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관 중심

Search Result 315,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논증과 스토리텔링의 조화를 통한 국립과천 과학관 전시물의 재배열: 우주와 지구 영역을 중심으로

  • Kim, Seong-Jin;Kim, Cheon-Hwi;O, Jun-Ye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79.1-79.1
    • /
    • 2011
  • 비형식교육의 장인 과학관은 전시물과 그 전시물을 설명한 판넬 등을 통하여 교육적 기능을 담당한다. 비형식 교육의 중요성 때문에, 과학관 전시는 전시물과 내용이 관람자와 교감하고 상호작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관람자에게 설득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하나의 공간에서 학습과 휴식이 어우러지면서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어야한다. 이러한 과학관 전시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방법이 스토리텔링이다. 스토리텔링은 '이야기하다'로서 관람객들에게 흥미 유발의 기능을 가지며, 그 효과가 단순 나열식보다 훨씬 크다. 하지만 스토리텔링기법에도 지식과 정보량에 있어서는 단점이 있다. 이것을 보완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전시물 설명에 논증 기법의 도입이 대두되고 있다. 즉, 거시적인 관점에서는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하나의 스토리를 도입하는 한편, 미시적인 관점에서는 논증의 구조를 따른 설명문을 이용한다면, 관람객들에게 흥미와 함께 지식과 정보를 모두 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논증과 스토리텔링의 조화된 결합을 통해 과학관의 전시를 재배열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거시적인 관점과 미시적인 관점에서의 점검기준으로 영국의 자연사 박물관과 국립과천과학관 자연사관 우주와 지구관의 전시물의 구조를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영국의 자연사 박물관과는 달리 국립과천과학관의 전시물은 스토리 내용, 설명문의 내용, 체험위주의 전시물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현 과천과학관의 전시물에 대해 스토리텔링과 Booth 등(2008)과 Lawson(2003)의 논증과의 조화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Developing Efficient Membership Model for Science Museum: Focusing on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효과적인 과학관 회원제 모델 방안에 관한 연구: 국립과천과학관 사례를 중심으로)

  • Choi, Hun;Yoo, Hyun-Jung;Choi, Eun-Young;Moon, Yoon-J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523-524
    • /
    • 2014
  • Recently, Science museum have a key role in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in the fusion of experience, paly and education. However, Services provided in science museum have lacked for interaction with customers and management systems for customers. Therefore, this study is for developing efficient membership model at science museum.

  • PDF

The 7th earth science curriculum and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s that is exhibited in the science museum - laying stress on high school earth science I, II (제 7차 지구과학 교육과정과 과학관 전시 내용의 비교 분석 - 고등학교 지구과학 I, II를 중심으로)

  • Lee, Hye-Jung;Lee, Chang-Zin;Shin, Myeong-Kye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323-330
    • /
    • 2005
  • In this study, searched how science museum reflects personality of course of study and target comparing display contents of science museum with high school earth science Ⅰand Ⅱ of the 7th curriculum.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area that earth science contents of course of study are exhibited has been less than 50%, and is preponderated by unit. Second, earth science course of study reflection degree of science museum is middle.(2.8 points of perfect score 5 points) Third, number of average mark of contents that is exhibited by science museum in significance level 0.05 lows is difference, and it is no difference by unit.

  • PDF

The Study of Framework of Structural Scenarios for Chatbot Docent in Science Centers and Museums (과학관 챗봇 도슨트 개발을 위한 구조화된 시나리오의 틀 연구)

  • Kim, Hong-Jeong;Rhee, Sang-Won;Jeong, Seok-Hoon;Tahk, Hyun-S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1
    • /
    • pp.115-121
    • /
    • 2020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ramework of structural scenarios for chatbot docent that supports visitors' activities in science centers and museums, and to suggest the application examples. For this study, the author adapted Focus Group Interview. As a result, the frameworks of scenarios could be categorized into the Coll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CST) and Inquiry-Based Exhibition(IBE). These frameworks had dimensions of the primary and storytelling in common. Especially, framework of IBE scenario was added the usage dimens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between exhibits and visitors. This study could be basic materials for AI chatbot to support exhibition descriptions using the built data, and is expected to be help develop a more visitor-oriented scenarios of activities.

일본의 '역사' 무엇을 알고 있는가

  • Jeong, Jae-Jeong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36
    • /
    • pp.11-11
    • /
    • 1998
  • 최근 한국과 일본의 교류는 무척 활발하다. 교류내용도 정치.경제 중심에서 교육.문화로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인의 일본관, 일본인의 한국관은 왜곡되거나 피상적이다. 일본에 대한 학문적 이해 특히 근대현대사에 대한 사회 과학적 이해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