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학 태도

검색결과 1,602건 처리시간 0.046초

공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Instrument for Assessment the Attitude toward Engineering)

  • 최유현;박기문;류승민;이정균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1-178
    • /
    • 2009
  • 이 연구는 공과대학생들의 공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기초로 공학에 대한 태도의 조작적 정의와 범주를 마련하였고 공학에 대한 태도 측정 문항을 개발한 후, 공과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연구에서는 태도의 본질적 측면에 근거하여 인지적 변인으로는 '공학의 가치에 대한 태도'와 정의적 변인으로 '공학에 대한 일반적 태도와 공학 학습에 대한 태도', 행동적 변인으로 '공학 활동에의 참여'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른 하위영역은 첫째, 공학의 가치에 대한 태도에는 학문/직업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개인적 가치로 분류되었다. 둘째, 공학에 대한 일반적 태도와 공학학습에 대한 태도에는 일반적 태도, 공학학습에 대한 태도(자아효능감, 두려움, 흥미, 협동)로 분류되었다. 셋째, 공학 활동에의 참여는 공학 학습에 대한 태도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검사 도구를 현장에 적용한 결과, 공학학습에 대한 태도 중에서 자기 개념과 자아효능감을 자아효능감으로 통합하고 1개 문항의 독단적 요인 수는 제거하였으며, 요인분석(Verimax)을 통해 최종적으로 3개 변인과 9개 하위영역, 39개 문항으로 구성된 대한 일반를 '공학에 대한 학에 대한 일반'(Instrument of Assessment the Attitude toward Engineering, IAAE)로 명명하였다. 이 측정 도구는 공과대학생의 공학에 접근하는 태도를 알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면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건축물에서의 친환경개념에 대한 건축공학전공 대학생의 태도 (The Attitude of Construction Students toward Sustainability in the Built Environment)

  • 안용한;권혁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3호
    • /
    • pp.70-77
    • /
    • 2008
  • 이 연구는 친환경 개념에 대한 건축공학 대학생의 친숙함과 흥미의 정도, 태도, 그리고 친환경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요인들을 조사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 연구는 저자들에 의해 개발된 설문 조사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미국 버지니아주 버지니아 공대의 건축공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 기술/상관 연구이다. SPSS를 이용한 기술통계와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건축공학 전공 학생들은 대체로 친환경 건축에 대한 높은 친밀감과 흥미를 가지고 있다. 둘째, 친환경 개념에 대한 건축공학 전공 학생들의 태도는 친환경 건축 수업, 친환경 관련 수업과 연구를 담당하는 교수진, 친환경적인 학생들의 학습환경 또는 시설들, 그리고 친환경 건설 관련 학교 행사와 실천과 같은 요인들에 기반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개념에 대한 건축공학 학생들의 태도는 특히, 건축공학 프로그램에서 친환경 건축관련 수업을 제공함으로 향상될 수 있다.

영재 학생들의 공학 설계 기반 통합적 STEM 연구 활동이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 및 공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ngineering Design Based STEM Research Experience on Gifted Students' Creative Engineering Problem Solving Propensity and Attitudes Toward Engineering)

  • 강주원;남윤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719-730
    • /
    • 2017
  • 본 연구는 공학 설계에 기반을 둔 연구 프로그램, 팀 프로젝트 활동 등의 통합적 STEM 연구 활동이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과 공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것이다. 이를 위해 Kang & Nam (2016)이 개발한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 검사 도구와 Moon (2009)이 사용한 공학에 대한 태도 검사 도구를 본 연구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통합적 STEM 활동의 사전과 사후에 측정 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 학생들의 공학 설계에 기반한 통합적 STEM 연구 활동은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 변화과 공학에 대한 태도 변화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냈다.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 검사지는 동기, 공학 설계, 공학적 사고 습관, 공학과 공학자, 소통 및 협업 능력 5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p<.05).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은 대부분의 요인에서 진로 희망 직업 계열과 성별 차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공학 설계' 요인에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는 공학에 대한 흥미, 공학의 난이도, 공학의 영향, 공학과 관련된 학교 교육과정, 공학과 직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지만(p<.05), 진로 희망 직업 계열과 성별 차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공과대학 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와 공학교육인증, 성별, 학년과의 관련성 -잠재집단분석의 적용- (The Relationship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Gender, and Academic Year with Attitude towards Convergence among Engineering Students: Application of Latent Class Analysis)

  • 이준기;신세인;아리프 라흐마툴라흐;하민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3-123
    • /
    • 2017
  • 이 연구는 국내 공학전공대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이수, 성별, 학년 변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가 공학전공대학생들에게 신뢰롭고 타당하게 적용되는지 확인하였다. 둘째,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이수, 성별, 학년에 따른 융합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셋째, 학습자중심 접근을 바탕으로 공과대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에 따라 분류되는 잠재집단을 탐색하였으며, 규명된 각 잠재집단과 변수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76명의 공과대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은 요인분석, 내적 일관성 신뢰도, 라쉬분석을 활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분석결과 공과대학학생들에게 적용한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가 신뢰성과 타당함을 확인되었다. 또한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이수, 성별, 학년에 따른 융합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융합에 대한 태도는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성별,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남학생이며 학년이 높을수록 융합에 대한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융합에 대한 태도에 따라 구별되는 잠재집단을 탐색하기 위해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다섯 가지의 잠재집단이 규명되었다. 또한 규명된 잠재집단과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선택여부와 성별, 학년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수행한 결과 세 변수는 모두 잠재집단 분포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특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공과대학 융합 교육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공학계열 예비 교사의 공학 태도와 공학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Engineering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of Engineering Department)

  • 박기문;이규녀;김소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7-103
    • /
    • 2013
  • 이 연구는 공학계열 예비 교사들이 가지는 공학 태도와 교사효능감을 파악하고 그 차이의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공학 태도와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공학계열 예비 교사교육의 질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학계열 예비 교사들의 공학 태도는 보통(3.00)이하, 교사효능감은 보통 이상(3.00)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과 학년은 공학 태도 및 교사효능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요인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공학 태도와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는 특정한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에 공학계열 예비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에서는 공학적 특성인 실천 및 행동적 특성과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현장 중심의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예비 교사들이 그 교육과정을 성실하게 이수할 수 있도록 교육적 지원을 한다면 공학 태도와 교사효능감은 졸업 시까지 점차적으로 향상 될 것이다. 또한 성별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여성 또는 남성 예비 교사들만을 위한 별도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to the Career Decision Level.)

  • 강승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291-30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공학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진로 관련 변인, 즉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그리고 진로태도성숙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대학교 공학계열 남녀학생 총 43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결정수준 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효능감,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결정수준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다. 둘째,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 중에서 진로결정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진로태도 성숙으로 나타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학전공 대학생의 진로태도 성숙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진로결정 효능감 역시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진로태도성숙과 함께 진로결정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대학생 대상의 진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고등학생을 위한 공학 설계 기반 과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Engineering Design Process for High School Students)

  • 한화정;심규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21-331
    • /
    • 2023
  •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공학 설계 기반 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고등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와 공학 설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공학 설계 기반 과학 교육 프로그램은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건강 신발 만들기'이며 공학 설계 과정인 문제 정의, 정보 수집, 창안, 구현, 평가 및 반성 등의 과정을 거쳐 학생이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학 설계 과정을 방법론적으로 사용하여 창의적인 해결방안을 창안할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공학 설계 기반 과학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고등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와 공학 설계 능력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공학 설계 기반 과학 교육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와 공학 설계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앞으로의 미래 과학 인재 양성을 위한 교수 학습 전략으로서 과학 교육에서 공학 설계 과정을 접목한 활동의 지속적인 운영과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산사태 지진해일의 수리특성 분석에 관한 고찰 (On hydraulic characteristic analysis of landslide tsunami)

  • 서민장;이창민;이우동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03-203
    • /
    • 2022
  • 일반적으로 지진해일은 지진, 화산에 의한 융기 또는 침강에 따른 급작스러운 해저지각 운동에 의해 발생하며, 이에 따른 수위변동과 유체운동을 일컫는다. 그 밖에 해안/해저 산사태, 운석 낙하, 빙하 붕괴와 같이 암석, 토사, 얼음, 운석이 바다, 호수의 수면과 충돌하여 해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 산사태 해일의 피해사례는 많지 않지만, 대부분 인명피해를 동반한다. 이에 과거부터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산사태로 생성된 해일의 전파과정을 조사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최근에는 컴퓨터 성능향상과 다양한 수치모델이 개발됨에 따라 수치해석이 많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산사태 해일의 생성을 직접 모의하기 위해서는 유체-구조 상호작용(FSI; fluid-structure interaction)을 고려할 수 있는 전산유체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해석이 요구되는 관계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SI에 기초하여 충돌모의에 특화된 LS-DYNA를 이용하여 산사태 해일의 생성, 전파 그리고 직립벽(댐)에서의 처오름 및 파압 등을 검토한다. 그리고 낙하물의 형상, 낙하 높이에 따라 생성된 해일이 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이용하는 LS-DYNA 해석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 수리모형실험에서 생성된 산사태 지진해일과 비교·검증한다. 수치해석 결과, 동일한 체적의 낙하물에서는 폭이 좁을수록 최대파고가 낙하물에 근접해 생성되었고, 폭이 넓을수록 파장이 길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낙하물의 낙하높이가 높을수록 산사태 지진해일의 파고가 크게 생성되었다. 낙하물로부터 600m 지점에서 설치한 댐에서의 산사태 지진해일의 처오름은 파고 및 파장이 클수록 증가하였다. 산사태 지진해일의 파압 역시 처오름에 상응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호소에서 산사태 해일이 발생한다면, 댐 및 제방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공학설계기반 오션클린업(Ocean Clean-up) 수업이 STEAM태도와 창의공학적 문제해결성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ngineering Design Based Ocean Clean Up Lesson on STEAM Attitude and Creative Engineering Problem Solving Propensity)

  • 이동영;이효진;남윤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9-8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설계 기반 오션 클린업 수업이 STEAM 태도와 창의공학적 문제해결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공학설계 기반 수업에서 접하는 흥미로운 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학설계를 전공한 교수 1명과 석사 이상의 공학설계 전문가 5명이 함께 공학설계를 기반으로 한 6차시의 과학수업을 개발하여 검토하였다. 수업의 주제는 실제 오션 클린업 프로젝트에서 구현된 방법을 기반으로 해양 오염을 줄이기 위한 과학 및 공학적 해결과정의 설계 및 구현으로 선정되었다. 공학설계 과정은 NGSS(2013)에서 제시한 공학 설계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최적화 과정을 통해 재설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ark et al.(2019)이 개발한 STEAM 태도 설문지 및 Kang and Nam(2016)이 개발한 창의공학적 문제해결성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효과성 검정을 위한 통계분석을 위해 사전 및 사후 t-검정을 사용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경험한 흥미로운 점의 내용은 기술적인 응답을 받아 전사하고, 중심도 분석을 통해 분석 및 시각화하였다. 결과는 과학 수업에서 공학설계 기반 오션 클린업 수업이 STEAM 태도와 창의공학적 문제해결성향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 .05). 또한, 비정형 데이터 분석 결과, 학습자가 학습에 관심을 갖는 요인으로 이공계 지식, 공학적 경험, 협동과 협업이 나타나 공학적 경험이 중심 요인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