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광객 수

Search Result 55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제주도 어촌의 관광지화에 따른 공간이용 변화

  • 송경언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11a
    • /
    • pp.61-64
    • /
    • 2002
  • 관광지 발달과정에 대한 논의에 있어 발달단계의 구분 지표로 삼고 있는 것은 대체로 관광객 수와 관광 기능이다. 관광객 수를 지표로 하는 것은 관광지와 관광객의 차이에 대한 고려가 소흘하고, 관광기능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관광지와 관광객의 차이를 반영하지만 관광기능과 불가분의 관계인 주민의 공간적 대응과정에 대한 논의는 소극적인 편이다. 그러나, 어촌의 관광기능을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관광지화에 따른 주민의 공간적 대응양상을 살피는 것은 관광지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역문제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중략)

  • PDF

Marketing Strategies for Foreign Tourists by Region, Utilizing of Foreign Card Consumption DB (외국인 카드 소비 DB 활용한 지역별 외국인 관광객 마케팅 전략)

  • Taegyeong Kim;Heechang Han;Chaeyoung Shim;Hyechi Chang;Yoo-Jin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473-474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지역별 소비 경향을 카드 소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다각적인 방면에서 분석하고 정보를 만들었다. 코로나 이전 'K-pop'과 'K-drama'의 영향으로 계속해서 증가하던 방한 외국인의 수는 코로나의 영향으로 50%가량 감소했다. 하지만 '위드 코로나'로 접어든 지금, 다시금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선 각 관광객의 니즈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각 지자체에서는 외국인 관광객이 선호하는 서비스를 파악하고 각 국적별 관광객에게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력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많은 기업에서 지역별, 업종별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처럼, 지자체가 구체적인 데이터를 사용하여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코로나로 어려운 시기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The Effect of Travel Destination Selected Attributes and Satisfaction on Tourism Motivation -Focus on Chinese Tourist- (관광동기에 따른 관광지 선택속성의 차이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 Lee, Yk-S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2
    • /
    • pp.365-37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made to see how Chinese tourists change their destination according to their travel motivation and what affects on their satisfaction. The result follows as below. First, there is partially difference in choosing destination according to their motivation. Secondly, travel motivation affects their satisfaction partially in positive wa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in what was the significance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tourists in the tourist motivation and choice properties, satisfied. Implications through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specialized travel destinations must be developed and constructed to increase number of Chinese tourists. Second, oreover, contents that match with their travel motivation must be developed to improve Chinese tourist's satisfaction.

A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Forecasting Daily Demand of Tourists Using Domestic Foreign Visitors Immigration Data (국내 외래객 출입국 데이터를 활용한 관광객 일별 수요 예측 인공지능 모델 연구)

  • Kim, Dong-Keon;Kim, Donghee;Jang, Seungwoo;Shyn, Sung Kuk;Kim, Kw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05a
    • /
    • pp.35-37
    • /
    • 2021
  • Analyzing and predicting foreign tourists' demand is a crucial research topic in the tourism industry because it profoundly influences establishing and planning tourism policies. Since foreign tourist data is influenced by various external factors,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re are many subtle changes over time. Therefore, in recent year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design a prediction model by reflecting various external factors such as economic variables to predict the demand for tourists inbound. However, the regression analysis model and the recurrent neural network model, mainly used for time series prediction, did not show good performance in time series prediction reflecting various variables. Therefore, we design a foreign tourist demand prediction model that complements these limitations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that predicts foreign tourists' demand by designing a one-dimension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hat reflects foreign tourist data for the past ten years provided by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and additionally collected external factors as input variables.

  • PDF

A Study of QR code application for Daejeon Jungangno Subway Station (대전 중앙로역 역사 내 QR코드 도입 연구)

  • Choi, hye-lim;Noh, hw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07-108
    • /
    • 2015
  • 대전 중앙로역 이용객과 주변 관광지역의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다. 대전의 중심상업지구로 문화를 엿볼 수 있는 공간으로 통하는 중앙로역 역사 내 안내시스템의 정보 부족으로 인해 이용객 및 관광객에게 혼란을 야기한다. 낯선 공간에서의 지하 공간에서 지상으로 이동시 혼란은 증가된다. 그러므로 중앙로역 역사 내 안내시스템에 QR코드로 지하에서 지상까지의 정보를 제공하여 길 찾기에 도움을 주어 중앙로역의 이용객을 배려하여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 PDF

문화공간으로서의 등대 활용방안 연구 - 문화공간으로서의 입지성을 중심으로 -

  • Kim, Jae-Gwan;Kim, Ga-R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31-434
    • /
    • 2013
  • 국민관광객과 방한 외래관광객의 증가(문체부, 2012)로 도서와 해안지역에 대한 관광수요가 확산됨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등대(예 : 영도등대, 간절곶등대, 울기등대, 거문도등대)를 중심으로 국민생활속의 해양관광공간, 해양레저스포츠공간, 어촌체험공간, 유통관광중심의 어항개발 및 크루즈관광활성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새로움을 추구하는 관광객의 욕구가 증가하면서 틈새관광(niche tourism)의한 형태로 도서 관광(small island tourism)이 주목되고 있다(김영준, 2011). 내륙 중심의 관광에서 해양 관광으로 관심이 변화 확산되면서 친수공간시설에 대한 관광수요의 증가가 예상된다(이한석, 심미숙, 2009). 이와 같은 현실에서 도서에 위치하고 있는 등대자원을 활용하여 관광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등대관광활성화가 기대된다. 등대가 전통적인 기능과 역할에 충실한 항로표지로서 뿐만 아니라 공공서비스장소로서 해양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체험의 장을 제공하고 건축문화유산으로서의 역사성과 등대 고유의 기능에 대한 관광객의 흥미와 욕구를 잘 접목시켜 해양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f development proprity in Goi cave Yung-Woul Gun (영월군 괴골굴의 개발 타당성에 관한 연구)

  • 김성길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0 no.41
    • /
    • pp.39-57
    • /
    • 1995
  • 본 연구는 영월군에 속하고 있는 괴골굴과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동굴 내부의 가치성 판단과 개발 타당성의 평가를 하고, 주변지역의 자연, 인문, 문화자원 등을 종합적으로 관련시킨 개발 타당성을 조사함에 목적을 둔다. 이 동굴지역은 영월과 제천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의 휴식 관광지는 물론, 광역적 관광지원으로서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의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며, 또한, 국민의 경제성장에 부흥하여 관광객의 증가 추세에 대처 할 수 있는 관광자원으로서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관광지리학의 연구 동향은 크게 네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관광자원에 관한 연구, 관광수요에 관한 연구, 관광객의 인지와 선호에 관한 연구, 관광 개발 및 계획에 관한 연구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에 의하면, 본 연구는 네번째의 관광개발에 관련된 논문이라고 볼 수 있다.(중략)

  • PDF

A Comparison Analysis of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Motivation Factors in Jeju-do(province) : A Structural Equation Model (제주지역 내 중국 및 일본 관광객의 선택속성의 차이분석 : 구조방정식 이용)

  • Kim, Min-Cheol;Boo, Chang-San;Kim, Yo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4 no.2
    • /
    • pp.126-14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otivation factors between two groups: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in Jeju-do. Also, this study offered an integrated approach to attempts to extend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evidence on causal relationships of each group among motivation factors,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and finally, the result of path analysis was compa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nese tourists' perceived value was positively affected by tourists' convenience(i.e. reservation system and tour guide) and their cultural experience had an influence on tourists' satisfaction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Japanese tourists' satisfaction was positively affected by tourists' convenience and their perceived valu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ourists' intention to revisi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arketing strategy for each tourist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