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징금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하도급법 위반사업자에 대한 과징금 부과기준 고시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10 s.207
    • /
    • pp.39-42
    • /
    • 2007
  •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권오승)는 최근 하도급법 위반사업자에 대한 과징금 부과시 과징금 부과여부 결정 및 과징금액 산정을 위한 세부 기준을 마련하고 지난 8월 22일 하도급법 위반사업자에 대한 과징금 부과기준에 관한 고시를 제정한데 이어 지난 8월 30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공정위는 과징금 부과를 위해 종전에는 위원회 사무준칙인 지침을 운용하였으나, 이번 고시 제정을 통해 과징금 부과의 예측가능성, 객관성 및 투명성을 제고하였다. 고시에 따르면 원사업자의 위법행위를 신고한 중소 하도급업체에 거래단절 등 불이익을 주는 보복행위를 하거나 하도급대금·어음할인료·지연이자 등을 지급한 후 이를 회수 또는 납품대금에서 공제하는 탈법행위 등 악성 위법행위에 대해서는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또 위반사업자가 하도급거래시장에서 영향력이 큰 대기업자 이거나 과거 위반전력이 많은 경우로서 부당 하도급대금 결정, 부당감액 등 중대하거나 파급효과가 큰 위반행위를 했을 때도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공정위가 하도급법 위반사업자에 대한 과징금 부과여부의 결정기준과 과징금액 산정방식을 보다 구체화하여 시행함으로써, 법위반의 정도에 상응하는 제재로 인하여 법집행의 실효성이 강화되어 재발방지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과징금 부과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한편, 예측가능성을 높임에 따라 대기업 등 원사업자의 자율적인 하도급법 준수 의식을 제고하여 법위반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중소기업의 피해를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A Comparative Review on Civil Money Penalties in Aviation Law (항공 과징금 제도의 비교법적 검토)

  • Lee, Chang-Jae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34 no.1
    • /
    • pp.3-38
    • /
    • 2019
  • In 1984, Congress enacted a new measure of administrative sanctions which is a civil money penalty program for violations of Aviation Act and its implementing regulations. This civil money penalty system has been in operations in lieu of suspending or revoking certificates issued by Korean governmen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ccording to the rules of Aviation Business Act or Aviation Safety Act, where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hould order an air carrier to suspend operation because of her violation under certain rules, in which case the suspension of operation is likely to cause serious inconvenience to consumers of air transport services or to harm public interest, the Minister of the department may impose an administrative monetary penalty in lieu of the suspension of operation. In this regard, airline related civil money penalties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fair trade, which is the origin of the money penalties system in Korea. Civil money penalties in the field of fair trade are imposed on executive duty violations that undermine the value of the market economy order, and focus on reimbursement of profits due to violations and compensation for unfair spending by consumers. However, in the aviation sector, breach of duty by a business operator does not simply cause the property loss of the public, but it has a direct impact on life or property of the public. In this respect, aviation penalties are more likely to be administrative sanctions or punitive measures than refunds of unfair benefits, compared to penalties in the field of fair trade. In general, civil money penalties have been highly preferred as administrative sanctions because they are subject to investigations by administrative experts and thus, efficiency can be ensured and execution is quicker than judicial procedures. Moreover, in Korea, because punitive civil damages cannot awarded by the courts, the imposition of civil money penalties is recognized as a means of realizing social justice by recognizing the legal feelings of the people. However, civil money penalties are administrative sanctions, and in terms of effectiveness, they are similar to criminal fines, which are a form of punishment. Inadequate legislation and operation of penalties imposition may cause damage to the value of Constitution. Under the above recognition, this paper has been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present status of the civil money penalties imposition system and operating status in the area of air transport under the laws and regulations in Korea. Especially, this paper was focused on exploring the problem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Korean system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with foreign laws and regulations.

공정거래법상 과징금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

  • 신광식
    • Journal of Korea Fair Competition Federation
    • /
    • no.101
    • /
    • pp.7-11
    • /
    • 2004
  • 공정거래제도에서 과징금은 법 위반에 대한 핵심제재수단인 바, 과징금 제도의 합리적 개선을 위한 논의의 일환으로 현행 제도와 연구용역에서 제시된 개선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법령과 고시 (4): 하도급법 위반사업자에 대한 과징금 부과기준에 관한 고시 개정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47
    • /
    • pp.34-34
    • /
    • 2011
  • 2011년부터 하도급법 위반행위에 대한 과징금 상한액이 높아지고 현금결제 우수업체에 대한 감경이 폐지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하도급법 위반사업자에 대한 과징금 부과기준에 관한 고시'를 일부 개정해 지난 1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번 고시 개정으로 법 위반 사업자에 대한 시정조치를 강화해 법위반으로 인한 기대이익을 감소시킴으로써 불공정 하도급 거래를 예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Aviation Monetary Penalty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한·미 항공 과징금 제도의 비교)

  • Lee, Chang-Jae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35 no.2
    • /
    • pp.41-74
    • /
    • 2020
  • The monetary penalties system inherently has efficiency as DNA. In the event that administrative measures to recover unfair profits from businesses that violate the law, deprive business licenses, or order to suspend business, infringe the interests of ordinary consumers, a system that can achieve the same effect through financial sanctions. It is a monetary penalties. In addition, it is convenient for the government because it takes effect only by the administrative agency's unilateral imposition order compared to the trial process, which takes a long time and huge cost to prove the illegal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procedural legitimacy is well established in Korea's aviation monetary penalties. Compared to foreign legislation, Korea's aviation monetary penalties system need to be improved. This paper was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monetary penalties system disposed of in the Korean aviation field.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by examining the US system, which is an aviation advanced country, in the aviation safety area.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intention of exploring the direction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aviation administrative sanctions and the US aviation penalty system will be outlined. Furthermore, with the recent paradigm shift in aviation safety management, this paper tried to look at new trends that focus on autonomous reporting of aviation safety as a proactive and preventive measure in conventional post-airline accident management administration, focusing on various systems including ASAP. This article also reviewed the formal process for imposing monetary penalties adopted by the FAA. Based on the above review, this paper also looked at ways to improve the reporting system for aviation safety in Korea.

부당공동행위 과징금제도 개선방안

  • Lee, In-Gwon
    • Journal of Korea Fair Competition Federation
    • /
    • no.134
    • /
    • pp.16-27
    • /
    • 2007
  • 부당공동행위 관련제도의 전반적인 변화과정에서 논란의 소지가 있는 과징금 및 손해배상제도에 대한 경제적.법리적 분석을 통하여 부당공동행위에 대한 실질적이고 합리적인 규제의 틀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과징금부과처분에 대한 관련 취소청구소송사례들에서 나타난 재량권 남용과 일탈을 줄이기 위한 적절한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 PDF

해운이슈 - KMI, 해운동맹 폐지/담합행위 규제강화 보고서 발표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s.92
    • /
    • pp.16-26
    • /
    • 2012
  • 유럽연합(EU)의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가 국제 화물운송료를 담합한 글로벌 물류기업에 대규모 과징금을 부과했다. EU 경쟁당국은 쿠네&네이젤(Khune+Nagel), 판알피나(Panalpina), 유피에스(UPS) 등에 총 1억 6,900만 유로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EC는 총 14개의 회사가 화물운송 가격 담합에 가담하여, 미국 유럽 아시아 등으로 운송되는 화물의 운송비를 불법적으로 책정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DHL은 자진신고를 통해 리니언시(liniency) 적용으로 과징금을 부과 받지 않았다. 유럽연합은 이러한 국제카르텔에 대한 법집행 차원에서 과징금 부과 및 당해행위에 대한 금지명령 등 행정적 제재를 강화하며, 세계 경쟁정책 및 법집행을 주도하고 있다. 또한 유럽연합은 해운동맹 폐지를 비롯한 해운업계의 반경쟁적 행위에 대한 제한도 강화하고 있다. EU는 2008년 10월부터 해운동맹의 공동가격설정 및 선복량 조절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유럽집행위원회는 지난해 5월 초 13개 컨테이너 선사의 유럽 사무소를 기습 감사, 조사하였다. 현재 EU는 자료조사 중이며 결과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EU의 조사는 상당히 지체되는 경향이 있는데, 향후 추가 질의서 요구가 예상되며 불법행위가 밝혀질 경우 개별 기업 글로벌 수익의 10%에 해당하는 벌금 부과가 가능하며, 영국에서는 형사고발도 가능하다. 다음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최영석 전문연구원이 발표한 "국제해운의 해운동맹 폐지 및 담합행위 제한 강화"의 주요 내용을 요약정리한 것이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Possibility of Duplicated Sanctions in Bid-rigging on Construction Projects (건설공사 입찰담합의 중복제재 가능성에 관한 실증연구)

  • Shin, Young-Su;Cho, jin-Ho;Kim, Byung-S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4 no.2
    • /
    • pp.50-58
    • /
    • 2023
  • Bid-rigging is a common issue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and appropriate sanctions are required from the relevant authorities. This study analyzes the need for an optimal enforcement model to prevent bid-rigging by considering both civil and criminal aspects. Recently, there have been overlapping sanctions under the Fair Trade Act, such as fines imposed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and civil lawsuits filed by the client for da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enalty surcharges and compensation systems for preventing bid-rigging, an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overlapping sanctions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It was found that overlapping sanctions under the Fair Trade Act can be helpful in improving the system. However, in cases where the state is the plaintiff for damages in a lawsui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enalty surcharge and sentence, reduce the penalty surcharge for joint acts, refund the surcharge after a final judgment, and consider the damage compensation system when imposing a surcharg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an efficient enforcement model to suppress bid-rigging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by analyzing the improvement effects of sanctions and compensation.

공정거래법상 경성카르텔 제재의 개선

  • Lee, Ho-Yeong
    • Journal of Korea Fair Competition Federation
    • /
    • no.130
    • /
    • pp.6-18
    • /
    • 2007
  • 경성카르텔에 대한 충분한 억지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과징금의 부과수준을 상향조정하고, 형사처벌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전자는 현행법상 산정방법이 가지는 문제뿐만 아니라 과징금의 법적 성격과 관련된 법리상의 문제 때문에 충분한 억지력을 발휘하기 어렵고, 형사처벌 역시 경쟁당국의 증거조사권한 및 형사소추기관의 인식과 관련하여 단기간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그렇다면 공적 제재의 대안으로서 기업의 내부 제재를 카르텔에 참여한 개인에 대한 제재 및 이를 통한 카르텔의 억지를 위하여 활용하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