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9.019

Twin Motifs and Mirror Images in  

Seo, Kok-Suk (세종대학교 영화예술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Focusing on (2017),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way twin motifs' desires, deaths, and fantasies are reproduced in mirror images. First, the desire of twin motifs expresses the duality of good/evil and norm/desire as a mirror of sensual temptation. Second, the death of twin motifs expresses the spread of death as a mirror of punishment. Third, the fantasy of twin motifs expresses mental defense as fragmented mirror. In , the twin motifs effectively express three keywords-desire, death, and fantasy- with three mirror images-duality, punishment and division.
Keywords
Twins Motifs; Desire; Death; Fantasy; Mmirror Image; Movie; ;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최혜원, "성인 쌍둥이의 성장과정에서의 정서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제21권, 제1호, pp.17-47, 2018.
2 츠베탕 토도로프, 최애영(역), 환상문학서설, 일월서각, pp.235-239, 2013.
3 박수미, "스탠리 큐브릭 영화의 기호와 심리," 현대영화연구, 제24권, pp.229-254, 2016.
4 김성일,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영화 속의 거울 이미지," 스토리앤이미지텔링, 제3권, pp.9-37, 2012.
5 강태경, "거울과 문: 욕망하는 주체 또는 '윌-리 로-먼," 현대영미드라마, 제16권, 제2호, pp.5-43, 2003.
6 김성일,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영화 속의 거울 이미지," 스토리앤이미지텔링, 제3권, pp.9-37, 2012.
7 츠베탕 토도로프, 최애영(역), 환상문학서설, 일월서각, pp.254-265, 2013.
8 김만수, "'두 형제' 이야기의 원형과 현대적 변용," 구보학보, 제24호, pp.443-466, 2020.   DOI
9 김남석, "한국 여성영화에 반복적으로 나타난 '거울'과 '새장' 모티브 연구," 공연문화연구, 제40권, pp.37-70, 2020.
10 박현선, "거울 저편에 : 한국 식민지시기 모더니즘적 텍스트에 나타난 정동과 자기반영성," 영상예술연구, 제19권, pp.39-68, 2011.
11 츠베탕 토도로프, 최애영(역), 환상문학서설, 일월서각, pp.257-265, 2013.
12 박수미, "스탠리 큐브릭 영화의 기호와 심리," 현대영화연구, 제24권, pp.229-254, 2016.
13 '분열,' 다음백과 사회복지용어사전,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43XXXXX00253, 2020.6.29
14 이주봉, "<마더>에 나타난 영화의 성찰성: 클로즈업과 얼굴을 중심으로," 문학과영상, 제14권, 제2호, pp.301-325, 2013.
15 손성우, "영화 <기생충>의 욕망의 자리와 환상의 윤리," 영화연구, 제81호, pp.89-122,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