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학사 프로그램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에서 대통력 사용 시기에 관한 연구

  • 이기원;안영숙;임영란;민병희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9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8권2호
    • /
    • pp.31.1-31.1
    • /
    • 2009
  •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대통력은 고려시대 공민왕 19년(1370)부터 효종 3년(1652)까지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고려사"의 "홍무 3년의 대통력을 보내니$\cdots$"와 "증보문헌비고" 상위고의 "효종 4년(1653)에 비로소 시헌력법을 시행하였다"라는 기록에 근거한 것이다. 특히 "증보문헌비고"의 기록과 관련해서는 효종 4년부터 시헌력을 사용하였다는 주장과 효종 4년에 도입하여 5년(1654)부터 사용하였다는 엇갈린 주장들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에서의 대통력 사용 시기를 검증하기 위해 대통력법에 의한 역일 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고문헌 및 현존하는 당시 역서들을 분석을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통력이 1370년부터 사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제고의 여지가 있지만 적어도 1389년부터는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조선시대에는 대통력이 효종 4년까지 사용되었고 시헌력은 효종 4년에 도입되어 효종 5년부터 시행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정미년(1667)에 이르러 대통력법으로 고쳐 사용하다가 경술년(1670)부터 도로 시헌력을 사용하였다"라는 "조선왕조실록"의 기록(현종 12년 8월 8일)은 사실임을 검증 할 수 있었다. 관련하여 대통력법에 의하면 1669년에는 윤12월이 있지만 1670년에 다시 시헌력을 도입하게 됨으로써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선행 연구들에 일부 음력 초하루 일진의 오류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당시 역서는 보름일자를 정할 때 한양의 일출입분 시각을 참고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문헌 기록과는 독립적으로 대통력법 시행기간의 각 달의 대소 및 음력 초하루의 일진, 매년의 각 절기 일자 및 시간, 윤달 등을 계산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향후 조선시대 역서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감성 측정에 따른 실내 벽면 색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ior Wall Color based on Measurement of Emotional Responses)

  • 김주연;이현수
    • 감성과학
    • /
    • 제12권2호
    • /
    • pp.205-21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감성실내 공간 색채에 대한 연구로 심리설문반응과 생리신호 분석을 통하여 감성색채데이터 분석에 목적을 두었다. 생리신호반응 분석 중 뇌파측정과 SD 스케일법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성적인 감성어휘와 정량적인 감성생리신호 결과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색채에 대한 반응 실험은 3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TeleScan Version 2의 분석틀과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 값을 분석하였다. 감성형용사 어휘 설문조사는 21쌍의 감성어휘로 SD(Semantic Differential) 스케일을 사용하여 측정하여 요인 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요인에서 시각적 자극에 따른 반응 값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으며(p<0.001), 자극 간에 요인 점수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사후분석(Duncan)을 실시하여 평균비교를 통한 색채와 뇌파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각 색채 자극은 관련 감성어휘를 갖고, 뇌파 검사에 의한 생리반응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연구는 감성에 따라 반응하는 감성 지능형 환경디자인에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건강 증진 환경디자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색채 배색을 제안할 수 있다.

  • PDF

요양시설 종사자의 코로나 19 대응 전·후 직종별 직무스트레스 차이 (Differences in Job Stress by Occupation Before and After the Reaction to COVID-19 among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 오두남;김정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31-540
    • /
    • 2022
  • 본 연구는 요양시설 종사자의 코로나 19 대응 전·후 직종별 스트레스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3월 22일에서 4월 25일까지 충청남도와 경기도 지역의 요양시설 종사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220부의 설문지 중 206부의 설문지가 수거되었으며 자료는 t-test, One way ANOVA, chi-square test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서 요양시설 종사자의 코로나 19 대응 전·후 직무 스트레스 하부영역 차이를 보면 간호사는 직무요구(t=-3.90, p<.001), 직무불안정(t=-3.30, p=.002)에서 간호조무사는 직무요구(t=-2.45, p=.018), 요양보호사는 직무자율(t=-3.34,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코로나 19 시기에 요양시설 종사자의 직종별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종에 따른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을 알맞게 제공해야 한다.

노인 요양병원 종사자들의 노인 성행동 경험 (The experience of Long term Care Hospital Workers on Sexual Behaviors of the Elderly)

  • 조한아;성경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317-326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노인 성행동에 대한 경험을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실시되었다. 심층면담은 반구조화된 질문지로 실시하였다. 참여자로부터 수집된 면담 자료는 질적 주제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노인요양병원 종사자가 경험하는 노인의 성행동은 의미있는 진술로부터 10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고 이들은 4개의 주제로 범주화되어 각각 '노인의 성행동에 부정적 감정 생김', '노인 성행동에 대한 돌봄 부재를 깨달음', '돌봄의 역할 유지가 어려움', '성행동에 대해 치료적인 역할 수용'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요양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노인의 성행동을 이해하도록 돕는 교육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치위생(학)과 예비졸업생의 핵심역량 자가평가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Self-core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 배수명;신선정;신보미;최용금;손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402-411
    • /
    • 2019
  •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학)과 예비졸업생의 핵심역량 및 세부역량에 대한 자가평가 수준을 파악하고, 자가평가 핵심역량 수준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2개의 대학을 편의추출하여 치위생(학)과 졸업예정자 511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기효능감 24문항은 5점 척도로 측정하였고, 8개의 핵심역량과 52개의 세부역량은 최소 0점에서 최대 10점으로 자가평가 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가 평가 역량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은 SPSS 20.0 Ver.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인 유의수준은 0.05로 고려하였다. 자가평가 역량 수준은 임상치과 영역이 10점 만점 기준으로 6.7점으로 가장 높았고, 근거중심의 의사결정 영역이 5.7점으로 가장 낮았다. 학제,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중 특히 자기조절 영역이 자가평가 핵심역량 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학업성취, 자가평가 영역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교육과정 내 비판적 사고강화, 문제중심학습법 적용, 자기효능감 및 리더십 향상을 위한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해 의료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인천광역시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조사 (A Study on Needs of Teacher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for Oral Health Education in Incheon)

  • 김진희;김현진;김혜진;박지혜;방우리;신혜주;한수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05-512
    • /
    • 2011
  • 지역아동센터 교사에게 제공할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2010년 4월 28일부터 2010년 6월 4일까지 98개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교사 178명을 대상으로 구강건강행위 및 인식, 지역아동센터내 아동의 구강관리 실태, 아동대상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의견 등에 대해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66.8%는 아동이 잇솔질을 가끔 또는 전혀 안한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57.3%는 자주 잇솔질 지도를 가끔 또는 전혀 못한다고 하였고, 잇솔질 지도를 잘 못하는 이유는 센터 내 세면대 부족(27.5%), 업무량이 많아 신경을 못 씀(20.6%), 잇솔질 할 시간이 없음(16.7%) 등의 순이었다. 저녁식사 후(65.2%)와 아침식사 전(51.1%) 잇솔질 하는 율이 가장 많았고, 주로 회전법(48.9%)과 종마법(35.4%)으로 있솔질 하고 있었다. 구강건강행동 실천은 술,담배 절제(4.17)가 가장 높았고 불소용액가글(2.56)이 가장 낮았으며, 전체항목의 실천도 평균은 3.27이었고, 87.7%는 구강건강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구강보건교육을 경험한 군의 구강건강행위 실천도와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97.2%는 구강건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구강건강이 중요한 이유는 74.2%가 전신건강을 위해서라고 응답하였다.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교사는 교육 후 아동구강건강관리에 대한 관심($4.53{\pm}0.60$), 아동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실천($4.38{\pm}0.69$), 아동 잇솔질 권유($4.32{\pm}0.76$) 의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89.4%는 아동을 위한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86.5%는 참여의사가 있다고 하였고, 치과위생사 또는 치위생(학)과 학생(32.0%)과 치과의사(28.7%)의 센터 방문에 의한 교육을 희망하고 있었다. 교육매체는 게임(4.17)과 동영상(4.15)의 형태가 효과적이라 생각하였고, 구강위생관리법(4.52), 치아우식예방법(4.40) 등에 대한 교육을 희망하였다. 센터내 프로그램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사회성교육(5.57)이 가장 높았고 구강보건교육(3.34)은 제시된 8개 프로그램 중 최하위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구강보건을 위해서는 이들에게 영향력이 큰 지역아동센터 선생님들을 통한 간접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므로,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며, 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구강건강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목표를 설정해야하며, 아동의 구강관리 지도방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해야할 것이다. 그리고 지역아동센터 내에서 아동들의 올바른 구강건강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 센터 내 시설을 개선 확충해야할 것이다.

스마트폰기반 음성치료 프로그램 개발연구 (Development of smartphone-based voice therapy program)

  • 이하나;박준희;유재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1호
    • /
    • pp.51-61
    • /
    • 2019
  • 본 연구는 음성장애환자를 위한 스마트폰기반 음성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국내 음성치료관련 모바일 콘텐츠분석, 전문가 및 사용자 수요조사를 통해 음성치료에 필요한 콘텐츠를 수집하였고, 프로그램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평가는 기능적 음성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음성치료관련 모바일 콘텐츠는 주로 호흡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음도와 노래 순으로 분포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음성치료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13개에 불과하였다. 전문가 및 사용자 수요조사 결과 환자와 치료사 모두 치료실 이외에 장소에서 음성훈련을 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황분석을 토대로 스마트폰기반 음성치료프로그램인 '홈 보이스 트레이너'를 개발하였다. 홈 보이스 트레이너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음성치료 및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다. 기존 오프라인에서 훈련한 음성치료활동을 가정에서도 훈련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또한 환자의 음성훈련 기록을 온라인으로 관리하여 음성치료 종결 후에도 지속적인 음성컨설팅을 통해 환자의 음성개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사용자 평가 결과 환자는 홈 보이스 트레이너에서 제공하는 음성치료프로그램의 난이도, 내용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홈 버튼 및 화면 간 연계성에 대한 부분과 같은 유저인터페이스에 대한 부분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음성장애 환자에게 홈 보이스 트레이너를 사용한 임상 적용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음성치료관련 스마트 콘텐츠에 대한 개발 연구와 임상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치과위생사들의 방사선 안전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that affect the Behavior on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for Dental Hygienists)

  • 정영희;권양옥;이지영;허성은;윤영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71-479
    • /
    • 2011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방사선 이용에 대한 의식도 그리고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를 측정하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향후 치과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방사선 안전관리행위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부산지역에 소재한 치과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에 대한 평균을 비교한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 방어시설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2.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방사선 이용에 대한 의식도 평균을 비교한 결과 의료기관 형태, 방어시설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3.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방사선 안전관리지식에 대한 평균을 비교한 결과 방어시설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4.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방사선 안전관리태도에 대한 평균을 비교한 결과 월수입, 방사선 교육 유무, 방어시설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p<0.01). 5.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방사선 안전관리행위에 대한 평균을 비교한 결과 월수입, 의료기관 형태, 방사선 안전관리교육 유무, 교육 횟수, 교육 형태, 방어시설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p<0.001). 6. 자기효능감, 방사선 이용에 대한 의식도, 지식, 태도 행위간의 상관분석을 하여본 결과 방사선 안전관리 행위와 자기효능감, 의식도, 지식, 태도의 상관관계는 각각 r=0.197, 0.149, 0.136, 0.209로 모두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p<0.05)(p<0.01). 7. 방사선 안전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방사선 안전관리행위를 종속변수로 하고 자기효능감, 의식도, 지식, 태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 행위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많이 주는 요인은 태도, 자기효능감 순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관리행위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행요건으로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각 행위별 안전관리행위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방사선 안전관리지식 및 태도와 자기효능감 그리고 의식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도 동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유치원 방과후 과정에서 미술특성화활동의 효과 검증 (The Impact of Kindergarten After School Specialized Art Program on Young Children's Art Competence)

  • 김민석;신화식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1-150
    • /
    • 2015
  • 본 연구는 방과후 과정 특성화 프로그램이 정책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유아의 내면적 정서정화와 유아의 학습과 지식체계 구축의 중요한 활동이 될 수 있는 미술활동을 선정하여 미술특성화활동을 구성하고 현장에 실제적용가능 여부와 유아의 미술활동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40명의 유치원 유아(20명의 실험집단과 20명의 통제집단)를 대상으로 방과후 과정 미술특성화활동과 기존 미술활동을 적용하였다. 연구방법은 ANOVA와 반복 측정 ANOVA를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유치원 방과후 미술특성화활동의 구성은 방과후 특성화 미술프로그램(교육과학기술부, 2010)의 활동 중 4개 요인 - 조형을 탐색하고 관찰하기, 그리기와 색을 활용하여 완성하기, 만들기와 꾸미기, 예술적 표현 존중하기 - 에 근거한 미술활동 36개를 선정하여 내용을 구성하였다. 둘째, 집단 별 차이분석에서 통제집단에서는 1, 2, 3차 검사의 변화 분석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실험집단 유아들의 미술발달수준은 검사 시 마다 현저한 차이로 향상되었다. 셋째, 집단 간 비교 분석에서는 실험군이 통제군보다 4개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는 방과후 교사의 미술교육의 인식과 방과후 교사 대상의 심층연구 및 방과후 특성화 미술활동 적용 후 학부모의 인식연구를 제안한다.

우리나라 산림박물관의 운영특성 및 관리 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Operating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Satisfaction of Forest Museums in Korea)

  • 하성근;신현탁;정태열;안종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3호
    • /
    • pp.382-389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박물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산림박물관의 운영특성 및 운영 관리현황 등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기대치와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산림박물관의 운영특성을 조사한 결과 전시물이 도움이 되는 대상층은 주로 학생층이라는 응답이 절반 넘게 나타났으며, 전시대상층은 모든 연령층을 동일하게 고려하여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산림박물관 관람 시 고려사항으로는 접근성과 박물관프로그램이 주로 높게 나타났다. 학예연구사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학예연구사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전시물에 대한 사전조사의 기대감은 중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박물관의 운영관리에 대한 기대치는 정기 및 특별전시회의 기대치가 높게 나타났고, 만족도는 직원의 전문성 부분이 높게 나타났다. 산림박물관에서 앞으로 개선해야 할 부분은 이용객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산림박물관의 발전을 위해서 다양한 전시매체 개발과 전시 구성에 맞는 전시기획이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운영 관리부분의 경우 매년 되풀이 되는 내용으로 전시하는 것을 지양하고, 새로운 내용으로 전시환경을 기획하고, 홍보를 위한 방송매체를 활용하는 등 적극적인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