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통 영역

Search Result 60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uggestion of Community Design for the Efficiency of CPTED - Focused on Community Furniture -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제안 - 커뮤니티퍼니쳐를 중심으로 -)

  • Lee, Ho Sang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29
    • /
    • pp.305-318
    • /
    • 2017
  • The need for recognizing the crime in the urban spaces as a social problem and finding out specific approaches such as the study of space design and various guidelines for crime prevention is increasing. In this regar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marked as "CPTED") is actively underway. Yeomri-dong Salt Way is the first place to which the Seoul Crime Prevention Design Project was appled. The business objective of improving the local environment has been implemented rationally through cooperation and voluntary participation between subject of the project executives and community members. Since its efficiency has been proven, the sites have been expanded since then and becomes a benchmarking example of each local government.This kind of problem solving effort has the same context in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Village Art Project' which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09 with the aim of promoting the culture of the underdeveloped area and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by introducing the public art. It is noteworthy that this trend is centered aroun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functions and val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application method of community furniture as a wa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P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To do this, we reviewed CPTED, community design, public art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and identified the problem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site visit Yeomri-dong of Seoul and Gamcheon Village of Pusan which is the successful model of "Seoul Root out Crime by Design" and 'Maeulmisul Art Project' respectively. The common elements of the two case places identif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ves' of community residents found its place in the center through the activation of community by collaborative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 physical composition of the environment. Second, community design and introduction of public art created a new space, and thereby many people came to visit the village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Third, it strengthened the natural monitoring, the territoriality and control, and the activity increase among the CPTED factors. The psychological aspect of CPTED and the emotional function of public art are fused with the 'community furniture', thereby avoiding a vague or tremendous approach to the public space through a specific local context based on the way of thinking and emotion of local people and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n environment beneficial for all. In this way, the possibility and implication of the fusion of CPTED and public art are expected to be able to reduce the social cost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crime prevention infrastructure such as expansion of the CPTED application space, and to suggest a plan to implement the visual amenity as a design strategy to regenerate city.

Science Teachers' Awareness of the Criteria for Minimum Achievement Standards in Science to Support Basic Skills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과학과 최소한의 성취기준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 Eun-Jeong Yu;Taegyoung L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3 no.3
    • /
    • pp.265-27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lan to ensure that students lacking basic science skills acquire the minimum needed science learning ability while completing the common curriculum. We surveyed 27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teachers with experience in research and teaching related to basic skills support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s of the criteria for minimum achievement standards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cience teachers tended to describe low achievers as lacking science learning competency, accumulating a science learning deficit, and lacking prerequisite knowledge.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paid attention to in students with insufficient science and basic academic skills. Specifically, the secondary teachers demonstrated greater sensitivity towards low learning motivation and difficulties in using scientific symbols, whereas the elementary teachers were more sensitive towards students' attitudes towards science or lack of experience. Furthermore,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prioritization of items, categorized by school level, differs in terms of setting minimum achievement standards to ensure basic skill support. This implies the need to develop minimum achievement standards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based on the school level. As there are diverse opinions among science teachers, depending on their expertise, regarding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these standards to guarantee science and basic skill suppor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olicy support is required to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ism in developing students' basic skills while considering the individual context and diversity of low achievers. Additionally, it is crucial to establish a shared vision for students lacking basic skills to reduce the gap between national policy and the practices of science teachers in ensuring support for basic skills.

A Study on the Structural Model and Relation of will to Happy Life (행복한 삶을 위한 의지의 구조모델과 관계성 연구)

  • Jeong, Cheol-Yeong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3
    • /
    • pp.213-220
    • /
    • 2019
  • Desire for a happy life becomes the will that man instinctively desires. In that the conditions of happiness are subjective and varied, the will of subjective desires has been studied with the attention of objective tendencies. The positive and meaningful will of life in the desire for happiness leads us to be the functionaries who act. These wills can be the driving force of a happy life, which allows one to have a hopeful reflective will in one's inner life, connecting oneself with others, and working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addition, those who become lazy or lose their orientation in life can instill a will to be the main character of life, and furthermore, to give the ultimate meaning and goals of lif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se wills for happy lives more specifically, structural model compatibility and confirmatory factors were conducted. relatively reliable α=.855 value,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and will **p<.01, *p<.05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suring tool of not less than 05 was used. The study results of the structural model suitability of the factors of will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model set by the researcher c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collected, and that the χ2(Chi-square) value was .126,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model by satisfying the acceptance criteria, and that the comparison of the reference values of the study model show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suitabilit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nd defined and behavioral factors of subjective will and existent will variables, the results of a verification factor analysis show that the χ2(Chi-square) value is 2.36 and the model and data are consistent with the acceptance criteria, and that the test data is consistent with the model and data set by the researcher are consistent with the model5.0 Through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human will, it was confirmed that the variables of subjective and existential, sensible and reflective will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 and form a complex relationship. Our will is recognized as the subjective will, and the structure of the subjective will consists of the sensible and reflective wil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and just action elements and the subjective will of the human life and the will to exist is shown to be very meaningful, so we should conduct the education of the happy will of the emotional and just areas of life as well as the reestablishment of the cognitive educational direction that can lead to action.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A study on the case of education to train an archivist - Focus on archival training courses and the tradition of archival science in Italiy - (기록관리전문가의 양성교육에 관한 사례연구 -이탈리아의 기록관리학 전통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Kim, Jung-H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 no.1
    • /
    • pp.201-230
    • /
    • 2001
  • Conserving the recored cultural inheritance is actually the duty of all of us. Above all, th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archives and documents is up to archivists who have technical knowledge about archival science. Archivists have to not only conserve archives and documents but also carry out classifying and appraising them in order to define them as current historic ones. The fundamental education about archival science is made up of history and law. Because Archive is the organisation which manage archives and documents produced by legal and administrative actions. Although there are still arguments about technical knowledge and degree archivists have to acquire, most of them prefer the studies related with history and emphasize legal studies to be the general boundary of archivits' ideology and trust. The training course about conservation of archives is conducted in about 9 National Archives of Torino, Milano, Venezia, Genova, Bologna, Parma, Roma, Napoli, Palermo. The training course in 19th was mostly based on the lectures of Phaleography, Diplomatics. There were not the education about archival science yet. Toward the end of 19th and 20th, people stressed the most basic subject in the training course of National Archive was not Phaleography and Diplomatics but archival science. The goal of archival science is to study the institution and organisation transferring archives and documents to Archive. And also it help archivists not wander about with ignorance of organisational and original procedures and divisions but know exactly theirs works. Like this, the studies on institution and organisation have got in the saddle as a branch of archival science since a few ten years. While archival science didn't evoke sympathy among people and experienced the tedious and difficult path in italy and other countries, Archive was managed by experts of other branches. As a result, there were a lot of faults in Archival Science. Specializing training course for Italian archivists came into being under the backdrop of Social Science Institute of Roma National University in 1925. The archival course of universities accomplished by the studies of history, law and economy. And such as Eugenio Casanova and Giorgio Cencetti were devoted archival science was abled to settle down in national archive. The training course for experts of 'archival science, 'Phaleography and Diplomatics' in National Archive of Bologna(Archivio di Stato di Bologna) is one of courses conducted in 17 National Archives in italy. This course is gratuitous and made up of 8 subjects(Archivistica, Paleografia, Diplomatica, Storia dell' Archivio, Notariato e documenti privati, istituzione medievale, istituzione moderna, istituzione contemporanea) students have to complete for two years. Students can receive the degree through passing twice written exam and once oral test. After department of Culture and education finally puts the marks of students, the chief Nationa Archive of Bologna confer the degree of 'archival science Phaleography and Diplomatics' on students passing the exams. This degree authenticates trainees' qualification which enables him to work at the archive in province, district and administrative capital city and archive of comunity and so on. Italian training course naturally leads archivists to keep in contact with valuable cultural inheritance through training in Archive. And it shows the intention to strengthen the affinity with each documents in the spot of archival management before training archivists. Also this is appraised as one of positive policies to conserve the local cultual inheritante in connection with the original qualitity of national archive with testify the history of each region. Traning course for archivist in Italy shows us the way how we have to prepare and proceed it. First, from producing documents to conserving than forever there has introduced 'original order that is to say a general rule to respect the first order given at the time producing documents'. Management of administrative documents is related consistently with one of historical documents. Second, the traning course for archivist is managing around 17 national archives. because italian national archive lay stress not or rducation of theory bus on train for archivest working in the first time of archival science. Third, diplomatics and phaleography for studies about historical document support archives. Forth, the studies on history id proceeding by cooperation between archivist and historian around archive. How our duties is non continuinf disputer who has to conserve and manage document and archives, but traing experts who having ability, vision and flexible thought, responsibility about archivals.

Effect of 6-Hydroxydopamine (6-OHDA) on the Expression of Hypothalamus-Pituitary Axis Hormone Genes in Male Rats (수컷 흰쥐의 시상하부-뇌하수체 축 호르몬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6-Hydroxydopamine(6-OHDA)의 영향)

  • Heo, Hyun-Jin;Ahn, Ryun-Sup;Lee, Sung-Ho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13 no.4
    • /
    • pp.257-264
    • /
    • 2009
  • A neurotoxin, 6-hydroxydopamine (6-OHDA) has been widely used to create animal model for Parkinson's disease (PD) due to its specific toxicity against dopaminergic (DA) neurons. Since DA signals modulate a broad spectrum of CNS physiology, one can expect profound alterations in neuroendocrine activities of both PD patients and 6-OHDA treated animals. Limited applications of 6-OHDA injection model, however, have been made on the studies of hypothalamuspituitary neuroendocrine circuit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blockade of brain catecholamine (CA) biosynthesis with 6-OHDA can make any alteration in the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hypothalamus-pituitary hormone genes in adult male rats. Three-month-old male rats (SD strain) were received 6-OHDA ($200{\mu}g$ in $10{\mu}\ell$ of saline/animal) by intracerebroventricular (icv) injection, and sacrificed after two weeks. To determine the mRNA levels of hypothalamuspituitary hormone genes, total RNAs were extracted and applied to the semi-quantitative RT-PCRs. The mRNA levels of tyrosine hydroxylase (TH), the rate-limiting enzyme for the catecholamine biosynthesi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from the control group (control:6-OHDA=1:0.72${\pm}$0.02AU, p<0.001), confirming the efficacy of 6-OHDA injection. The mRNA level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nd corticotropin releasing hormone (CRH) in the hypothalami from 6-OHDA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from the control group (GnRH, control:6-OHDA=1:0.39${\pm}$0.03AU, p<0.001; CRH, control:6-OHDA=1:0.76${\pm}$0.07AU, p<0.01).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mRNA levels of common alpha subunit of glycoprotein homones (Cg$\alpha$), LH beta subunit (LH-$\beta$), and FSH beta subunit (FSH-$\beta$) in pituitaries from 6-OHDA group compared to control values (Cg$\alpha$, control:6-OHDA=1:0.81${\pm}$0.02AU, p<0.001; LH-$\beta$, control:6-OHDA=1:0.68${\pm}$0.04AU, p<0.001; FSH-$\beta$, control:6-OHDA=1:0.84${\pm}$0.05AU, p<0.001). Similarly, the level of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ACTH) transcripts from 6-OHDA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from the control group (control: 6-OHDA=1:0.86${\pm}$0.04AU, p<0.01).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centrally injected DA neurotoxin could downregulate the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the two hypothalamus-pituitary neuroendocrine circuits, i.e., GnRH-gonadotropins and CRH-ACTH system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ypothalamic CA input might affect on the activities of gonad and adrenal through modulation of hypothalamus-pituitary function, providing plausible explanation for frequent occurrence of sexual dysfunction and poor stress-response in PD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