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제 지향적 활동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3초

과제 지향적 활동이 수부손상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hand functions in patients with hand injuries)

  • 노동희;한승협;조은주;안성호;김훈주;감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153-1163
    • /
    • 2015
  • 본 연구는 수부손상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활동이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1년 12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경남 창원에 위치하는 C병원에 내원한 16명의 수부손상환자를 두 그룹으로 무작위 할당한 후 실험군에 과제 지향적 활동을 1일 1회, 주 3회, 4주 동안 적용하고 그룹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과제 지향적 활동군은 캐나다 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통해 대상자가 선호하는 일상생활활동영역에 대한 과제를 제공하였다. 이때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손 기능 평가로 장악력 검사, 파악력 검사, 엄지의 맞섬, 손가락의 벌림 범위와, Purdue pegboard test,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DASH)를 사용하였다. 중재 전후 비교에서 과제 지향적활동군은 모든 손 기능 평가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5), 대조군의 손 기능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그룹 간 비교에서 과제 지향적 활동군은 손끝집기, 측면집기, 세점집기, Purdue pegboard test, DASH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5), 장악력 검사와 엄지의 맞섬 및 손가락의 벌림 범위는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과제지향적 활동이 수부손상환자의 손 기능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과제지향적 훈련이 치매 환자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The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on IADL in Dementia : Case Study)

  • 문미숙;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3권1호
    • /
    • pp.67-77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치매환자에게 과제지향적 훈련이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독립변인은 과제지향적 훈련으로 공통과제와 개인과제로 주 3회 매 회기 45분씩 총 12회 실시되었다. 종속변인은 기억력(숫자외우기 검사)과 실행기능(길 만들기 검사와 시계그리기 검사),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AMPS)의 변화였다. 결과 : 과제지향적 훈련을 통한 대상자의 실행기능이 향상되었으며, 기억력은 유의하게 변화되지 않았다.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결과는 임상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과제지향적 훈련이 치매환자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과제 지향적 상상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The Effect of Task oriented Imagination Training on the Function of Upper limb and Daily Activities of Chronic Stroke Patients)

  • 손영효;김승일;정화식;박수희;정현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163-1174
    • /
    • 2015
  • 본 연구는 과제 지향적 상상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3개월 이상 경과된 만성 뇌졸중환자 30명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15명씩 분배하였다. 실험군은 과제 지향적 훈련과 상상훈련을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과제 지향적 훈련만을 실시하였고, 모든 중재는 8주간 주5회 회30분씩 시행되었다. 중재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상지 기능은 MFT, OPTIMAL을, 일상생활활동은 MB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향상을 보였으며(p<.001), 실험군이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과제 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The Effect of Task-Oriented Training After Botulinum Toxin Inject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atients with Stroke: Case Study)

  • 이민재
    • 재활치료과학
    • /
    • 제5권1호
    • /
    • pp.67-75
    • /
    • 2016
  • 목적 : 본 사례연구는 보툴리눔 독소(Botulinum Toxin) 주사 후 과제 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변화와 일상생활활동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실험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인해 편마비 진단을 받은 44세 남자 환자로 손상 측 상지에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과제 지향적 훈련을 주 5회 30분씩 8주간 훈련을 받았다. 평가는 주사 전, 중재 4주 후와 8주 후의 상지기능 변화와 일상생활활동 수행변화를 평가하였다. 상지기능 평가는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Manual Function Test; MFT)와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로 평가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평가는 수정된 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로 측정하였다. 결과 : 상지기능평가에서 손의 조작능력과 기민성이 향상되었고 또한, 일상생활활동 하위 영역 중 개인위생, 식사하기, 용변처리, 옷 입기 항목에서 향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과제 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치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테라테인먼트 과제 지향적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체중이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ratainment Task Oriented Activity on the Hemiplegia Weight Shifting of Stroke Patients)

  • 정상미;최원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55-46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 지향적 활동을 뇌졸중 환자에게 중재 시 마비측 체중이동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경기도 소재 S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33명을 무작위 할당 후 실험그룹과 대조그룹으로 나누었다. 실험그룹 17명은 과제 지향적 활동을 제공하였으며, 대조그룹 16명은 일반적 작업치료를 주 3회, 회당 35분씩, 총 4주간 동안 진행하였다. 신체 좌·우측의 체중이동은 MTD balance system으로 평가하였으며, 중재 전 초기평가와 4주 중재 후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두 그룹의 중재 전·후 평가와 그룹 간 중재 전·후 평가를 실시하여 변화량을 비교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그룹 내 중재 전·후 평가 시 마비측으로 체중이동은 실험그룹과 대조그룹 모두 마비측으로 체중이동의 향상을 보였다. 그룹 간 중재 전·후 평가에서 실험그룹이 대조그룹에 마비측으로 체중이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추후 보완된 연구를 통해서 뇌졸중 환자 치료 시 과제 지향적 활동이 마비측으로 체중이동을 증진하는 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유비쿼터스 의료환경에서 순환식 과제 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이규동;김영훈;문종훈;박경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651-660
    • /
    • 2018
  • 본 연구는 순환식 과제 지향적 집단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경기도 부천 소재의 H 병원에 입원한 20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 상지 기능과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뇌졸중 기능회복 평가, 운동 활동 지표, 뇌졸중 영향 척도, 캐나다 작업 수행 평가, EQ-5D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을 무작위 할당하여 순환식 과제 지향적 집단훈련을 시행한 실험군 10명과 보존적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 10명으로 할당하였다. 중재 후, 두 그룹 모두 상지 기능의 향상을 보였으며, 중재 전과 후 운동 활동 지표, EQ-5D 평균 변화량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캐나다 작업 수행 평가 결과 다림질하기, 빨래 널기, 수건 접기 활동이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이 수행도, 만족도의 향상을 보였다. 순환식 과제 지향적 집단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순환식 과제 지향적 집단훈련을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임상적 중재로 활용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과제지향적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기민성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Dexterity of Affected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and ADL in Stroke Patients)

  • 엄숙;김수경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5-66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과제지향적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기민성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5명의 뇌졸중 편마비 환자를 선정하여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는 동영상을 통하여 과제지향적 동작수행을 관찰한 후 동작을 반복적으로 모방 연습하였다. 훈련은 주 3회, 회당 20~30분, 3주간 실시하였다. 환측 상지기민성에 대해 MFT, 10초 검사, 박스와 나무상자 검사를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은 MBI, MAL을 수행하였다. 전, 후 비교는 윌콕슨 부호순위검정를 사용하였다. 결과 : 훈련 후, 대상자의 환측 상지기민성은 훈련 전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상생활활동 또한 훈련 전과 훈련 후에 유의미한 증진을 보였다. 결론 : 과제지향적 과제를 적용한 동작관찰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기민성과 일상생활활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동작관찰훈련을 작업치료 중재 유형의 한 전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자조활동 훈련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 Care Training Program on Motor Function of Upper Limb and Self-Efficac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김기도;허명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97-503
    • /
    • 2019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훈련을 기반으로 하는 자조활동 프로그램이 상지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조활동 훈련 프로그램은 상지 과제 지향적 훈련으로 총 6주간, 주 4회 40분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매주 1회 집단훈련을 통해 훈련 프로그램을 점검하였다. 상지 운동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맨손기능 검사, 악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기효능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상지 운동기능 검사 결과, 자조활동 훈련 전에 비해 자조활동 훈련 후 맨손기능과 악력이 모두 증가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자기효능감 변화를 관찰한 결과, 자조활동 훈련 전에 비해 자조활동 훈련 후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과제 지향적 훈련을 기반으로 하는 자조활동 훈련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며, 과제 성취감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신체의 운동기능 회복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비교사교육에서 수학적 연결성을 강조한 과제 개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ask with Emphasis on Mathematical Connectivity in Pre-Teacher Education)

  • 강향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85-10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 연결성이 강조된 과제개발 활동을 통해 개발된 과제를 분석하여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52명을 대상으로 연결성이 강조된 과제 개발 활동을 적용하고 이를 통해 개발된 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과제는 타 교과, 수학사, 현상, 공학, 실생활과의 외적 연결이 있었다. 또한 다른 표현, 부분-전체의 관련성, 암시, 절차, 설명-지향적 연결의 다양한 내적 연결 사례가 있었다. '논리'와 '표현'의 관점에서 예비교사들의 CCK와 SCK는 긍정적이었으며, '전략'으로서 KCT는 다양성에서 아쉬웠지만 의미가 있었다. 다만 '수준'의 측면에서 KCS는 학생의 수준에 부합하지 못한 과제가 있었다는 점에서 제한적임을 알 수 있었다. '논리', '표현', '전략'의 유연함과 다르게 '수준'에서 어려움을 나타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교사교육에서 '학생에 대한 이해'가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과제 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인지 기능과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효과 - 개별 훈련과 집단 훈련의 비교 - (The Effect of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 Comparative of Group Training and Individual Training -)

  • 박은정;유찬욱;용미현
    • 재활치료과학
    • /
    • 제2권2호
    • /
    • pp.47-59
    • /
    • 2013
  • 목적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훈련을 집단과 개별로 실시하게 하여 상지 기능, 인지 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2012년 6월부터 11월까지 약 5개월간 A병원에 입원하여 뇌졸중 진단을 받은 사람 중에 재활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과제 훈련군과 개별 훈련군은 각각 13명씩 무작위 배정 하였다. 두 군 모두 동일한 내용의 과제 지향 훈련을 1일 30분씩 3주간 시행하도록 하였다. 결과 : 훈련 전 두 군의 상지 기능과 인지 기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훈련 전 일상생활 영역에서 목욕하기(p<.001), 식사하기, 개인위생과 총점(p<.05)이 집단 훈련군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훈련 후 상지 기능은 개별 훈련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두 그룹 모두 훈련 전후 상지 기능 식사하기, 개인위생,목욕하기, 옷 입기, 용변처리, 이동, 보행, 계단, 총점(p<.05)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두 그룹의 훈련 전후 변화량 비교에서 개별 훈련군이 상지 기능(p<.001)과 일상생활 영역에서 식사하기와 총점에서 더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p<.05). 결론 : 과제 지향적 훈련을 시행 시 집단 훈련군과 개별 훈련군 모두 상지기능, 일상생활 수행력에 향상을 가져오며, 특히 상지 기능의 향상이 클 경우에 더 높은 일상생활 수행력의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다. 앞으로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친 종단적인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