dismantling the point of view to sex. Third, it shows the new value system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by using extraordinary items and materials that you've never seen in real fashion as the abnormal body-image expressed in informal and inaccurate principal of deformation. Fourth, it show the body with the items which induces more interest and curiosity than the real world do as the humorous body-image accompanying with childish amusement and pleasure.

A study on the origin and the images of violet (보라색의 유래 및 이미지의 고찰)

  • 김은경;김영인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no.16
    • /
    • pp.225-23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d suggest useful data in use of kinds of violet that is resulted from general color images of violet. The origin, history, and general images of kinds of violet were studied, and were classified vased on documcntary reviews.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kinds of violet were used purple, violet, mauva, and magenta in the order of appearance of its color names and the categories of violet had been extended from dark reddish violet to affilicated colors of bright violet by development in synthetie dyestuff. 2) The kinds of violet has neutral characters due to the combination of two extreme colors, red and blue, and thereby revealing voth attreibutes in terms of symbolic, emotional, and spychological features of colors. The positive images in kinds of violet can be classified as nobleness, holiness, mysteriousness, sleep/sedation, sensuality, femininity, fragrance, and the negatibely classified images are weakness, sadness, maelancholiness, death(for example, the mourner's gard in royal families), symbols of moral corruption, and superstition.

  • PDF

The Study on the Chinesm on the Modern Fashion (현대패션에 나타난 차이니즘(Chinesm)에 관한 연구)

  • Kim, Sun-Young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14 no.2
    • /
    • pp.220-23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s the Chinesm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world after the year 2000, and underline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m, as the Chinese fashion market is getting bigger and becomes the cynosure of the world. The method of this study is by research on precedence as well as related researches in Korean and foreign boo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nesm recreates the historic motive which is the traditional costume, ornaments, or make-up etc. to maintain the harmony between the modernity and the past, preventing from following or mimicking. Second, the Chinesm expresses the combinational and harmonious manner with the combined image on the Chinese original symbolic factors mixing with the foreign spatial-temporal elements, the various styles of wear and decoration, and the different images to have the natural or equivocal relationship with one another. Third, The Chinesm magnifies the feminine atmosphere to express the sensual image by using effectively the traditional design factors, which is tight silhouette, coverture, and exposure. Fourth, the Chinesm professes the pro-naturalism embracing the human without conflicting with the human nature. It seems possible on the new value mixed with colors, materials, or patterns, etc.

  • PDF

Twin Motifs and Mirror Images in (<두 개의 사랑>에서의 쌍둥이 모티브와 거울 이미지)

  • Seo, Kok-S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9
    • /
    • pp.19-28
    • /
    • 2020
  • Focusing on (2017),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way twin motifs' desires, deaths, and fantasies are reproduced in mirror images. First, the desire of twin motifs expresses the duality of good/evil and norm/desire as a mirror of sensual temptation. Second, the death of twin motifs expresses the spread of death as a mirror of punishment. Third, the fantasy of twin motifs expresses mental defense as fragmented mirror. In , the twin motifs effectively express three keywords-desire, death, and fantasy- with three mirror images-duality, punishment and division.

A Study on the Effect of Food Colors on the Associations of Flavor -with the Association of Flavor by Chocolate′s Colors- (식품색이 맛의 연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초콜릿 색채에 의한 맛 연상을 중심으로-)

  • 김유진;권은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69-75
    • /
    • 2001
  • 식품의 맛은 미각, 후각, 시각, 청각, 촉각에서 느낀 여러 가지 인상과 개인의 경험이나 기호가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인식된다. 특히 맛을 결정하는 영향 요인 중에서 시각을 통해 인지하는 색은 실제 맛을 지각하기 전에 맛에 대한 이미지를 연상시킴으로써, 식품 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식품색을 적용함에 있어 식품 자체의 맛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색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좀더 관능적으로 선호할 수 있는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특정 식품을 선택하여 구매하고자 할 때 인지하게 되는 맛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도구로서 색채를 사용하기 위해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연구는 초콜릿색에서 연상되는 맛에 관한 웹 설문을 통해 진행되었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식품색에서 연상하게 되는 맛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추출하고, 초콜릿 맛의 종류와 느낌의 정도에 따른 주요 색채의 경향성을 도출함으로써 시각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초콜릿 맛의 공감각적 특성을 전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ostmodern Identity in Madonna Costume -Focusing on the intertextuality- (마돈나 의상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정체성없음)

  • 김주영;양숙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1 no.8
    • /
    • pp.123-139
    • /
    • 2001
  • 본고는 공간, 시간, 계급, 종교 등 하위문화 텍스트의 병행인용 즉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을 통해, 20세기 대중 문화의 상징 마돈나 뮤직 비디오와 공연 등의 인체, 의상, 이미지 등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정체성을 연구함으로써, 현대 미디어 문화를 관통하는 주체적 여성 정체성과 미적 주관성을 이해하고자한다. 첫째, 상호공간텍스트성 복식은 스패니쉬룩. 태국룩. 게이샤룩, 테크노펑크룩, 테크노 카우걸룩 등의 동서양의 지리적 소외감을 통해 비권위적 다양한 시선을 제시함으로써, 다국적 자본주의와 함께 확장된 미적 체험을 하게 한다.; 둘째, 상호시간텍스트성 복식은 중세 엠파이어 드레스, 18세기 로코코시대의 robe'a la francaise, 미래적 제 3의 종 룩 등 동시적 몽환적 이미지를 통해 유희적 유토피아를 지향하였다.; 셋째, 상호계급텍스트성 복식은 그라피티룩, 펑크룩, 키치룩, 먼로 룩, 보깅(voguing), 에비타 룩 등 상하류층, 하위문화, 빈부, 권력의 유무를 병행인용하여, 좋은/나쁜 취향, 창녀/성녀 이분법을 해체하고 반부르조아적 저항과 물질주의를 찬양하는 탈계급적, 양면적 정체성을 구축하였다. ; 넷째, 상호종교텍스트성 복식은 상징적 가부장인 카톨릭교 텍스트를 인용하여 펑키크리스찬 룩, 에로틱 크리스찬 룩 등의 선/악, 신성성/관능성, 미추, 정숙성/비정숙성의 이분법, 비장미를 해체함으로써 예술의 자율성, 무의식이 강조된 쾌락주의적, 반권위주의적 정체성을 주장한다. 섹슈얼리티에 있어, 시선, 권력, 쾌락의 주체가 됨으로써, 미적 범주에 있어 선악, 미추, 정숙성과 비정숙성의 이분법을 해체함으로써, 유동적 자아를 구성한 마돈나 의상의 포스트모던 정체성은 여성에게 확대된 가능성을 제공하며 내부로부터 해체된 열린 복식을 지향한다.

  • PDF

국내 패스트푸드의 현황과 관능검사에 의한 상품비교에 관한 연구

  • Kim, Eon-Hyeon;Jeong, Han-Hyeok;Lee, Cheol-Jae;Jo, Yeong-Rok;Jo, Hyeon-Jun;Chae, Seung-Hui;Hwang, S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05a
    • /
    • pp.211-215
    • /
    • 2004
  • 본 연구는 성장 중인 패스트푸드에 대한 시장규모를 조사하고, 브랜드이미지, 맛, 크기, 제품의 다양성이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고 만족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패스트푸드 시장은 이미 외식시장에 넓게 자리 잡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소비자의 제품선호도는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소비자가 느끼는 품질은 제품이 저가이고, 적은 재료가 사용되었을 때 낮은 것과 가격이 높고 많은 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도 맛의 조화가 없다면 선호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패스트푸드의 대표적인 햄버거는 재료에서는 지방이 적어 열량이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앞으로 건강위주의 식단이 각광을 받는 시점에서 다양한 메뉴와 맛을 개발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않는다면 그리 장래는 밝지 않다고 생각이 된다. 패스트푸드 산업에서도 건강 지향적이며, 기능적인 메뉴를 개발하고, 제조에 사용되어지는 재료에 있어서도 특별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Bifuntional Derivatives of the Monoterpene Odorants and Olfaction - The Structure-Activity-Relationships between Odorants and Olfaction - (Monoterpene 향료의 화학구조와 Olfaction과의 구조활성 상관작용)

  • 유충규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 no.2
    • /
    • pp.75-81
    • /
    • 1987
  • Bifunctional monoterpene 유도체의 향의 유무는 분자내에 존재하는 두 개의 관능기인, proton donor(AH)와 proton acceptor(B)가 olfaction과 구조활성 상호작용(SAR)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Ohloff가설에 의하면, p-menthane monoterpene 분자내의 AH와 B의 입체배위적 최소거리가 3${\AA}$ 이하인 경우 향을 갖고, 3${\AA}$ 이상인 경우는 향을 갖지 않는다. Bifunctional pinanone, thujane, carane, carvomenthone 및 기타 menthone 유도체 등을 이용하여 이 가설을 확대 연구하였다. Bifunctional monoterpene인 (원문이미지참조) 등은 분자내에 각각 AH (OH 혹은 COOH)와 B (C=O)의 입체배위적 최소 거리가 항상 3${\AA}$ 이하여서 향을 가지며, 이들은 olfactory three point attachment에 의한 구조활성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화합물의 proton donor인 OH, 혹은 COOH가 각각 acetylation이나 methylation되는 경우에는 proton donor로서의 기능 상실로 향이 사라지게 되었다.

  • PDF

The Effect of Food Color on the Association of Flavor - with the Association of flavor by Chocolate's Colors (식품색이 맛의 연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초콜릿 색채에 의한 맛 연상을 중심으로)

  • 김유진;권은숙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4 no.2
    • /
    • pp.25-32
    • /
    • 2001
  • The flavor of food is not decided by only the sense of taste. Flavor is a complex ,ionization involving taste and aroma. It is also affected by the appearance, color and shape and touch or texture of food. Although our all senses are crucial factors in recognizing the sense of food, the sense of vision, especially colors, is a more crucial aspect. Because when consumers contact food, first of all, they see and recognize the color of the food and associate the flavor of the food as the colors of the food.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s for applying colors to food so that consumers can associate the flavor of food efficiently. This study conducts a case study using web survey about the association of flavor by chocolate's colors.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shows crucial factors influencing the association of food and color palettes according to sorts and degrees of chocolate's tas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