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립화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9초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에서의 외과적 상처 치유 (Wound Healing of Surgical Incisions in Rhynchocypris oxycephalus)

  • 박인석;임재현;김정혜;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7-172
    • /
    • 1998
  •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의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를 연결하는 중간 부위 체측상처를 수술하여, 과립형성 조직 수축 특성과 치유율 및 2차 치유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수술 푸 생존율은 수술 직후 및 수술 후 7일에 대조군의 100%에 비해 각각 95%와 99% 이었다. 수술 후 14일과 42일 사이에 사망은 없었다. 수술후 7~21에 과립형성 조직은 상피화되었으며 수술 후 29일에 과립형성 조직은 상처 주변부로 정상 위치수축을 하였다. 수술 후 35일~42일에 과립형성 조직에는 collagen 섬유가 존재하였고 표피는 잘 분화된 , alarm 물질세포를 내포하고 있었으며 상처 부위의 표피는 모든 어류에서 조직학적으로 정사이어서, 상처 치유는 수술 35일 이내에 완전히 이루어졌다.

  • PDF

완두 자엽세포의 소포체 내강에 축적된 저장 단백질에 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Immunocytochemical Investigation on the Intracisternal Accumulations of Storage Protein in Pea Cotyledon Cells)

  • 정병갑;박홍덕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2호
    • /
    • pp.199-206
    • /
    • 2001
  • 완두 자엽세포에 대한 저장단백질 과립의 발달은 단백질 저장 액포의 가장자리에 축적된 단백질의 fragmentation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이 외에도 terminal dilation, transformation, denovo development등의 독립적인 과정이 각각 다른 시기에 관찰되므로서 단백과립의 발달은 이러한 여러 과정이 모두 나타나는 복합과정임이 알려졌다. 이러한 과정과는 별도로 종자발달의 이른시기에 소포체 내강에 축적되는 저장단백질과 여기서 발달하는 단백과립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발달중인 종자의 자엽으로부터 단일 세포를 얻어서 면역세포 화학적 반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종자발달의 이른 시기에는 legumin이, 중간시기 이후 에는 vicilin이 축적되므로서 단백질이 축적된 소포체가 단백과립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포체 내강에 존재하는 단백질인 $\alpha-Tip$은 비교적 늦은시기에, toneplast membrane protein인 PPase는 이른시기에 각각 면역 세포화학적 반응이 관찰되었다.

  • PDF

제형과 가연성 담체에 따른 농약 훈연제의 연소 특성 (Burning Characteristics of Smoke Generator of Pesticides Depending on Combustible Carrier and Formulation Type)

  • 임희경;김용환;조광연;유주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3호
    • /
    • pp.325-331
    • /
    • 2004
  • 왕겨 분말을 가연성 담체로 첨가하여 분상, 과립상 및 봉상의 fenarimol 훈연제를 제제하고 제형이 훈연제의 연소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연성 담체로 목분을 사용한 목분 훈연제의 연소성을 조사하고 왕겨 훈연제와 비교하였다. 왕겨 분말을 가연성 담체로 한 fenarimol 훈연제(3%)는 분말, 과립 및 막대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었으며, 염소산나트륨 첨가비가 11% 이상일 때 모두 연속적으로 연소하였다. 형상과 무관하게 모두 염소산나트륨 첨가비가 13%인 훈연제의 훈연율이 가장 높았으며, 분상 훈연제(64.5%) < 과립훈연제(78.4%) < 봉상 훈연제(90.9%) 순으로 훈연율이 증가하였다. 봉상 훈연제는 과립훈연제보다 점화가 특히 용이하고 강도와 훈연율이 우수하였다. 목분을 가연성 담체로 사용한 훈연제는 방염 성분을 함유하여 연소 시간이 매우 길어지는 특성이 있어서 훈연제보다 서서히 연소하는 훈증제용 담체로 더 적합하였다.

활성탄이 납 중독된 흰쥐의 간장에 미치는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y on the Activated Carbon in the Rat Liver with Toxicated by Lead)

  • 정민주;노영복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2호
    • /
    • pp.149-156
    • /
    • 2002
  • 본 연구는 흰쥐의 간장에서 납 독성에 대한 활성탄 효과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동물은 $7{\sim}8$주된 150 g 내외의 Sparague-Dewley계 웅성 Rat를 사용하였다. lead acetate (500 ppm)를 1주 2회 복강 투여하였고 활성탄(40 mg/kg)을 1일/1회씩 경구투여하여 4주, 8주째에 간장을 적출해서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납 단독투여 4주군은 과립형질내세망의 수조가 팽대되고, 리보솜의 탈락이 관찰되었다. 핵은 약간 함입되어 불규칙하였으며 핵막은 팽대되어 내외막과 핵공이 불분명하게 나타났다. 납-활성탄 투여 4주군은 과립형질내세망은 리보솜이 부착된 정상적인형태로 관찰되었다. 다수의 리소좀이 관찰되었다. 핵은 둥근 형태로 관찰되었다. 납 단독투여 8주군은 과립형질내세망의 수조가 더욱 심하게 팽대되어 공포화를 나타냈다. 사립체는 더욱 팽창되서 사립체능이 절단, 손실되어 낮은 전자밀도를 나타냈다. 핵은 약간 함입되어 불규칙하고 핵막이 팽대되었다. 납-활성탄 투여 8주군은 일부 과립형질내세망의 수조가 팽대되었으나 리보솜이 부착된 정상적인 형태로 핵 주위에 전형적인 층판구조를 형성하였다. 사립체는 약간 팽창되었고, 핵은 정상으로 보였다.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에 의한 배란 조절에 관한 연구 (Control Mechanisms of Ovulation by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 이여일;김형춘;김미영;전상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2호
    • /
    • pp.101-111
    • /
    • 2005
  • 배 경: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PACAP)은 양의 시상하부에서 추출된 신경펩타이드 호르몬으로 난소에도 존재하여 배양된 과립막 세포에서 스테로이드합성과 cyclic AMP 형성을 촉진함이 보고되었다. 목 적: 흰쥐 난소를 실험 모델로 사용하여 배란시 황체화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LH)에 의해 유도된 PACAP과 PACAP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양상과 신호 전달경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미성숙 흰쥐의 배란전 난포를 체외 배양하면서 LH로 처리하고 PACAP 및 PACAP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을 보기 위해서는 Northern blot 분석과 in situ hybridization (ISH)을, 그리고 단백질 수준의 PACAP 검색을 위해서는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분석을 이용하였다. 결 과: LH 처리 후 Northern blot상의 PACAP 유전자 발현은 6~9시간에 일시적으로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ISH로 보아 과립막 세포에서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ELISA 분석 상 PACAP 단백질도 LH처리 후 6~12시간에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PACAP 수용체 mRNA 역시 3~9시간에 최고치로 과립막 세포에서 발현되었다. Adenylate cyclase (AC) 억제제인 MDL12330A 처리시 LH로 발현된 PACAP mRNA가 감소되며, AC의 활성제인 forskolin 처리에는 LH시와 유사한 PACAP mRNA의 발현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protein kinase C (PKC)의 억제제인 chelerythrine과 2-0-tetradecanolphorbol-13-acetate (TPA) 처리로는 PACAP 의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5-lipoxygenase의 억제제인 MK886이나 nordihydroguaiaretic acid (NDGA)로 처리한 결과 LH로 유도된 PACAP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었으나, cyclooxygenase의 억제제인 indomethacin은 별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MEK와 p38의 억제제인 PD98059와 SB203580도 LH로 촉진 된 PACAP의 유전자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결 론 : 배란전 난포에서 PACAP과 PACAP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은 모두 LH의 폭발적 분비에 의해 유도되어 일시적으로 과립막 세포에서 나타나 배란을 위한 국소적인 조절 작용을 할 것으로 추정되며, LH로 촉진된 PACAP 유전자 발현을 위한 신호전달은 cAMP-PKA, lipoxygenase 및 MAP kinase 경로를 통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6 MeV LINAC 방사선 조사에 의한 생쥐 난소조직의 미세구조 변화 (Fine Structural Modification of Mouse Ovarian Tissue by Irradiation of 6 MeV LINAC Radiation)

  • 윤철호;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2호
    • /
    • pp.117-130
    • /
    • 2003
  • 본 연구는 6 MeV LINAC에서 발생한 X-선을 생쥐 생체에 조사한 후,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난소 조직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X-선을 200 cGy의 선량을 조사한 후 적출한 난소조직에서 성장난포의 과립층세포는 핵이 응축되어 나타났고, 난자를 둘러싸고 있는 투명층은 정상 대조군에서보다 경계가 불규칙하게 관찰되었다. 400 cGy로 조사된 난소조직에서 과립층세포는 대부분 응축된 핵을 가지고 있었으며, 피폭된 과립층세포의 사멸에 의한 세포질의 단백질 변성이 확인되었다. 600 cGy의 선량을 조사한 난소의 조직표본에서 성장난포는 위축되어 있었으며, 난포동에는 백혈구가 침윤되어 있었고, 난포액은 정상난포와 달리 불균질한 물질로 채워져 있었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200 cGy의 방사선을 조사한 성장난포에서 과립층세포는 정상난포와는 달리 불규칙한 모양을 하고 있었다. 과립세포 사이의 난포동에는 많은 세포성분의 부스러기가 산재하여 있었으며, 이들 주변에 호중구와 대식세포가 관찰되어, 이 시기에 이미 방사선 피폭에 의한 세포사의 기작이 진행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X-선을 600 cGy로 조사한 난소조직의 과립층세포는 세포의 형태나 핵의 변형이 현저하여, 일부 세포는 핵의 분절화가 진행되는 등, apoptosis의 전형적인 특징이 관찰되었다. 특히 성장난포의 난포동에서는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호중구가 잘 관찰되었으며, 주변에 산재된 세포 파쇄물 및 apoptotic body와 함께 대식세포의 출현도 확인되었다.

태아 허파의 초기 발달 중 과립허파꽈리세포의 분화와 미세구조의 특징 (The Differentiation and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ype II Pneumocyte in Early Human Fetal Lungs)

  • 유동화;김대중;김성수;김경용;이원복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3호
    • /
    • pp.291-301
    • /
    • 1999
  • 초기발생중인 태령 9주부터 20주의 사람 태아의 허파 7예에서 과립허파꽈리세포의 분화과정과 미세구조의 특징을 밝히고자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생 9주와 12주에서 기관지 나무의 상피의 형태로는 과립허파꽈리세포의 분화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발생이 진행되면서 15주 후부터 허파꽈리를 형성할 부위의 상피는 점차 거짓중층상피에서 단순입방상피로 분화하였다. 2. 발생 9주에서 처음으로 뭇층판소체가 관찰되어 과립허파꽈리세포의 분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발생 $9\sim15$주 동안에 이 세포에 특징적인 세포질포함체, 과립상포함체, 뭇소포포함체 그리고 진한포함체 등의 세포내 포함물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발생 19, 20주에서 뭇층판소체는 수와 크기가 급격하게 증가하였지만 다른 세포내 포함물은 감소되어 있었다. 요약하면 사람 태아의 허파에서 발생 초기단계에 뭇층판소체를 가진 허파꽈리세포(또는 전구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이외에도 특징적인 다양한 세포내 포함물을 가진 세포들이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과립허파꽈리세포는 발생 9주 또는 그 이전부터 분화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재수화능이 향상된 인스턴트 쌀 미음의 제조 (Development of Well-reconstituted Instantized Thin Rice Gruel)

  • 양승철;이인애;선주호;김동은;강위수;정하숙;신말식;고상훈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1호
    • /
    • pp.54-5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영양과 건강, 그리고 편의성까지 고려한 즉석식품 형태의 쌀미음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쌀미음 분말의 영양성분 구성비를 일반성분 분석을 통하여 분석 하였고, 과립공정에 따른 재수화능의 향상을 연구하였다. 과립분말은 혼합분말보다 지방함량과 단백질 함량이 각각 0.9, 1.9% 높게 나타난 반면, 탄수화물 함량은 상대적으로 3.2% 낮게 나타났다. 과립분말의 단백질 조성은 71.1-118.5 g으로 1일 권장 단백질 섭취량 45-55 g보다 많았는데, 이는 일반적인 환자식이 지니는 공통적인 특성이다. 분말 입자의 침강 속도를 보여주는 분산성의 경우 과립분말(93.7%)은 혼합분말(77.0%) 보다 높게 나타났고, 재수화에 걸리는 시간도 과립분말(122.3 초)이 혼합분말(305.3 초)보다 빨랐으며 이들 결과는 과립공정이 분말의 재수화능을 향상시켜 주었음을 보여준다. 호화쌀가루를 이용한 쌀미음은 기존의 우유 단백질 위주의 환자식을 곡류로 대체하며 영양강화 쌀 가공제품의 개발에 의미가 있다.

Barium Hexaferrite 폐자석의 재활용 (Recycling of Waste Barium Hexaferrite Magnets)

  • 박인용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9권2호
    • /
    • pp.18-25
    • /
    • 2000
  • 등방성 영구자석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고 있는 barium hexaferrite 폐 자석으로 소결체를 제조하여 물리적, 자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소결체는 XRD, XRF, SEM 및 자기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폐 영구자석을 분쇄하고 조립화하여 폐 영구자석 분말 과립과 시판용 과립을 일정비율로 혼합. 성형하고 소결하였다. 폐 영구자석 분쇄분말의 함량에 따라 자기적 특성은 점차 감소하지만 소결 온도 $1150~1200^{\circ}C$ 에서 영구자석으로서 요구되는 자기적 특성값을 나타내었다.

  • PDF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이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의 스테로이드 생성과 세포자연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on Steroidogenesis and Apoptosis of Human Granulosa-Lutein Cells)

  • 이효진;양현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353-362
    • /
    • 2009
  • GnRH는 국부적으로 난소에서 합성되며, 난소내 과립 및 황체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난소의 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GnRH는 난소내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GnRH에 의한 세포자연사가 FSH에 의해 회복될 수 있는지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난자 채취시 획득한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를 배양한 후 5, 50, 100 ng/$m\ell$ GnRH와 1 IU/$m\ell$ FSH를 처리하고 세포의 세포자연사 여부와 분비된 progesterone$(P_4)$과 estradiol$(E_2)$ 양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DNA 분절화 분석과 TUNEL 방법으로 세포자연사를 평가한 결과, GnRH는 농도 의존적으로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증가시켰고, 특히 100 ng/$m\ell$ GnRH을 처리한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세포자연사 비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GnRH에 의한 세포자연사의 증가는 FSH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학발광면역 측정법을 이용하여 배양내 $P_4$$E_2$의 양을 측정한 결과, GnRH을 처리한 후 $E_2$의 양은 변화가 없었던 반면 $P_4$의 양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GnRH의 $P_4$ 합성 억제 효과는 세포자연사 결과 마찬가지로 FSH에 의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시술시 사용되고 있는 GnRH 작용제가 난소의 기능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다량으로 투여되는 FSH에 의해 회복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난소에 대한 GnRH의 생리적 기전을 이해하고 향후 새로운 과배란 유도 방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