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발효

Search Result 2,77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erobic Acid and Methane Fermentation using Paper Wastes (폐지를 이용한 혐기성 산 발효 및 메탄발효 특성)

  • 조건형;김중곤;김성준;김시욱
    • KSBB Journal
    • /
    • v.18 no.4
    • /
    • pp.318-323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reusing newspaper or paperbox waste by methane fermentation. When 15 g of newspaper and box wastes were digested separately for 24 days by batch fermentation, the amount of total organic acids produced were 2461 and 4978 mg/L, respectively. The tCOD removal rates were found to be 60.9 and 62.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otal solid were 34.8 and 33.4%, and those of volatile solid were 40.0 and 39.2%, respectively. During this period, the amounts of biogas produced were 6.95 and 6.43 L. In a semicontinuous reaction, tCOD removal efficiencies for newspaper and box wastes were 64.7 and 65.0%, respectively, after 14 days of digestion. After 25 days, which were needed to stabilize the methane fermentation, the amounts of biogas produced daily were 0.31 and 0.30 L/g.dry wt, respectively. Methane contents were 57.3 and 56.2%, respectively, and the pHs in the anaerobic acidogenic and methanogenic fermenters were 5.0 and 7.5, respectively.

Effects of Additional Level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Emission in in vitro (왕대의 첨가수준이 반추위 in vitro 발효성상과 메탄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 Jo, Seong-Uk;Lee, Shin-Ja;Lee, Ye-Jun;Kim, Hyun-Sang;Eom, Jun-Sik;Choi, You-Young;Bae, Eun-Ji;Lee, Sung-Sill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9 no.2
    • /
    • pp.241-256
    • /
    • 2021
  • The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PHB) as a feed additives and investigate whether its antioxidant activity could be helpful for increasing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reduction. The antioxidant activity results showed that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contents were 43.54 ± 8.68 mg CE/g and 17.13 ± 0.45 mg QE/g, respectively, and the IC50 values for 1,1-diphenyl-2-pr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 ethylbenzthiazoline-6- 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163.13 ± 19.25 ㎍/mL and 97.07 ± 4.46 ㎍/mL, respectively. Two heads of cannulated Hanwoo (450 ± 30 kg), consuming timothy hay and a commercial concentrate (60:40, w/w) twice daily (at 09:00 and 17:30) at 2% of body weight, with free access to water and a mineral block, were used as rumen fluid donors. An in vitro incubation experiment was performed after 6, 12, 24, 48, and 72 hr with PHB added at concentration of 2, 4, and 6% of timothy hay basis. Total gas emission decreased as the amount of PHB addition increased at 6 and 24 hr of incubation. However, PHB addition did not affect total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and methane and carbon dioxide emission also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ition increased at 48 hr of incubation. Therefore, PHB was expected to be used as methane reducing additives in the ruminants.

Sourdough를 이용한 냉동반죽 특성

  • 유정희;한경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Conference
    • /
    • 2003.10a
    • /
    • pp.72-72
    • /
    • 2003
  • 효모와 젖산균에 의해 발효된 소위 sourdough빵은 천연의 고유 향미와 그리고 건강식품이라는 인식과 더불어 계속 소비가 증가되고 있는데, 이것은 젖산균에 의해 생성된 젖산과 아세트산에 의해 약간의 신맛과 독특한 풍미가 제공되고 저장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냉동 빵의 품질 향상을 목적으로 sourdough의 냉동반죽 특성을 조사하였다. soudough용 wheat brew 제조에는 L.plantarum과 Lbrevis혼합균주(0.1%)의 발효상태가 양호하였으며 wheat brew를 첨가한 경우 farinouam 특성중 반죽의 stability가 감소되어 반죽의 발효시간이 단축된 short time법을 반죽제법에 적용하였다. (중략)

  • PDF

발효정도에 따른 녹차, 반발효차, 홍차 추출물의 항균활성

  • 최옥자;이행재;최경희;정현숙;김용두
    • Proceedings of the SOHE Conference
    • /
    • 2003.10a
    • /
    • pp.84-84
    • /
    • 2003
  • 본 연구는 차는 잎 자체가 가지고 있는 상쾌한 향과 차 제조과정 중에 생성되는 독특한 향으로 인하여 기호식품으로서 뿐만 아니라 체내의 생리활성 작용이 탁월하기 때문에 기능성식품으로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차의 풍미는 차 생산지의 토양, 기후, 품종, 제조방법 등 여러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나 제일 중요한 것은 제조방법으로 차의 산화효순에 의한 발효정도에 따라 차의 향과 맛, 체내작용 등에 차이가 있다. 국내산 반발효차 및 발효차는 수입된 우롱차와 홍차와는 차별화된 은은한 향과 깊은 맛을 지니며, 기호도가 매우 높다.

  • PDF

김치 및 김치재료의 항산화 기능성

  • 최홍식;황정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107-114
    • /
    • 2000
  • 우리 민족 전래의 발효식품인 김치는 많은 생리활성물질들이 존재하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여러 효소와 미생물들이 관여하는 복잡한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또다른 생리활성물질들을 생성한다. 이들 물질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며 실험 방법들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이지만 김치 재료물질들의 종류 및 함량, 발효정도 등은 김치의 항산화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본 총설은 김치의 항산화성을 in vivo 및 in vivo수준에서의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PDF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in Containing Medicinal Herb (한약재를 첨가한 전통주개발에 관한 연구)

  • Kim, Young-Sook;Park, Young-Sook
    • Food Science and Industry
    • /
    • v.40 no.2
    • /
    • pp.83-89
    • /
    • 2007
  • 저온발효와 고온발효에 의하여 만들어진 민속주를 증류하여 알콜돗를 45%로 같이 맞추어 성분함량을 비교하였다. 발효온도에 따른 환원당의 함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저온발효 민속주는 15 mg/100 mL, 고온발효 민속주는 5 mg/100 mL로 나타났다. 즉 저온 발효에서 환원당의 양이 많았으며, 그러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소주보다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향기 성분에 생성과정에 영향을 주는 Fusel alcohol을 볼 때 반적으로는 발효액에 아미노산이 없는 것보다는 많을 수록 많은 양의 fusel alcohol을 생성되기는 하지만, fusel alcohol을 생성하기위한 조건은 효모의 종류, 발효조건, 발효온도, 발효액의 조성 등의 복잡한 인자가 관련된다. 본 연구에 제조한 발효주를 소주의 아미노산과 비교할 때 아미노산 함량이 전반적으로 20-100도 낮은 함량치로 나타났다. 한약재 첨가로 인하여 면역증강, 살세포 반응 억제효과, 기능성 전통주로 좋은 발효주로 인정되지만 한약재특유의 강한 향기를 약화시키는 연구가 금후에 보완되어야 한다고 본다. 발효온도에 따른 아미노산의 함량은 저온발효 조미주에서 cysteine, valine, mrthion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이 많았으며, 고온발효 조미주에서는 serine, glycine, leucine이 많았다. 한 alanine, tyrisine, lysine은 고온발효주에는 있으나, 저온발효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저온발효주와 고온 발효주 모두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소주보다는 아주 낮은 경향을 보였다. 저온발효와 고온발효에 의하여 만들어진 민속주를 증류하여 알콜 도수를 45%로 같이 맞추어 성분함량을 비교하였다. 발효온도에 따른 환원당의 함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저온발효 민속주는 15 mg/100 mL, 고온발효 민속주는 5 mg/100 mL로 나타났다. 즉 저온 발효에서 환원당의 양이 많았으며, 그러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소주보다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아미노산 실험에서는 소주와 45% 고온 발효주를 비교 할 때 serine, glycine, cysteine, methionine, phenylalanine 등은 100배, alanine, valine, isoleucine 80배, ammonia 20배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OD 측정의 실험결과 또한 control과 비교시 40% 발효주에서는 10배, 45% 고은 발효주에서는 100배 낮은 측정치가 나타났으므로 한약재의 색소성분을 휘발시키는 기술이 요구된다고 본다. 항균성실험에서 항균성 측정은 06 cm paper disk agar diffusion법을 이용하였으며, 43%의 발효주와, 45% 고온 발효주가 항균력이 가장 강력한 0.95 cm의 영향을 나타냈다. 사용한 사용한 Gram 양성, Gram 음성 균주는 Escherichia coli KCCM 11591를 제외하고는 0.8 - 0.95 cm로 항균력이 강했으며, Gram negitive의 Pseudomonas aeruginosa KCTC 1750 에서는 43% 발효주에는 0.95 cm, 45% 고은 발효주에는 0.95 cm의 항균성을 나타냈으며 관능평가에서도 가장 높게 났다. 관능평가에서는 45% 고온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항산화성 실험에 나타난 저온 45%의 갈색도의 측정과는 항산화성에서는 좀 다른 결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항균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43-45%와 관능평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45% 고온 발효주를 볼 때 본 연구에서는 고온 발효주 45%가 가장 우수한 전통주로 조사되었다. 발효주를 소주의 아미노산과 비교할 때 아미노산 함량이 전반적으로 100배 정도 낮은 함량치로 나타났으므로, 한약재 첨가로 인하여 면역증강, 살세포반응 억제효과, 기능성전통주로 좋은 발효주로 인정되지만 한약재특유의 강한 향기를 약화시켜서 부드럽고 은은한 전통발효주의 연구가 금후에 보완되어야 한다고 본다.

Effect of Fermented Ice Plant Extract on the Inhibition of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Synthesis and Tyrosinase Activity (발효 아이스플랜트(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L.) 추출물의 triglyceride, cholesterol 합성저해 및 tyrosinase 활성억제 효과)

  • Nam, Sanghae;Kim, Seonjeong;Ko, Keunhe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9 no.6
    • /
    • pp.688-696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synthesis and tyrosinase activity induced by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L.) extract, which cannot be stored for long periods of time due to its high moisture content when it was fermented to improve its storage stability. The accumulation of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in HepG2 cells inhibited the accumulation with a relatively large magnitude in n-butanol and aqueous fractions that generally have high polarity, however, changes in inhibition potency due to the fermentation were not significant. As for the effect to inhibit tyrosinase activity, when L-tyrosine was used as a substrate, the inhibitory activity was the highest for the aqueous fraction at $60.58{\pm}4.03%$ and $63.35{\pm}4.35%$,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respectively, which amounted to 72% of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group (arbutin, $100{\mu}g/ml$). In addition, when L-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was used as a substrate, the inhibitory activity was also found the highest for the aqueous fraction at $56.85{\pm}1.57%$ and $59.38{\pm}1.74%$,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respectively, which amounted to at least 88% of that in the positive control (kojic acid, $100{\mu}g/ml$). Overall, the activity of the fermented ice plant extract was similar or a little higher compared to that of the one without fermentation, indicating that fermentation can be a good approach to improve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ice plant.

Antioxidant and Anticarcinogenic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oybean Products Fermented by Some Mycelia of Mushroom and $\textit{Bacillus megaterium}$ SMY-212 (버섯균사체 및 청국균 발효대두의 항산화능과 암세포 증식억제능)

  • Choi Jehun;Yang Hee-Sun;Shon Mi-Yae;Kim Jin-Soon;Park Seok-Kyu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9 no.3
    • /
    • pp.34-39
    • /
    • 2004
  • 콩의 배당체 isoflavone류를 생리 활성형 aglycone으로 전환율을 증진시켜 콩 발효식품의 기능성을 증진시키고자, 식용버섯 균사체와 청국장 발효균 B. megateriw SMY-212를 이용하여 단독과 2단계 배양한 발효대두의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능과 인체 전립선암과 자궁암 세포주의 성장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2단 발효대두 추출물의 수소공여능 효과는 1,000 $\mu$g/mL 농도에서 17.8∼26.9%로서 단독 발효대두보다 30∼40% 높았으며, 그 중에 동충하초와 SMY-212를 배양한 것이 가장 높았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단독 발효대두는 동충하초가 가장 높았으며, 2단계 배양한 발효대두는 팽이균사체와 SMY-212가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인체 전립선암 세포주(DU145)와 자궁암 세포주(Hela)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는 단독배양에 서 모두 팽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대두가 가장 높았으며, 2단계 배양에서 DU145에서는 팽이버섯과 아가리쿠스 균사체 배양물에 SMY-212를 이용한 발효대두가 높았고, HeLa에서는 팽이버섯, 동충하초, 새 송이버섯 균사체의 추출물 순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삶은 콩에 버섯 균사체의 단독배양보다는 버섯균사체와 SMY-212를 2단 배양한 발효대두 추출물이 암세포주 성장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 PDF

Effect of Starter of Flour Ferment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on Physical Properties of Noodle Dough (Lactobacillus acidophilus로 발효시킨 밀가루 발효물의 첨가가 면 반죽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 Cha, Wook-Jin;Lee, Si-Ky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7 no.5
    • /
    • pp.801-805
    • /
    • 2005
  • Practical use of wheat flour ferment with L. acidophilus during noodlemanufacturing was investigated. Water absorption decreased and overall mechanical tolerance index increased with ferment addition up to 20%. Amylograph of flour with ferment showed initial gelatinization temperatures of control, and 5% ferment-and ferment-added groups were equal. Maximum viscosity decreased by ferment addition. L, b and a values of dough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added ferment. Color of doughs with ferment was generally ligher. Total color difference of doughs added with ferment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