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 시뮬레이션

Search Result 1,596, Processing Time 0.04 seconds

Test-Bed for the Interoperation of Virtual-Constructive Simulation (소부대 교전훈련 Virtual-Constructive 시뮬레이션 연동개념 연구를 위한 테스트베드)

  • Kwon, Soon-Geol;Choi, Mi-Seon;Kim, Mun-Su;Lee, Tae-Eo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9 no.4
    • /
    • pp.219-233
    • /
    • 2010
  • The objective of the interoperation of L-V-C Simulation is to enable practical integration training by taking advantages and compensating disadvantages of simulation models, such as Live, Virtual and Constructive models. As a study on the interoperation of L-V-C simulation, this paper suggests effective interoperation method between Virtual and Constructive simulation models and demonstrates small-size intagrated combat training model through V-C Test-Bed.

Mannequin Simulation in the Health Science (보건과학분야의 마네킹 시뮬레이션 교육)

  • Kim, Jee-He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2 no.2
    • /
    • pp.67-71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annequin simulation. The mannequin simulation is widely used in the education of paramedic, fire fighter, nurse, dental school, and anesthesia. The wide scopes of mannequin simulation comprise the history, evolution, and application to problem-based learning.

Design and Effects of Science Simulation Applications Using Flash and ActionScript 3.0: In the Composition of Material Chapter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lash와 Actionscript 3.0을 이용한 과학 시뮬레이션 앱의 디자인 및 효과 -중학교 과학 '물질의 구성' 단원을 중심으로-)

  • Lee, Chang Youn;Park, Chulkyu;Hong, Hun-G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8 no.4
    • /
    • pp.527-539
    • /
    • 2018
  • Although a simulation is proposed as a candidate for alternative contents of inquiry activities, design case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 of science education are rare. This study suggested the definition and requirements of science simulation to clarify science subject-specific design and set up the design guidelines to consider usability. Then the science simulation was developed in the form of an app for mobile devices, where 'Flash and Actionscript 3.0' was selected as a development tool for compatibility, functionality, ease of use and optimization for mobile devices with educational applicability in mind. In effect, six science simulation apps were prepared for seven classes of inquiry activity in 10 science classes on the chapter of 'composition of material' in middle school science 2 textbooks. In this regard, the main advantages of the simulation apps expected from each design characteristic are also suggested in this articl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science simulation apps, educational effect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statistical comparison, while 134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in a coeducational middle school, Gyeonggi-do participated as an intervention group and a control group. Our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test in the interven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 <.05). In the questionnaire survey on usability, most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design of the science simulation app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orizon of design about science simulation as a design case in science education.

A Model of Web Based Science Cyber Experiment (웹 기반에서의 과학 가상 실험 모형)

  • 김창헌;백두권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228-23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에서 과학 실험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과학 가상 실험 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이론과 웹 기반 수업 이론, 그리고 과학 학습 모형을 탐색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하여 과학 가상 실험 모형을 설계하고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과학 가상 실험 모형은 크게 안내적 실험 모형(guided experiment model)과 자기주도적 실험 모형(self-directed experiment model)으로 구분하였다.

  • PDF

Design of a Simulation Data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 Computational Science and Engineering Simulations (계산과학공학 시뮬레이션의 효율화를 위한 시뮬레이션 데이터 관리 시스템 설계)

  • Lee, Ki Yong;Shin, Yoonjae;Choi, Yeonjung;Suh, Young-kyoon;Sa, Jeonghwan;Cho, Ku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466-469
    • /
    • 2016
  • 계산과학공학 및 여러 과학분야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정확도 및 복잡도가 높아짐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비용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여러 입력 변수를 변화시켜가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경우, 시뮬레이션 수행 비용은 더욱 커진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이전에 수행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재활용하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고, 기존 시뮬레이션 결과를 사용하여 반복 요청된 시뮬레이션에 대한 결과를 즉시 반환하거나 유사 시뮬레이션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설계한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지 않고도 반복 또는 유사 시뮬레이션에 대한 결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다.

긴급상황 시 선박 대피항로 선정 지원 기술 시뮬레이션 검증 : 비상투묘와 충돌위험도 중심으로

  • Sin, Dae-Un;Yang, Chan-Su;Jeon, Ho-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82-82
    • /
    • 2019
  • 해상에서 긴급상황 발생 시 선박운항자는 짧은 시간에 신속 정확한 의사 결정을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해양사고(충돌, 좌초, 화재, 엔진고장, 조타고장) 심각성에 따른 대피항로(해경선, 비상투묘, 표류, 임의좌주, 주변선박) 선정 알고리즘을 설계하였고, 선박운항자를 위한 긴급대피지원안내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피항로 선정 지원 기술 중 비상투묘와 충돌위험도를 중심으로 시스템 적용 모델의 타당성의 평가하고 알고리즘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비상투묘 지원 기술의 검증을 위해 국내외 해양사고 보고서 및 재결서를 분석하고 알고리즘에 적용해 결과를 비교하였다. 충돌위험도를 검증하기 위해 재결서의 선박 충돌 사고 사례를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하였고, 시뮬레이션 기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PARK model, IWRAP MK2 프로그램을 이용해 충돌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해양사고 발생 시 선박과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Science Simulation Management Program in Heterogeneous Computing Environments (이종 컴퓨팅 환경에서의 계산과학 시뮬레이션 관리 프로그램 개발)

  • Byun, Hee-Jung;Yu, Jung-L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8
    • /
    • pp.9-17
    • /
    • 2018
  • Heterogeneous high performance computing systems are gaining acceptance as the environments for computational scientific simulations of various application fields. Those computing systems, however, have been mostly used with the legacy consoles, resulting in the severe decrement of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heterogeneous computing assets.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computational science simulation management program. The proposed program provides fundamental primitives including user authentication, data management, physical/virtual computing resource management, job management, etc. that can be used to manage different kinds of simulations efficiently, and also offers highly extensible feature through a modular plug-in architecture. We also present the best practical examples of applications (e.g., scientific simulation education and bio-medical) to confirm our program's effectiveness.

Real-time Cloth Simulation i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증강현실 환경에서의 실시간 옷감 시뮬레이션)

  • Park, Min Ki;Kim, Hyun Soo;Choi, Han Kyun;Lee, Seung Joo;Lee, Kwan 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212-215
    • /
    • 2009
  • 옷감 시뮬레이션은 지금까지 게임, 애니메이션, 영화 등에 많이 사용되어왔고, 현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환경에서의 교육자료, 쇼핑몰 뿐만 아니라 휴대용 게임기,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에서도 그 응용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PC에 비해 그래픽스 하드웨어의 성능이 떨어지는 기기에서 3차원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모델의 움직임을 최대한 근사(Approximation)하면서 계산 속도를 보장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즉, 상호작용(Interaction)이 필요한 사용자 입장에서는 최소한의 정확성만 보장한다면 실시간 시뮬레이션이 더 큰 이슈가 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보장하는 옷감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안한다. 안정성과 정확성이 보장되는 적분법(Integration)을 사용하였고, 옷감의 길이가 비사실적으로 늘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 제약 조건(Constraints)을 주었다. 또한 각 지점에서의 곡률(Curvature)을 고려하여 충돌 검사를 함으로써 옷감 내부 충돌 검사로 요구되는 많은 계산량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였다.

Design of Algodoo Simul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Algodoo 시뮬레이션 교수 학습 프로그램 설계)

  • Jeong, Jaehoon;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199-20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교과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학업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융합인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고도화로 인해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과 지식의 융합을 교육 환경에 적용하는 스마트러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학생들은 모바일 기기의 접근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학교 현장에서는 모바일 기기와 교육용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습이 활성화 되고 있다. Algodoo는 2D기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물리적인 효과를 태블릿과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할 수 있으며, 웹에서 다양한 물리적인 효과나 원리에 대한 학습내용을 참고 할 수 있다. 교수 학습자료는 2009 개정교육과정 초등 과학에 나온 내용을 분석 후 실생활과 관련된 주제를 선정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를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개별학습과 협력학습을 통해 학습할 수 있으며, 학습 후에는 학생들이 시뮬레이션을 설계 및 실행하여 평가 및 반성을 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에이전트 모델 연동기술 개발방안 연구

  • O, Se-Ung;Gang, Dong-U;Choe, Hyeo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5-6
    • /
    • 2019
  • 조선 분야에서 디지털 트윈 구현을 위해 개방형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개발 중이며, 시뮬레이션 모델 간의 인터페이스 표준 개발을 위해 기능 목업 인터페이스(FMI)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시뮬레이션 플랫폼과 기능 목업 인터페이스를 분석하여 에이전트 기반의 시뮬레이션 모델 연동 기술 개발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로, 기능 목업 인터페스 표준 방식에 따라 에이전트 모델의 인터페이스 표준을 정의하고, 둘째로 에이전트 목업을 통해 기능 목업 인터페이스를 테스트 하며, 셋째로 전자해도 기반의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조작 환경과 적용모듈을 개발하여 에이전트 모델 연동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