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업수행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32초

대화형 에이전트의 자기발화수정 전략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 과업 중요도와 대화 오류 여부를 중심으로 (Effects of Conversational Agent's Self-Repair Strategy On User Experience - Focused on Task Criticality and Conversational Error)

  • 김환주;김정용;강현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251-260
    • /
    • 2022
  •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 스피커 보급의 증가에도, 스마트 스피커의 대화 오류로 사용자 만족도는 하락하고 있다. 이 연구는 스마트 스피커의 대화형 에이전트 맥락에서 '자기발화수정 전략'이 과업 중요도 수준과 대화 오류 여부에 따라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대화 오류에 따라 시나리오를 제작하고 과업 중요도 수준에 따라 집단을 나눠 실험을 진행해 신뢰,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수용의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에이전트의 자기발화수정 전략은 완전한 수행과 비교해 신뢰와 지각된 용이성에 부적 영향을 주며, 과업 중요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대화형 에이전트 연구에서 미흡했던 자기발화수정 전략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알아보았고, 자기발화수정 전략의 수용과 관련된 사용자 경험 요인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패션모델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Fashion Model's)

  • 양의식;양해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01-114
    • /
    • 2008
  • 이 연구는 한국의 패션모델이 직업현장에서 수행하는 직무 영역에 따라 구체적인 직무항목을 체계화하여 분류함으로써 패션모델들에게 요구되는 직무의 영역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패션모델산업의 각 분야와 한국 내 대학에서 활동하고 있는 10명의 패션모델들을 대상으로 데이컴(DACUM)법을 이용하여 패션모델의 직무를 분석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패션모델의 직무는 7가지 임무에 따른 86가지의 과업이 분석되었으며, 패션모델이 입직초기에 수행해야할 직무가 32가지 과업(37.21%)로 분석되었는데 이들 과업은 대학을 졸업하기 전까지의 교육과정에서 익혀야할 과업이다. 분석된 결과에서 직무의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조사한 결과 중요도가 높은 직무는 56가지(53.49%), 난이도가 높은 직무는 21가지(24.41%), 수행빈도가 높은 직무는 18가지(20.93%)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요도와 난이도가 모두 높은 직무는 16가지(18.6%), 중요도와 난이도 및 수행빈도가 모두 높은 직무는 7가지(8.14%)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패션모델 입직 전의 대학교육과정과 현직 패션모델을 대상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구성에 본 직무분석 결과를 적극 반영함으로써 패션모델의 직무능력을 강화 할 수 있을 것이다.

개인피드백과 집단피드백이 과업 수행의 양과 질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 검증 (Relative Effects of Individual and Group Feedback o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ask Performance)

  • 문광수;차민정;이계훈;오세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55-664
    • /
    • 2014
  • 최근 많은 기업들이 팀제를 활용하고 있지만 팀의 업무 수행 향상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피드백 제공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팀 수행 상황에서 개인 피드백과 집단 피드백이 과업 수행의 양과 질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실험 과제는 영어 문서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것이었고 수행의 양은 입력된 단어의 수로, 수행의 질은 올바르게 입력된 단어의 비율로 측정되었다. 혼합설계(mixed design)가 적용되었고 총 48명의 참가자들은 개인과 집단 피드백 집단에 무선적으로 할당되었다. 각 팀은 3명으로 구성되었고 총 4회기 동안 함께 과제를 수행하였다. 개인피드백 조건에서는 각 참가자에게 개인의 수행에 대한 정보만 제공되었고, 집단 피드백 조건에서는 팀의 전체 수행 합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였다. 참가자들의 타이핑 속도를 통제한 공변량 분석결과, 두 가지 피드백 모두 수행의 양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효과크기는 집단 피드백이 더 높았다. 수행의 질에 있어서는 집단 피드백 조건에서만 올바르게 입력한 비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개인 피드백 보다는 집단 피드백이 과업 수행 증가에 좀 더 효과적,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로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후속연구에서는 문화 차이, 과제 종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KIHS 하천유역조사 현황 및 추진방안(현장조사 중심으로)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the River Basin Survey by the Korea Institute of Hydrological Survey)

  • 김태정;이한용;이성호;김성훈;이연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7-407
    • /
    • 2020
  • 수자원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이 생존을 위한 필수적 자원으로 확보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유역조사 사업은 1960년대 경제개발계획의 하나로 시작되어 댐 개발사업 등과 같은 수자원 개발을 위한 사전조사의 관점으로 진행되었다. 이후 2000년부터는 지속 가능한 개발·보전 및 계획·조사체계 정비 등에 목적을 두고 단위유역별로 시행되었으며, 2007년 이후부터는 전국유역을 대상으로 매년 정기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하천유역조사 사업의 목적은 유역조사를 체계적이기 지속해서 수행함으로써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및 하천유역종합치수계획 등 수자원 정책의 수립에 필요한 일관성 있고 신뢰성 있는 기초정보를 제공이다.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은 '유역조사 지침'을 근거로 13개 항목에 대한 현장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은 하천유역조사 과업을 수자원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물관리 분야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진행할 것이다. 세부적으로 조사인력의 전문성을 극대화하고 최신식 조사장비 및 분석기법을 도입하여 유역조사 성과에 대한 주기적인 검토 및 고찰을 수행하여 유역조사 결과의 고도화를 진행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업을 추진하여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 직면하고 있는 현안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PDF

교육CEO의 직무별 정보활용 역량 진단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Tool of Educational CEO's Information Competency based on Job Categories)

  • 서순식;장윤정;김현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73-182
    • /
    • 2008
  • 교원은 정보화 사회의 변화와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자신의 직무와 직급에 따라 정보활용 역량을 지속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교원이 정보활용 역량 구축을 위해,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화 연수과정을 선택하는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표준화된 정보활용능력 기준제시가 필요하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정보활용능력 평가와 기준들은 정보통신기술의 소양 수준을 측정하는데 머물고 있어 교원이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활용능력의 충족 정도를 진단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단위 학교의 관리자로서 교육 정보화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함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교육CEO의 정보활용 역량 진단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CEO가 수행하는 직무(job), 임무(duty), 과업(task)을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CEO의 직무를 (1)학교 발전의 비전제시, (2)교수 학습 지원, (3)조직과 자원의 관리, (4)대외협력의 4가지 영역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4가지 직무영역을 기준으로 선행 연구 결과를 유목화 하여 임무, 과업을 도출하였고, 직무에 따른 임무, 과업별로 관련된 ISST 요소를 결합하여 직무-ISST 이원분류표를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CEO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활용능력 수준을 자가 진단할 수 있는 63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 PDF

서비스경제시대의 신경영자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New Manager Model in Service Economy Era)

  • 김현수
    • 서비스연구
    • /
    • 제10권3호
    • /
    • pp.1-22
    • /
    • 2020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정립된 신경영 프레임워크에 기반을 둔 신경영자 모델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영 주체로서의 경영자 관점과 경영의 대상인 객체로서의 경영자 관점을 모두 포용하는 신경영자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현대 경영자가 왜 기존 경영자와 달라져야 하는지 그 이유를 논리적으로 제시하였다. 현대경제사회가 기존 경제사회와 달라졌고, 경영의 대상인 현대 조직이 기존 조직과 달라졌으며, 경영자에게 요구되는 과업이 기존의 과업과 달라졌음을 논리적으로 설명하였다. 새로운 경영자에게 요구되는 경영자 모델을 현대경제철학인 서비스철학의 구조와 프로세스 모델에 기반하여 제시하였다. 제시된 경영자 모델에 따라, 새로운 경영자에게 요구되는 과업과 그 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경영자로서의 필수 소양을 제시하였다. 또한 경영자에게 요구되는 소양을 가진 경영자가 수행해야하는 역할 모델을 제시하였다. 고객과 하나가 되는 경영자 역할, 자신의 비이성성까지도 통제하는 경영자 역할, 분별과 비분별을 병행하는 경영자 역할, 강한 카리스마와 물과 같은 부드러움을 겸비한 유연한 리더십 역할, 규정과 비규정을 포용하는 관리자 역할, 비전과 무비전 경영을 병행하는 경영자 역할, 경쟁과 비경쟁을 모두 활용하는 경영자 역할 모델 등을 도출하였다. 경영자는 두 개의 상반되는 역할을 태극식 모델로 포용하며 각 역할이 지닌 자체 모순을 시공간 차원에서 해결하면서 발전해가는 나선형 변증법적 사이클로 경영활동을 수행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대한민국 태극기에서 사용한 주역의 감괘와 리괘 모델을 차용하여 두 대립자를 내부 및 외부에 포용하는 방식과 시공간축의 변화에 따른 변증법적 경영 실행과정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로는 신경영자 모델에 대한 실증적 분석적 연구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확장하여 실용적인 모델로 발전시키고, 이를 분석적 방법으로 검증하는 연구들이 필요하다.

DACUM 기법을 활용한 간호대학생의 학교현장실습 직무분석 (Job Analysis for Nursing Student in Pre-Service Health Education Teacher Practicum using DACUM Method)

  • 서요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64-67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초등학교 현장실습에 관한 직무 및 과업을 DACUM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J도에 소재한 일 간호대학의 보건교사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초등학교 현장실습과정을 수행한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DACUM 워크숍을 실시하여 임무, 과업, 과업별 중요도, 난이도, 빈도 등의 직무내용을 분석하였고,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도구, 장래전망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직무분석 내용은 J시, I시, G시 등의 학교현장전문가 7인과 교육학전공 교수 2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DACUM 차트를 개발하였다. DACUM 차트는 6개 임무와 24개 과업으로 구성되었고,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이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로는 초등학교 학교현장실습의 임무 중 건강관리는 가장 중요도가 높은 과업으로 산출되었고, 교수학습능력과 문서작업능력이 실습을 위한 기본적인 기술로 제시되었다. 학교현장에서의 보건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에 대한 중요도는 증가되므로 보건교육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기관의 제도적 노력과 교육환경 개선 등의 뒷받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팀 내 갈등이 팀몰입에 미치는 영향: 팀효능감과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Conflict and Team Commitment: Mediating Role of Team Efficacy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 이목화;한준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831-2843
    • /
    • 2014
  • 팀을 기반으로 한 조직구조가 확산되면서, 많은 조직구성원들이 팀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조직구성원들에게 팀이라는 또 하나의 중요한 몰입대상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갈등의 경험가능성 역시 증가시켰다. 그러나 팀 내 갈등과 팀몰입 사이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이 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팀효능감과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의 차별적인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은 팀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 째, 팀효능감은 과업갈등과 팀몰입 사이를 완전 매개하였다. 셋 째,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는 관계갈등과 팀몰입 사이를 완전 매개하였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프로젝트 수행 성과에 관한 연구 : GoogleDocs 사용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oject Performance in Cloud Computing : Focus on User Experience of GoogleDocs)

  • 우혁준;심정현;이정훈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1-100
    • /
    • 2011
  • IT 기술의 발전으로 시간적, 물리적 제약을 넘은 미래 인터넷 기술에 대한 사용자들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최근 새로운 개념으로 주목 받고 있는 것이 클라우드 컴퓨팅이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의 도입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특성이 프로젝트 수행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기술적 도구로써 클라우드 컴퓨팅을 과업과 기술의 적합성 모형에 적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개인이 프로젝트를 수행할 시에 나타나는 성과에 대하여 실증적인 연구를 하였다. 대학교 및 대학원에서 팀 단위의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클라우드 컴퓨팅의 가장 널리 보급된 형태인 GoogleDocs 및 웹하드에 대한 사용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는 행위에 중점을 두어, 접근성과 신뢰성을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한 1차 요인으로 정의하여 프로젝트의 상호의존성과 개인의 특성이 적합성 및 활용을 통하여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은 팀 단위의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 적합한 도구라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단계의 클라우드 컴퓨팅에 있어 개인이 지각하는 적합성 및 성과를 규명함으로써, 협업에서의 클라우드 컴퓨팅의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정보시스템 품질, 조직압력, 팀 풍토가 정보시스템 전유에 미치는 영향과 과업성과 (Effect of Information System Quality, Organizational Pressure, and Team Climate on the Appropriation of an Information System and Related Task Performance)

  • 민경의;백승령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65-92
    • /
    • 2015
  • 최근 정보기술의 발달로, 군에서도 정보시스템의 활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포병화력지원부대에서는 임무수행을 위한 정보시스템으로 전술사격지휘 시스템(BTCS-A1)을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BTCS-A1이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사격지휘 절차를 자동화하여 사격시간을 단축하는 등 임무수행에 도움이 되는 정보시스템으로 인식되고는 있지만, 시스템이 제공하는 효과성이나 포병부대의 성공적인 임무수행을 위한 기여정도에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적합구조화이론(Adaptive Structuration Theory)에 근거하여 BTCS-A1의 활용을 전유(Appropriation)로 개념화한 후, BTCS-A1의 전유가 포병 사격지휘팀 구성원의 과업성과(Task Performance)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BTCS-A1의 전유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으로 기술적 특성(정보시스템 품질), 조직환경 요인(조직압력), 사격지휘팀의 내부 환경요인(팀 학습풍토, 팀 권한위임풍토)을 고려하여 연구가설과 모형을 제시하였다. 설문분석 결과, 조직압력, 팀 학습풍토, 팀 권한위임풍토가 정보시스템의 전유를 촉진하였으며 정보시스템의 전유는 과업성과를 개선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반면 정보시스템품질은 정보시스템의 전유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BTCS-A1을 사용하는 포병부대가 정보시스템의 활용을 통하여 과업성과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정보시스템의 제공과 사용의 강조뿐만 아니라 시스템 활용을 위한 상급자의 관심과 제도적 장치의 지속적인 고려가 필요하고, 팀 학습풍토와 권한위임풍토의 여건을 마련해주는 조치가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