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산화물

검색결과 719건 처리시간 0.028초

김치첨가에 따른 해물만두의 저장 효과 (Preservative Effect of Kimchi during storage of Seafood Bun)

  • 강갑석;김용택;이선미;주옥수;허정숙;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93-398
    • /
    • 2001
  • 김치첨가에 따른 해물만두의 저장효과를 조사하고자 김치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제조한 해물만두를 2$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성에 관련된 주요성분을 조사하였다. 저장 중 해물만두의 pH는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김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총산은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산가는 저장중 전체적으로 증가하였는데, 김치첨가 해물만두가 대조군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고, 과산화물가의 경우도 김치첨가 해물만두가 대조군에 비하여 과산화물가가 적었으며, 김치첨가 농도에 반비례하였다. TBA가와 VBN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고, 김치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낮았다. 생균수는 지장 2일째가지는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3일 이후에는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김치 첨가량에 비례하여 생균수의 증가폭이 적게 나타났으며, 대장균의 경우도 생균수의 경우가 같은 경향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20% 김치첨가 해물만두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민들레 물추출물의 항산화 및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uaxacum officinale))

  • 강미정;신승렬;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53-259
    • /
    • 2002
  • 민들레 잎과 뿌리로부터 물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 및 라디칼 소거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물 생성저해율,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chemiluminescence를 이용한 hydroxyl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EPR을 이용한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및 hydrogen peroxide에 대한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민들레 잎의 물추출물이 뿌리의 물추출물 보다 지방산에 대한 과산화물 생성 저해율이 높았고,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superoxide anion radical 및 hydrogen peroxide에 대한 소거활성 역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Freeze Dried Kimchi)

  • 이영옥;최홍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6-71
    • /
    • 1996
  • 동결건조한 김치를 물, 메탄올, 에칠 에테르로 각각 추출한 후 이들 용매추출물들이 지니고 있는 지질산화반응에서의 항산화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즉, linoleic acid mixture의 액상산화반응 조건($37^{\circ}C$)에서 과산화물 생성억제에 대한 용매별, 김치발효기간별, 농도별, 그리고 혼합용매종류별로 실험하여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물과 메탄올 추출물이 에틸에테르 추출물 보다 과산화물의 생성을 더 억제 하였다.그리고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성이 증대되었으며 발효 초일의 김치나 과숙김치보다 잘 숙성된 김치(15$^{\circ}C$에서 7일간 발효)의 추출물에 더 항산화성이 높았다. 또한 물과 메탄올의 비율을 달리 하여 추출한 경우 순수 메탄올보다 50~80% 메탄올 농도에서의 용매추출물에서 항산화효과가 높았다. 비록 75% 메탄올추출물의 항산화성은 BHA와 $\alpha$토코페롤보다는 낮았지만 동 추출물에서 계통적 분획 등에 의한 분획물의 항산화성을 계속 검토하므로서 보다 높은 항산화성 물질이 분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Methyl Linoleate의 산화중 형성된 Monohydroperoxide 이성체들의 조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Composition of Monohydroperoxide Isomers Formed in Oxidation of Methyl Linoleate)

  • 김인환;김철진;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40-445
    • /
    • 1996
  • Methyl linoleate를 기질로하여 온도 및 과산화물가에 따른 monohydroperoxide 이성체의 조성변화를 $60^{\circ}C$$90^{\circ}C$ 그리고 $120^{\circ}C$$150^{\circ}C$에서 조사하여 보았다. Silica gel column으로 분획한 monohydroperoxide 분획물을 NaBH로 환원시켜 HPLC를 이용하여 분석 및 분획하였다. 각각의 이성체 분획은 trimethylsolyl ester 형태로 유도체화시킨 후 GC-MS로 확인하였다. 확인된 이성체중 기하이성체의 조성변화는 $60^{\circ}C$$90^{\circ}C$의 경우 9/13-OOH-trans, trans-diene이 9/13-OOH-cis, trans-diene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150^{\circ}C$의 초기단계에서는 9/13-OOH-cis, trans-diene이 9/13-OOH-trans, trans-diene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한편 위치이성체의 경우에는 온도 및 과산화물가의 변화에 따라 거의 비슷한 비율을 나타내었다.

  • PDF

Propolis 에탄올 추출물의 품질특성 및 기능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 of Propolis)

  • 서권일;오인석;오동환;최성희;손미예;문주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69-972
    • /
    • 2000
  • Propolis의 품질특성 및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우리나라 원료 3종(문경, 산청 및 순천)과 수입원료 1종(S사 제품)의 Propolis를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최대흡수 파장과 total flavonoid함량을 측정하고, 항균, 수소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및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다. Propolis 추출물의 최대흡수파장은 208~212 nm이었으며, 다음으로 292~294 nm에서도 큰 흡수파장을 나타내었다 문경, 산청 및 순천지역의 total flavonoid 함량은 16.30~21.87 mg/g이었으나, 시료간에는 함량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4종의 시험균주에 대한 항균 test 결과 시험 균주 모두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그중 특히 Salmonella typhimurium 균주에 대하여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수소공여능은 55.94~78.67%로 대체로 0.1% BHT보다 높게 나타났고, 아질산염소거능은 62.93~83.24%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에서 채취한 3종의 시료가 수입시료인 S사 제품에 비하여 수소공여능 및 아질산염소거능 모두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물가는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히 낮게 나타나 수입원료 1종과 우리나라 채취 3종의 제품 모두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버섯류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 이기동;장학길;김현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32-436
    • /
    • 1997
  •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영지, 양송이, 표고 등 버섯류의 기능성을 검토하고자 버섯류를 diethylether와 부탄올로 추출하여 이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과산화물가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작용은 영지버섯의 diethylether 및 부탄올 추출물에서 95.09% 및 97.75%로서 우수하였으며, 양송이와 표고버섯의 부탄올 추출물에서도 94.33% 및 96.09%로서 전자공여 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영지버섯의 diethylether 추출물은 BHA보다 강한 항산화성을 나타냈으며, 영지버섯의 부탄올 추출물은 저장 15일 까지 BHA보다 과산화물가가 낮았다. 양송이버섯의 diethylether추출물은 거의 항산화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양송이버섯의 부탄올 추출물은 대조구와 diethylether 추출물보다는 항산화성이 높게 나타났다. 영지버섯의 diethylether 추출물 및 표고버섯의 부탄올 추출물이 68.34% 및 68.23%로서 높은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나타내었으나 영지 및 양송이버섯의 부탄올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각각 44.44% 및 43.39% 이었다.

  • PDF

홍국 첨가가 소시지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nascus Koji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logna-Type Sausage)

  • 류미라;김은영;정경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29-234
    • /
    • 2003
  • 홍국의 아질산염 저감화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bologna-type 소시지에 Monascus ruber IFO 32318로 제조한 홍국을 2% 첨가하고 $4^{\circ}C$에서 22일간 저장하면서 1, 7, 14, 22일에 시료를 채취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홍국의 첨가는 전 저장기간에 걸쳐 소시지의 색상유지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특히 소시지의 단면보다 표면 색상의 개선에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에 홍국을 첨가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지질 과산화물 생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된 반면 대조군에서 아질산염과 비타민 C를 제외하고 홍국을 첨가한군은 대조군보다 과산화물의 생성이 유의적으로 많아 홍국이 비타민 C와 아질산염의 효과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하였다. 기계적 texture는 대조군에 홍국를 첨가한 군이 저장초기에 탄력성, 껌성, 경도 및 응집성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저장 14일 이후에는 모든 군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장기간 저장하는 경우 홍국의 첨가가 소시지 texture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국첨가에 의한 미생물 증식 억제효과는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적으로도 홍국을 첨가한 경우 소시지 외관의 색상을 개선시켰으며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산패취 도한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조직감 및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홍국을 육가공품 제조에 적절히 활용하므로써 아질산염을 부분적으로나마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들깨죽 제조를 위한 가열 중 클로로필과 카로텐이 지방질 산화와 토코페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lorophyll and Carotene on Lipid Oxidation and Tocopherols during Heating for Manufacturing of Perilla and Rice Porridge)

  • 정라나;이지연;오수정;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80-685
    • /
    • 2012
  • 야채가 혼입된 들깨죽 제조의 시뮬레이션 연구로 볶은 들깨와 쌀, 물의 혼합물의 가열 중 클로로필(0.33 mg/kg)과 베타-카로텐(3.3, 9.9, 19.8 mg/kg)의 첨가에 의한 지방질의 산화와 토코페롤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시료의 가열과정 중 과산화물값과 공액이중산값이 증가하여 들깨죽 지방질의 산화가 발생하였음을 뚜렷이 보여주었으며 클로로필과는 달리 베타-카로텐은 농도의존적으로 지방질의 과산화물값과 공액이중산값을 감소시켰다. 들깨와 쌀, 물의 혼합물에 첨가한 클로로필과 베타-카로텐 및 시료에 함유되어 있던 토코페롤의 분해는 가열 시간에 대해 1차반응이었으며 베타-카로텐은 가열 과정 중 토코페롤의 분해를 억제하였다.

흑미 색소물질에 함유된 페놀화합물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tive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Extracted from Black Rice)

  • 정영아;이재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48-951
    • /
    • 2003
  • 흑미(수원 415호)의 페놀화합물을 유리형과 결합형으로 분리하여 추출한 결과, 시료 100 g당 각각 845.4 및 401.6 mg 으로서 유리형 페놀화합물이 결합형보다 2배 이상 함량이 높았으며 항산화활성도 우수하였다. 유리형 페놀화합물을 용매 분획하여 각 분획의 페놀화합물 함량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butanol 분획에서 가장 높은 페놀화합물 함량과 항산화활성이 관찰되었다. EDA, LPI 및 BAHI방법으로 butanol 분획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butanol 분획의 hydroxy 라디칼 소거능력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BHT와 $\alpha$-tocopherol보다는 우수하였으나, linoleic acid를 기질로 한 과산화물 생성억제능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butanol 분획은 $\alpha$-tocopherol보다는 2배 이상 높았으나 BHT보다는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흑미 페놀화합물의 항산화기작은 라디칼 소거작용에 기인하는 것이며 산화의 중간 단계의 과산화물 생성 억제력은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미역의 급여 수준이 타고난 면역반응이 활성화한 육계병아리의 혈액 항산화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Brown Seaweed Levels on the Antioxidant System in Broiler Chicks Activated Innate Immune Response)

  • 이혜정;박인경;임진택;최도열;최준영;최종배;이홍구;최윤재;고태송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29-38
    • /
    • 2005
  • Effect of dietary brown seaweed(Undaria pinnatifida) levels on the anti-oxidant enzyme system was evaluated in blood of broiler chicks activated innate immune response. Day-old broiler chicks were fed diets containing 0.0(basal), 1.0, 2.0 and 4.0 % of brown seaweed for 4 weeks. The innate immune response was activated by injecting Salmonella typhymurium lipopolysaccharide(LPS) i.p. at 8, 10 and 12 day of age. The activation of innate immune response enhanced(p< 0.01) and the brown seaweed 1.0 and 2.0 % diets reduced(P< 0.05) the superoxide dismutase(SOD) activity in erythrocyte cytosol significantly. The activation of innate immune response elevated significantly the levels of peroxide and the activity of peroxidase in plasma, while the levels of dietary brown seaweed resulted in a significant linear increase in peroxidase activity in plasma of normal bird. Experience of the innate immune response in 4 week-old chicks reduced linearly the plasma level of peroxide with the level of brown seaweed and enhanced the plasma peroxidase activity. Also, the plasma of normal birds fed the brown seaweed showed higher level of peroxide and lower activity of peroxidase. The results indicated that dietary brown seaweed affected SOD and peroxidase activities in blood of broiler chicks during activation of innate immune respo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