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방전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SOC Algorithm and Design of Battery ECU for Hybrid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ECU 설계 및 잔존용량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남종하;최진홍;김승종;황호석;김재웅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9 no.4
    • /
    • pp.319-325
    • /
    • 2004
  • The major factors that make ZEV affordable are the range and cost. The development of advanced batteries such as Ni-MH battery can solve the problem partly; on the hand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is an efficient way. Ni-MH battery and battery ECU is a key component influencing ZEV performance, such as range, acceleration and hill-climbing capability. Because most problems related to battery such as short circuit, over-discharge and overcharge occur easily during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dicated battery ECU for HEV. This paper proposes a new SOC algorithm for the HEV based on the terminal voltage and current integration. And battery ECU was designed and analyzed. Also, the validity i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

A Study on Intelligent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for Secondary Battery (2차 전지의 지능형 충방전 제어에 관한 연구)

  • Im, Geun-Uk;Jo, Hyeon-Chan;Kim, Gwang-Seon;Yu, Sang-Gil;Choe, Gyeong-Deok;Gang, Hui-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37-40
    • /
    • 2008
  • 본 논문은 2차전지의 최적화된 충 ${\cdot}$ 방전 제어를 위한 지능형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고용량화된 2차 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게 되고, 과충전에 의한 발화와 과방전에 의한 열화 특성으로 위험성이 존재하므로 정밀하게 전안, 전류를 제어하지 않으면 그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전지의 위험성을 제거하고 성능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모든 전지 셀의 충방전 전류량을 조절하여 모든 전지의 셀간 전압 차이를 밸런스 제어 해야 한다. 하지만 전지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임피던스가 사이클 라이프와 온도 변화 등 외부 환경에 의해 비선형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전지의 셀간 밸런스 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충 ${\cdot}$ 방전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임피던스의 변화에도 적응 가능 하고 2차 전지가 가질 수 있는 최대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하는 알고리즘과 제어회로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효용성을 입증한다.

  • PDF

Satellite Battery Cell Voltage Monitor System Using a Conventional Differential Amplifier (종래의 차동증폭기를 사용한 인공위성 배터리 셀 전압 감시 시스템)

  • Koo, Ja-Chun;Choi, Jae-Dong;Choi, Seong-B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3 no.2
    • /
    • pp.113-118
    • /
    • 2005
  • This paper shows a satellite battery cell voltage monitor system to make differential voltage measurements when one or both measurement points are beyond voltage range allowed by a conventional differential amplifier. This system is particularly useful for monitoring the individual cell voltage of series-connected cells that constitute a rechargeable satellite battery in which some cell voltages must be measured in the presence of high common mode voltage.

Development of Monitoring for secondary-battery-system using LabVIEW (LabVIEW를 이용한 2차전지의 상태 감시제어장치에 관한 연구)

  • Kim, Sun-Young;Sin, Kun;Kim, Byung-Mok;Rho, Dae-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85-88
    • /
    • 2011
  • 석유 등 화석연료로 인한 지구온난화 문제와 더불어 일본 대지진 이후 원자력발전의 안전에 의문이 제기 되면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국가정책으로 녹색성장 정책이 실행됨에 따라 2030년까지 전체 에너지원 중 신에너지전원의 비중을 전체 에너지원의 11%로 확대하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를 통하여 얻은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사용 할 수 있는 2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다수의 산업 현장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 2차 전지는 Smart Grid 및 전기자동차분야에서 폭넓게 사용 되면서 정확한 출력전압, SOC 및 충-방전 예상 시간을 추정하여 2차 전지의 과충전, 과방전으로 인하여 생기는 고장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2차 전지 사용 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런 실정에 맞추어 LabVIEW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2차 전지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 및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함으로써, 사고 시 2차 전지에 가해지는 피해 방지 및 관리 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저궤도 위성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성능 확보를 위한 Balancing기법에 관한 고찰

  • Lee, Sang-Rok;Im, Seong-Bin;Jeon, Hyeon-J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88.1-188.1
    • /
    • 2012
  • 인공위성에 사용되는 배터리 기술은 1960년대 최초로 사용된 니켈 카드뮴(NiCd)을 시작으로 발전하기 시작해서 현재는 리튬-이온(Li-Ion)에 이르렀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높은 Energy Density(작은 크기와 무게), 낮은 자가 방전율을 가짐과 동시에 메모리 효과가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리튬-이온 배터리 팩의 성능(Voltage, Capacity, Lifetime)은 사용된 Cell간 특성차이(State of Charge, Total Capacity Difference, Internal Impedance)에 의해 제한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원하는 전압과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직렬-병렬 혹은 병렬-직렬 구조를 가지는 팩 형태로 제작 된다. Cell간 특성차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배터리 팩을 사용할 경우 특정 Cell의 과충전 및 과방전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수명이 단축될 수 있고 심한 경우 폭발이 발생할 수 도 있다. 또한 Cell간 특성차이는 배터리팩의 사용가능 용량을 제한하는 효과를 가져 온다. 본 논문에서는 Battery 팩을 구성하는 Cell들에 특성 차이가 존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Battery 팩의 수명 단축 및 용량 감소 Mechanism에 대해서 고찰한다. 또한 Cell간 특성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실제 위성 운용에 적용될 수 있는 배터리팩의 Balancing 방안과 함께 위성에 장착을 위해 보관중인 4p12s Battery의 Balancing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 Balancing 전후의 Cell간 특성(Voltage Dispersion) 차이 측정결과를 보인다. 이렇게 본 논문에서 소개한 리튬-이온 배터리의 전반적인 Balancing 방안은 추후 인공위성에 적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운용 및 보관에 Guide Line을 제시할 것이라고 판단한다.

  • PDF

Model-based Analysis of Cell-to-Cell Imbalance Characteristic Parameters in the Battery Pack for Fault Diagnosis and Over-discharge Prognosis (배터리 팩 내부 과방전 사전 진단을 위한 모델기반 셀 간 불균형 특성 파라미터 분석 연구)

  • Park, Jinhyeong;Kim, Jaewon;Lee, Miyoung;Kim, Byoung-Choul;Jung, Sung-Chul;Kim, Jonghoo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26 no.6
    • /
    • pp.381-389
    • /
    • 2021
  • Most diagnosis approaches rely on historical failure data that might not be feasible in real operating conditions because the battery voltage and internal parameters are nonlinear according to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cell-to-cell configuration and initial condition. To overcome this issue, the estimator and the predictor require integrated approaches that consider comprehensive data, with the degradation process and measured data taken into account. In this paper, vector autoregressive models (VAR) with various parameters that affect overdischarge to the cell in the battery pack were constructed, and the cell-to-cell parameters were identified using an adaptive model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ailure prognosis. The theoretical analysis is validated using experimental results in terms of the feasibility and advantages of fault prognosis.

A study on the proposal of new SOF algorithm suggesting safety state of battery pack considering cell-to-cell deviation (배터리 팩 내부 셀간 편차를 고려하여 안전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새로운 SOF 알고리즘 제안 연구)

  • Kim, Gunwoo;Sin, Seunghwa;Lee, Sungjun;Kang, Mose;Baek, Jongbok;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218-220
    • /
    • 2020
  •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단위 셀들은 전기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내부 파라미터들이 동일한 값을 가지지 않고 편차가 있으며, 편차가 심할 경우 과방전 및 과충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된 SOF (State-Of-Function) 알고리즘의 경우 SOC (State-Of-Charge), SOH (State-Of-Health)와 같은 파라미터를 하나의 수식으로 정의하여 배터리 팩의 가용 전력을 예측하는 지표로써 사용되어 왔으나,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SOF 알고리즘은 배터리 팩 내부의 단위 셀간 파라미터들의 편차를 하나의 수식으로 정의하여 배터리 팩의 안전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지표로써 활용한다. SOF 알고리즘을 통해 배터리 팩의 안전 상태를 확인하고 검증하기 위해 21700 NMC(LiNiMnCoO2) 계열의 고용량 배터리를 14S40P로 구성한 배터리 팩을 사용했다.

  • PDF

Characteristics Analysis of Measurement Variables for Detecting Anomaly Signs of Thermal Runaway in Lithium-Ion Batteries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폭주 이상징후 감지를 위한 측정 변수 특성 분석)

  • LIM, BYUNG-JU;CHO, SUNG-HOON;LEE, GA-RAM;CHOI, SEOK-MIN;PARK, CHANG-DA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33 no.1
    • /
    • pp.85-94
    • /
    • 2022
  • To detect anomaly signs of thermal runaway in advance, this study analyzed the signals from various sensors installed in lithium-ion batteries. The thermal runaway mechanism was analyzed, and measurement variables for anomalies of a battery cell were surface temperature, strain, and gas concentration.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ree variables during the thermal runaway process were analyzed under the abuse environment: the overheat and the overcharge. In experiment, the thermal runaway of the battery proceeded in the initial developing stage, the outgassing stage, and the ignition stage. Analysis from the measured data indicated that the suitable variable to detect all stages of thermal runaway i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battery, and surface strain is alternative.

Effects of Fruit Surface Spray of Lime Fertilizer on the Mineral Content of Fruit Skin and Quality in 'Campbell Early' Grapes (석회비료 과면살포에 따른 포도 '캠벨얼리' 과피의 무기성분 함량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 Lee, Young Cheul;Moon, Byung Woo;Kim, Ho Young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7 no.1
    • /
    • pp.81-89
    • /
    • 2005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ruit skin spray of the lime fertilizer in 'Campbell Early' grapes. The T-N, P, K, Ca and Mg of fruit skin and cluster weight, berry weight, cluster length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lime fertilizer. But soluble solids in fruit was reduced by fruit skin spray of liquid calcium fertilizer extracted from oyster shell after bagging(LCaB). The anthocyanin content of fruit skin was decreased by air-slaked lime(HCa) and LCaB treatment. Also, occurrence of fruit skin bloom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HCa and oyster shell powder(OS-CaP) treatment. The berry firm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rough liquid calcium fertilizer extracted from oyster shell(LCa) and HCa treatment. Conspicuously, berry elasticity was rather decreased by OS-CaP treatmen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of weight loss of fruit among treatments during room temperature storage.

Implementation of Cell Voltage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Multi-channel Battery (고속 다채널 배터리 모니터링을 위한 CVM 시스템의 구현)

  • Lee, Kyung-Ryang;Cho, Seung-Il;Yeon, In-Chol;Kim, Seong-Kweon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8 no.3
    • /
    • pp.15-19
    • /
    • 2013
  • Lithium-ion batteries have been used for high density energy storage system due to the features such as low self-discharge rate. And the unit cell battery with the voltage less than 4V is recommended to use the series connections for a high voltage charger. When batteries are charged or discharged with series connection, there may be an explosion or degradation of unit cell battery owing to undistributed internal resistance of cell battery. therefore, the voltages of unit cell batteries should be monitored to prevent an overcharging and a deep discharging. This paper introduces the implementation of CVM (Cell Voltage Monitoring) system that can transmit the 12 channel's information including voltages and temperatures with the 12-bits resolutions and the transmission speed of 192 kb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