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학 적성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29초

벼에서 밀 고분자 글루테닌 단백질(TaGlu-Ax1) 발현을 통하여 쌀가루 가공적성 증진을 위한 마커프리(marker-free) 형질전환 벼의 개발 (Development of Marker-free TaGlu-Ax1 Transgenic Rice Harboring a Wheat High-molecular-weight Glutenin Subunit (HMW-GS) Protein)

  • 정남희;전승호;김둘이;이춘석;옥현충;박기도;홍하철;이승식;문중경;박수권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21-1129
    • /
    • 2016
  • 밀의 고분자 글루테닌 서브유닛[high molecular-weight glutenin subunit (HMW-GS)]은 밀가루의 성질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가공적성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는 Agrobacterium 동시 형질전환법을 이용하여 한국 밀 품종인 ‘조경’으로부터 밀 HMW-GS을 암호화하는 TaGlu-Ax1 유전자를 가지는 marker-free 형질전환 벼를 생산하였다. TaGlu-Ax1 유전자의 종자 특이적 발현을 위하여 밀에서 존재하는 TaGlu-Bx7 유전자의 자체 프로모터를 벡터 내에 삽입하였다. 동시 접종을 위해서 오직 TaGlu-Ax1 유전자와 hygromycin phosphotransferase II (HPTII) 저항성 유전자만으로 구성된 두 종류의 발현 카세트를 독립적으로 Agrobacterium EHA105에 도입하였고, TaGlu-Ax1와 HPTII가 도입된 각각의 EHA105 Agrobacterium을 3:1 비율로 혼합하여 벼 캘러스에 접종하였다. 210개의 HPTII 저항성 형질전환체 중에서 벼 게놈에 TaGlu-Ax1과 HPTII가 모두 삽입된 20개의 형질전환 라인을 획득하였다. TaGlu-Ax1와 HPTII가 벼 게놈에 도입된 것을 Southern blot을 통해서 다시 확인하였다. 형질전환 벼 T1 세대의 종자에서 밀 TaGlu-Ax1 유전자가 전사와 번역되어 오직 TaGlu-Ax1만을 가지는 marker-free 식물체를 T1세대에서 성공적으로 선발할 수 있었다. TaGlu-Ax1 유전자가 발현되는 marker-free 형질전환 식물체는 야생형(wild type)과의 표현형 차이는 없었다. 형질전환 벼의 쌀가루의 제빵적성을 비교하였을 때 TaGlu-Ax1 유전자만이 발현되어서는 제빵적성이 더 나아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더 많은 밀 고분자 및 저분자 글루테닌, 글리아딘의 유전자의 집적과 조합이 쌀가루 가공적성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TaGlu-Ax1 marker-free 형질전환 벼는 쌀가루 가공적성을 증진시키는데 좋은 재료로 사용될 것이다.

헬리콥터 조종사 양성과정 비행훈련요소와 학습성취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Flight Training Factors in Helicopter Pilot Training Course and Learning Achievement)

  • 박철;김상철;탁희석;신승문;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5-5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rief overview of the helicopter pilot training system applied to the Army, and to examine what factors positively affect the successful flight training of helicopter pilot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factors such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lection factors, flight aptitude evaluation, theoretical subjects test, and self-life evalu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only the flight experience was influential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t the beginning of the training course, and the learning achievement represented by the test of theoretical subjects was positively influenced throughout the flight training course. This reaffirms the fact that an individual's high level of motivation or effort influences his flight training performanc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dicators for future development of pilot selection system and pilot training system.

협력적 과학논의활동에서의 초등학교 학생들의 상호작용과 개념변화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action and Conceptual Change in Collaborative Scientific Argumentation)

  • 이미선;김효남;양일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216-23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p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actions shown conceptual changes in collaborative scientific argumentation. Fifty sixth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in Jeonju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en small groups consisting of five students each were organized evenly with considerations of their gender, science achievement, scientific discussion experience and degree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Food web and Ecosystem' and 'Change of Moon shape' were selected as the proper topics of collaborative scientific argumentation in terms of difficulty to be understanded by the $6^{th}$ graders. The small group's dialogue was recorded. The students' activity sheets, field note and interviews of the participant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analyzed the aspect of small groups' interaction shown conceptual change of each student.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interaction aspects of the small group of students who showed conceptual changes in the collaborative scientific discussion have a tendency of showing their discussion responses, explanation-opposition discourse, the use of rigorous criteria, their collaborative attitude and participation.

핵물리 연구 참여 경험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탐구과정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xperiences in nuclear physics research on their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process and career planning)

  • 이인선;최경희;한인식;김선화;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41-55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6명의 예비 과학교사들이 30주간 핵물리 관련 URP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이러한 경험이 그들의 과학 지식 및 과학 탐구 과정, 과학자에 대한 인식, 그리고 그들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참여 학생들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 실험과정 및 토의과정에의 참여 관찰 및 필드노트, 개별 심층 면담 및 그룹면담, 연구일지 등이 주요 자료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 학생들은 과학이론이 생성되기까지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성들, 즉 계속적인 반복의 과정으로 시간과 인내를 요구하며, 창의성과 공동 연구의 중요성 등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전형적인 과학자의 이미지에 대해 다소 변화된 부분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URP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물리학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게 됨과 동시에 물리학에 대한 자신의 적성을 확인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고교학점제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 탐색 (Ways to Restructure Science Elective Courses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이일;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5-15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 구성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고교학점제 전면시행에 대비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선택과목 구성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 분포한 고등학교들이 고르게 포함되도록 지역별로 분배하여 표집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92개 학교의 과학교사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또한 과학과 선택과목 재구조화에 대한 심도있는 의견을 조사하기 위해 12명의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을 초점집단으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설문조사에서 129명(67.2%)의 과학 교사가 현행 2015 교육과정의 과학과 선택과목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현행 선택과목 체제 유지에 반대하는 이유로는 II과목이 생활과 과학 등의 교양 과목 성격의 교과와 진로선택과목에 함께 묶여 있는 것이 적절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과학과 선택과목 기피가 심화되었고, II과목은 진로선택과목임에도 수능 선택과목으로 포함되어 있어 교육과정과 수능의 연계성이 떨어진다고 교사들은 응답하였다.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 선택과목을 구성할 때 고려해야 할 점으로는 기존처럼 과학 I·II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도록 일반선택과목을 구성하여 과학영역별 전체 내용을 접할 기회를 제공해야 하고, 학점제에 대비하여 학생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과학과 선택과목을 편성·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심층면담 결과를 보면, 현재의 과학 I과목 체제는 과목 수가 적은 만큼 과학의 내용영역을 최대한 많이 접하게 할 수 있고, 물리학과 같이 개념의 위계와 체계가 중요한 과목은 쪼개기보다는 한 과목 안에서 중요한 내용을 다뤄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편, 현재의 I과목 체제에서는 문과 진로적성인 학생들이 선택할만한 과목이 없으며, 4개의 과목만으로는 선택권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내용영역별로 과목을 세분화하자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교학점제 취지를 고려한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 편성의 필요성, 진로적성을 막론하고 모든 학생들을 위한 과목으로 과학과 융합선택과목을 구성하는 방안, 과학과 진로선택과목 구성 방안, 대입 제도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 편성·운영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함초 분말 첨가가 제빵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on Making Wheat Flour Bread)

  • 배종윤;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08-913
    • /
    • 2008
  • 함초의 식품에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함초의 제빵 적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함초 분말의 수분함량은 9.39%, 조회분은 25.60%, 조섬유는 73.02%이었으며, 철분과 칼슘의 함량은 각각 17.6 mg%, 117.5 mg%였다. 반죽의 pH는 함초 분말 첨가에 의해 뚜렷한 값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함초 분말 6.0% 첨가구의 발효능은 대조구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그 외 함초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굽기 손실률은 함초 분말 0.6%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굽기 손실률이 낮게 나타났다. 함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빵의 무게도 증가하였으나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에 식빵의 부피는 함초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빵 반죽의 색도는 함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백색도)과 b값(황색도)은 감소하였고, a값(적색도)은 증가하였다. 함초 분말 첨가 식빵의 기호성은 맛과 풍미, 색의 경우 함초 분말 1.2%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증가하였다. 종합적 기호도는 대조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패류의 가공적성 2. 바지락 중금속함량의 시기적 변화 (SUITABILITY OF SHELLFISH FOR PROCESSING 2. Seasonal Changes in Heavy Metal Content of Baby Clam)

  • 이응호;류병호;양승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5-89
    • /
    • 1975
  • 바지락의 가공적성을 판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삼천포 대포리 바지락 양식장의 3년생 바지락에 대하여 1973년 3월부터 1974년 4월까지 수은, 납, 구리, 카드뮴의 함양을 월별로 정량하였다. 수은, 납, 구리, 카드뮴 모두 시기적으로 증감이 심하였고 대체적으로 보아 여름철에 중금속함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시기적인 변화범위를 보면 총수은은 $0.003\~0.038ppm$ 로서 평균 0.018ppm, 남은 $0.096\~0.921ppm$로서 평균 0.445 ppm, 구리는 $0.023\~0.139ppm$서 평균 0.074 ppm, 카드뮴은 $0.009\~0.038ppm$로서 평균 0.023 ppm이므로 가공원료로서 안전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분리대두단백질의 첨가가 제면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ybean Protein Isolate on the Properties of Noodle)

  • 배송환;이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01-1306
    • /
    • 1998
  • 산성, 중성 및 알칼리성 영역에서 각각 추출한 SPI를 첨가한 복합분의 제면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PI-건면과 조리면의 l값은 대조구에 비해 모두 감호하였으나 a와 b값은 증가하였다. SPI-건면의 최적조리시간은 100% 밀가루로 제조된 건면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SPI-조리면의 중량, 부피 및 수분흡수율은 감소하였다. $SPI-2,\;SPI_3,\;SPI_7$$SPI-{10}$-건면의 파쇄력은 첨가농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5%, 10% $SPI-{12}$-건면의 파쇄력은 대조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SPI의 첨가농도와 종류에 관계없이 SPI-조리면의 탄성과 응집성은 대조구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고 씹힘성과 견고성은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아미노산 조성(組成)으로 본 국산소맥(國産小麥)의 제(製)빵특성(特性) (Bread Bak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Varieties seen from their Amino Acid Composition)

  • 류인수;오남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5-208
    • /
    • 1980
  • 제빵 적성면(適性面)에서 본 우리나라 소백 품종의 단백질(蛋白質) 및 아미노산 조성상(組成上)의 특징(特徵)은 다음과 같다. 1. 국산 소맥분의 단백질 함량은 미국산 제빵용 소백분에 비해 상당히 떨어지는 10%미만으로서 제빵용으로는 약간 부족(不足)한 단백질 함량을 보였다. 2. 우리나라 소맥 품종의 아미노산 조성상(組成上)의 특징(特徵)으로는 제빵적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있는 g1utamic acid의 경우 미국산(美國産) 제빵용 소맥분에 비해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위시료중(單位試料中) 함양(含童)으로는 약 25%의 낮은 수준을 보였다. 3. 국산소맥의 proline 및 cystine의 조성(組成)은 미국산 제빵용 소맥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lysine, ammonia와 aspartic acid의 경우는 약간 높은 수준을 보였고, 필수아미노산 조성(組成)은 약간 낮은 경향을 보였다. 4. 일반적으로 국산소맥의 단백질 함량 및 아미노산 조성(組成)은 미국산 제빵 및 제과용 소맥분의 중간(中間)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산 소맥중에서는 영광(永光)이 미국산 제빵용 소맥분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동결저장 및 빙장한 잉어 및 붕장어의 어묵원료적성 (Fish Jelly Forming Ability of Frozen and Ice Stored Common Carp and Conger Eel)

  • 양승택;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4-51
    • /
    • 1985
  • 빙장 및 동결저장한 잉어와 붕장어의 어묵 가공원료로서의 적성에 대하여 실험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K값, VBN, 생균수, pH및 관능검사 결과로 미루어 보아 어묵가공원료로서의 빙장한계는 잉어인 경우 약 16일이었고 붕장어는 약 13 일이었다. 또한 $-30^{\circ}C$, 3개월 동결저장중에는 양시료 모두 그 원료의 품질이 양호한 편이었다. 2. 저온저장에 대한 내성은 잉어가 붕장어보다 다소 강한 편이었다. 3. 제품의 품질특성시험으로서 겔강도, 절곡시험, 보수력, 색조, texture의 측정결과와 관능검사결과로 미루어 보아 빙장시료중 잉어는 빙장 10 일까지 제품품질이 우수하였고 빙장 16 일까지 어묵원료로서 이용 가능하다고 인정되었으며 붕장어인 경우, 빙장 8일까지 제품이 우수하였고 빙장 13일까지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동결저장한 시료로 만든 어묵제품은 양시료 모두 원료 저장 3개월까지 어묵제품 품질이 양호하였으며, 3개월간 동결저장한 원료의 어묵제품 품질은 잉어인 경우 빙장 $3{\sim}4$일째의 것과, 붕장어는 빙장 $4{\sim}6$ 일째의 것과 그 품질이 각각 서로 유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