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학기술위성2호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42초

과학기술위성 2호 시스템

  • 이승헌;박종오;심은섭
    • 항공우주기술
    • /
    • 제4권2호
    • /
    • pp.60-64
    • /
    • 2005
  • 과학기술위성 2호의 주요 임무는 주 탑재체인 마이크로웨이브파 라디오미터(DREAM: Dual-channel Radiometers for Earth and Atmosphere Monitoring)개발, 부 탑재체인 레이저 반사경(SLR: Satellite Laser Ranging) 개발, 그리고 위성체 핵심기술 선행연구를 위한 Frame-Type 위성구조체, 복합소재 태양전지판, Dual-Head 별추적기, CCD 태양센서, 펄스형 플라즈마 추력기, 소형 탑재 컴퓨터 및 고속 X-band 송신기 개발 등을 포함한 100kg급 저궤도 소형위성 개발이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기술위성 2호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과학기술위성 2호의 시스템 정의 및 기본적인 운영개념, 과학기술위성 2호의 주 탑재체인 마이크로웨이브파 라디오미터, 부 탑재체인 레이저 반사경, 그리고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위성본체 등을 포함한다.

  • PDF

과학기술위성 3호 발사 인터페이스

  • 이성세;이승우;신구환;서정기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89.2-189.2
    • /
    • 2012
  • 과학기술위성 3호는 드네프르 발사체에 의해서 클러스터 형태로 발사될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기술위성 3호의 발사와 관련된 기계적 인터페이스, 전기적 인터페이스, 궤도 인터페이스, 발사장 인터페이스, 환경 인터페이스 등을 세부 적으로 기술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소형위성의 클러스터 발사의 기본적은 개념을 정의 할 수 있으며, 추후 소형위성 발사와 관련된 기본 기술을 확인 할 수 있다.

  • PDF

펄스형 플라즈마 추력기 (PPT)를 이용한 STSAT-2 자세 및 궤도제어에 대한 연구

  • 신구환;남명룡;임종태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4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3권1호
    • /
    • pp.61-61
    • /
    • 2004
  • 과학기술위성 1호(STSAT-1)는 위성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하여 Reaction Wheel Assembly(RWA)를 적용하였으며, 위성의 무게중심에 Wheel의 회전수에 비례하는 관성모멘트를 발생시켜 자세를 제어하였다. 과학기술위성 2호(STSAT-2)는 과학기술위성 1호에 적용하였던 반작용휠(RWA)과 펄스형태로 동작시켜 위성의 자세 및 궤도제어를 위하여 요구하는 추력을 얻을 수 있는 펄스형 전기 추진시스템(Pulsed Plasma Thruster: PPT)이 탑재된다. (중략)

  • PDF

과학기술위성 2호 운영개념

  • 이승헌;금정훈;박종오;심은섭
    • 항공우주기술
    • /
    • 제3권1호
    • /
    • pp.79-8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전남 고흥의 외나로도에서 국내 최소의 소형 발사체(KSLV-1)에 의하여 발사될 과학기술위성 2호의 임무 수행을 위한 운영 개념을 설명하였다. 과학기술위성 2호의 주요임무는 주 탑재체인 진공자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태양의 Lyman-alpha 이미지 촬영, 부 탑재체인 레이저 반사경을 이용하여 위성의 정확한 위치 측정에 있다. 또한 위성본체의 신기술 검증도 수행하게 된다.

  • PDF

과학기술위성2호 부탑재체 초기 설계: 위성레이저정밀거리측정용 반사경 (Preliminary Design of STSat-2 Secondary Payload: a Laser Reflector Array for Satellite Laser Ranging)

  • 이준호;김병창;김도형;이상현;임용조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3년도 제14회 정기총회 및 03년 동계학술발표회
    • /
    • pp.98-99
    • /
    • 2003
  • 2005년 국산 소형위성 발사체에 탑재되어 발사 될 예정으로, 과학기술위성2호의 개발이 2002년 10월부터 시작되었다. 과학기술위성2호는 약 100kg의 소형위성으로, 경사각 60~80$^{\circ}$의 300km x 1500km 타원궤도에 발사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라만-a태양촬영망원경(LIST, Larman-a Imaging Solar Telescope)과 레이저정밀거리측정용 반사경이 각각 주 및 부 탑재체로 탑재될 예정이다. 위성레이저정밀거리측정(SLR, Satellite Laser Ranging)이란 위성간의 거리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수 있는 축지학적 기술이다. (중략)

  • PDF

과학기술위성2호 레이저 반사경 조합 개발 (Development of a Laser Reflector Array for STSAT2)

  • 이준호;김승범;이상현;김경희;임용조;남명룡;임종태;심은섭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42-147
    • /
    • 2004
  • 위성 레이저 레인징은 위성의 궤도를 관측하는 가장 정밀한 측정법으로 과학기술위성2호의 정밀 궤도 결정에 사용될 예정이다. 본 논문은 과학기술위성2호에 부탑재체로 탑재 될 위성 레이저 레인징용 레이저 반사경 조합의 개발을 보고한다. 현재 1 세트의 레이저 반사경 조합이 설계, 분석, 제작, 광학 시험 및 조립이 완료되었다.

운용모드에 따른 과학기술위성2호의 전력 수요예측 분석 (Power Budget Analysis for STSAT-2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 신구환;남명용;임종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93-98
    • /
    • 2005
  • 과학기술위성2호는 2007년 12월에 발사될 예정이다. 이 위성의 주관측기는 DREAM으로서, 주요 임무는 지구 또는 대기로부터 발생되는 복사에너지를 라디오파 대역에서 관측하는 것이다. 이 외 과학기술위성2호는 과학기술 실험용기기로서 정밀디지탈 태양센서, 2중헤드 별센서 등이 탑재되며, 과학기술위성2호의 자세제어 및 모멘텀 덤핑용 과학기술실험용 탑재체로서 펄스형 플라즈마 추력기가 실린다. 본 논문에서는 관측기기 및 과학기술실험용 탑재체 등의 운용모드를 고려한 과학기술위성2호의 운용모드에 따른 전력의 수요예측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기위한 필요전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과학기술위성 3호 운영개념 (STSAT-3 Operations Concept)

  • 이승헌;박종오;이승우;정태진;이대희;이준호
    • 항공우주기술
    • /
    • 제10권2호
    • /
    • pp.29-36
    • /
    • 2011
  • 과학기술위성 3호는 우리별 위성 시리즈와 과학기술위성 1호, 2호를 잇는 소형위성으로 첨단 위성체 핵심 기술 선행연구, 첨단 우주 및 지구 과학 탑재체 개발, 우주분야 인력 양성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과학기술위성의 주탑재체는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으로 우리은하와 황도극지방을 관측하여 우주의 기원을 연구한다.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에는 국산 적외선 센서의 우주검증을 위해 지표면의 적외선 영상 획득 임무도 추가되었다. 부탑재체는 초소형 영상 분광기로서 농작물의 작황, 댐의 수질 예측 모델, 에어로졸 광학 두께 측정 연구 등에 활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2012년 말에 발사되어 주어진 임무기간 동안 과학기술위성 3호의 다양한 임무 수행을 위한 운영개념을 설명한다.

과학기술위성 2호 태양전지 배열기의 전력 성능 분석 및 시험 검증 연구 (Study on Power Analysis and Test Verification for STSAT-2 Solar Array)

  • 박제홍;장영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07-517
    • /
    • 2010
  • 대한항공 기술연구원은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의 과학기술위성 2호 태양전지 배열기 비행모델을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하고, 그 성능을 발사환경시험, 궤도환경시험 그리고 모사 태양광 조사 시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개발된 태양전지 배열기가 탑재된 과학기술위성 2호는 국내 최초의 소형위성 발사체인 KSLV-I에 탑재되어 2010년 5월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될 예정이며, 발사 후 위성 운용 데이터를 통해 저궤도에서의 개발된 국산 태양전지 배열기의 우주 인증을 수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위성 2호 태양전지 배열기의 전력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태양전지 등가모델에 적용하여 태양전지 배열기의 전력 특성을 나타내는 전류-전압 곡선을 도출하고, 이를 모사 태양광 조사를 통한 성능 시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태양전지 등가 모델 및 전력 성능 시뮬레이션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의 태양전지 배열기 등가 모델 및 전력 성능 시뮬레이션은 과학기술위성 2호의 관제 운용에 있어, 전 임무기간 동안 생성 전력용량에 따른 최적의 부하운용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과학기술위성 2호 준비행모델 환경시험 결과 (STSAT-2 PFM Environmental Test Result)

  • 이승헌;박종오;심은섭;이승우;서정기;장태성;이상현;김성현
    • 항공우주기술
    • /
    • 제6권1호
    • /
    • pp.55-63
    • /
    • 2007
  • 과학기술위성 2호는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되는 소형위성발사체(KSLV-1)에 의하여 국내 발사장(나로 우주센터)에서 발사될 위성이다. 2002년 개발을 시작하여 엔지니어링모델(EM), 준비행모델(PFM), 비행모델(FM)을 개발 완료하였다. 위성의 기능을 점검하기 위해 종합적인 전기/전자 기능시험과 우주환경시험, 발사환경시험을 수행한다. 본 논문은 성공적으로 수행한 과학기술위성 2호 준비행모델의 우주환경시험과 발사환경시험에 대한 분석과 그 결과를 보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