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학기술예측

검색결과 1,315건 처리시간 0.027초

다양한 회귀분석을 통한 강우유출용적에 따른 비점오염부하량 예측방안 (Predictive Relationships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with Stormwater Runoff Volumes based on the Various Regression Analyses)

  • 신지웅;길경익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7-263
    • /
    • 2011
  • This study analyzes the correlations between non-point sources and runoff to estimate non-point sources for effective management. From the monitoring results, the correlation factors among pollutant mass loading, EMC, total runoff volume and average flow are calculated. And using correlation factors, the most related two constituents are determined. Also the most appropriate regression between two constituents are determined. Pollutant mass loading and total runoff volume has the highest correlation. Also, compound regression i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regression. This shows that pollutant mass loading increases as total runoff volume increases. It is not continuous increase but has some pattern.

도시철도차량 주행차륜의 직경/플랜지 변화 데이터와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주행거리 예측 연구 (A Study on the Mileage Prediction of Urban Railway Vehicle using Wheel Diameter/Flange change Data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노학락;임원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7
    • /
    • 2023
  • The steel wheels of urban railway vehicles gather a lot of data through regular measurements during maintenance. However, limited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utilizing this data, resulting in difficulties predicting the maintenance period. This paper studied a machine learning model suitable for mileage prediction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mileage change according to diameter and flange thickness cha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larger the diameter, the longer the travel distance, and the longest flange thickness is at 30 mm, which gradually shortened at other times. As a result of research on the machine learning prediction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random forest model is the optimal model with a hi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nd a low root mean square error.

EOTS 시선안정화 제어기 설계와 외란모델을 이용한 성능예측 (LOS Stabilization Controller Design of EOTS and Performance Prediction Using Disturbance Model)

  • 김홍원;한솔이;장정웅;송기범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2-82
    • /
    • 2023
  • The EOTS(Electro Optical Tracking System) must have stabilization performance to provide high-quality images under disturbance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esent a controller that can minimize the LOS error and has a simple structure. Henc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is controller, analysis in the frequency domain and LOS error measurement are performed. In order to measure the LOS error without a 'rate table' that requires a lot of facility investment, we propose a design method for disturbance model that considers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EOTS. Finally, the performance of the stabilization algorithm is evaluated by the proposed disturbance model.

다시점 360도 영상을 사용한 자유시점 영상 생성 방법 (Free view video synthesis using multi-view 360-degree videos)

  • 조영광;안희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00-603
    • /
    • 2020
  • 360 영상은 시청자가 시야방향을 결정하는 3DoF(3 Degree of Freedom)를 지원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360 영상에서 깊이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DIBR (Depth -based Image Rendering) 기법을 사용하여 임의 시점 시청기능을 제공하는 6DoF(6 Degree of Freedom) 영상제작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평면 다시점 영상기법을 확장하여 360 ERP 투영 영상으로부터 카메라의 파라미터 예측을 하는 방법과 깊이영상 추출 방법을 설계 및 구현하고 그 성능을 조사하였으며, OpenGL 그래픽스기반의 RVS(Reference View Synthesizer)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DIBR을 적용하였다.

RLTA: 강화학습을 이용한 AI 트레이딩 구현 (RLTA: Implementation of AI Stock Trading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 강민지;최윤정;이지성;이규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63-1064
    • /
    • 2023
  • 인류는 주가를 과학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수많은 학문적 노력을 기울여왔지만, 아직까지도 풀지 못한 난제로 남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깊은 수학적 원리에 기반하고 알파고 등에서 인간을 능가하는 성능을 보여준 강화학습 기술을 주식 트레이딩에 적용한 RLTA 모델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그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과학기술예측 대상기술 선정을 위한 주요 기술영역의 조사연구 (A Study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Areas for the Third Technology Foresight of Korea)

  • 정근화;고대승;이정근;손석호;변도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0-126
    • /
    • 2002
  • This study reviews and compares the selection procedures for science and technology topics to predict mid- and long-term trends in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in Korea, Japan, and the United Kingdom. It then identifies science and technology topics and future technologies for the third science and technology foresight of Korea. In Japan and the United Kingdom, non-technological topics that reflect socioeconomic needs are also select-ed along with technological ones.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to enhance reli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third science and technology foresight of Korea. First, sel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topics should coincide with the national goal, taking into account development trend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cioeconomic needs. Second, the current prediction methodologies such as "delphi" do not fully consider future uncertainties in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A scenario method is, for example, needed to present coherent pictures of alternative futures. finally, the third technology foresight should select and include topics that reflect domestic conditions and global trend in technological progress. This study suggests 117 topics for the third science and technology foresight.foresight.

  • PDF

펄스 방전 기술에 의한 지반 확공 현상 수치해석 모사 (Numerical Simulation of Ground Expansion Induced by Pulse Discharge Technology)

  • 박현구;이승래;김선주;조규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25-3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펄스 방전 기술의 적용에 따른 지반 확공 현상에 대한 수치해석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내 펄스 방전 시험을 통하여 충격파 발생을 측정하였으며 수중 폭발 모델을 바탕으로한 유제-구조물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실내 시험에서 계측된 충격파를 모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PT N값으로부터 경험적으로 얻어지는 지반 물성이 적용된 점성토 지반에 대한 확공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현장 시험과 유사한 예측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도구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Science Inquiry Skills and Its Application)

  • 김경숙;김희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7-15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에 대한 관련문헌과 검사도구를 분석하고 유아교육전문가 및 과학교육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유아가 습득해야 할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의 5개 범주를 선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를 측정하는 문항을 개발하여 유아검사와 전문가 조사를 통해 문항구성의 적합도와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이를 통해 관찰하기 이해 3문항, 분류하기 이해 4문항, 예측하기 이해 4문항, 측정하기 이해 5문항, 토의하기 이해 3문항, 총 19문항이 개발되었다. 최종 개발된 19문항의 양호도를 검증한 결과, 문항난이도, 문항변별도, 문항 내적합치도는 적절한 수준이었으며 공인타당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개발된 검사도구를 만3, 4, 5세 유아 300명에게 적용한 결과, 과학적 탐구기술에 대한 이해 정도가 만5세, 4세, 3세 순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남녀 유아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는 문항양호도,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효율적인 기계학습 자질 선별을 통한 한국어 운율구 경계 예측 모델의 성능 향상 (Performance Improvement of a Korean Prosodic Phrase Boundary Prediction Model using Efficient Feature Selection)

  • 김민호;권혁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11호
    • /
    • pp.837-844
    • /
    • 2010
  • 운율구 경계 예측은 대화체 음성합성을 실현하기 위한 주요한 자연언어처리 기술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자연스러운 한국어 운율구 경계 예측을 실현하고자 기존의 학습 자질을 대신할 새로운 학습 자질을 제안한다. 이 새로운 자질들은 기존의 학습 자질보다 실제 언어생활에서 운율구 경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더 잘 반영한다. 특히, 수작업으로 구축한 운율구 경계 예측 규칙을 이용하여 추출한 학습 자질은 높은 정확도 향상에 이바지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새로운 학습 자질을 바탕으로 CRFs(Conditional Random Fields)를 이용하여 운율구 경계 예측 모델을 만들었다. 그 결과 3단계 운율구 경계(강한 경계, 약한 경계, 운율구 내부 비경계) 예측에서 86.63%의 정확도를, 6단계 운율구 경계(상승조/하강조 강한 경계, 상승조/하강조/평탄조 약한 경계, 운율구 내부 비경계) 예측에서는 81.14%의 정확도를 보였다.

IT 집단지성 학습자를 위한 학습 성취도 예측 시스템 설계 (A design on the Prediction of Learning Achievement System for IT Collective Intelligence Learner)

  • 이경은;홍성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502-1504
    • /
    • 2011
  • 최근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방법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동일한 영역에 지식을 공유하고 새로운 정보를 웹에서 생성하는 등 집단지성 학습자들이 계속적으로 늘어가고 있으며, 특히 IT 학습을 위한 온라인기반 교육은 관심도와 직군에 따른 집단지성을 통한 효과적인 학습 성취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 기반을 중심으로 한 IT집단지성 학습자들의 개인차를 파악하고, 각 특성에 따른 다양성을 적용하여 학습과정 중 자신에게 적합한 학습경로를 파악하여 학습의 지속적인 진행에 있어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고 효율적인 학습의 진행이 이루어져 성취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학습 성취도 예측 시스템을 연구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IT습자들이 자신의 개인차를 파악하기 위해 학습의 유형, 학습몰입, 인지적 능력, 개인적 성향, 창의적 성향 등을 활용한 검사도구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IT 전공자 혹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 성취도 예측을 가능하게 하기위한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로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키고, 예측 결과에 의한 집단지성 그룹을 좀 더 효과적으로 운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