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fessional Baseball Viewing Culture Survey According to Corona 19 using Social Network Big Data

소셜네트워크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 19에 따른 프로야구 관람문화조사

  • Kim, Gi-Tak (Department of Sports Industry, Chosun University)
  • 김기탁 (조선대학교 스포츠 산업학과)
  • Received : 2020.07.22
  • Accepted : 2020.08.27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e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textom and social media words about three areas: 'Corona 19 and professional baseball', 'Corona 19 and professional baseball', and 'Corona 19 and professional sports' The data was collected and refined in a web environment and then processed in batch, and the Ucinet6 program was used to visualize it. Specifically, the web environment was collected using Naver, Daum, and Google's channels, and was summarized into 30 words through expert meetings among the extracted words and used in the final study. 30 extracted words were visualized through a matrix, and a CONCO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clusters of similarity and commonality of word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clusters related to Corona 19 and Pro Baseball were composed of one central cluster and five peripheral clusters, and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opening of professional baseball according to the corona 19 wave were mainly searched. The cluster related to Corona 19 and unrelated to professional baseball consisted of one central cluster and five peripheral clusters, and it was found that the keyword of the position of professional baseball related to the professional baseball game according to Corona 19 was mainly searched. Corona 19 and the cluster related to professional sports consisted of one central cluster and five peripheral clusters, and it was found that the keywords related to the start of professional sports according to the aftermath of Corona 19 were mainly searched.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텍스톰(textom)과 소셜미디어의 단어를 중심으로 3가지 영역인 '코로나 19와 프로야구', '코로나 19와 프로야구 무관중', '코로나 19와 프로스포츠'에 대해 웹 환경에서 데이터 수집과 정제작업을 실시한 후 일괄 처리하였으며, 이를 시각화하기 위해 Ucinet6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웹 환경의 수집은 네이버, 다음, 구글의 채널을 활용하였고, 추출된 단어들 중 전문가회의를 통해 30개의 단어로 요약 정리하여 최종 연구에 활용하였다. 30개의 추출된 단어를 매트릭스를 통해 시각화하였으며, 단어의 유사성과 공통성의 군집을 파악하기 위해 CONCOR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코로나 19와 프로야구에 관련된 군집은 1개의 중심클러스터와 5개의 주변클러스터로 구성되었고 코로나 19여파에 따른 프로야구 개막과 관련된 내용을 주로 검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19와 프로야구 무관중에 관련된 군집은 1개의 중심 클러스터와 5개의 주변클러스터로 구성되었으며, 코로나 19에 따른 프로야구 경기와 관련된 프로야구 입장의 키워드를 주로 검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19와 프로스포츠에 관련된 군집은 1개의 중심클러스터와 5개의 주변클러스터로 구성되었으며, 코로나 19의 여파에 따른 프로스포츠 시작과 관련된 키워드를 주로 검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프로야구는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특히 응원문화는 관중들이 원하는 정도의 만족감은 없겠지만 관중들이 누릴 수 있는 직접관람의 기회를 누리기 위해 야구장에서도 코로나 19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일상으로의 행동강령이 잘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관람문화 또한 라이브커머스, AR/VR, O4O(Online for Offline)등의 4차 산업혁명의 기술도입으로 현장감 있는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인터렉티브 소통의 디지털이 구현돼야 할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프로스포츠에도 새로운 형태의 패러다임이 구축될 것이다. 랜선 응원, SNS를 활용한 응원, 실시간 동시시청, 라이브 채팅응원, 편파중계 등 다양한 형태의 응원문화가 새로운 창작 콘텐츠 형태로 진화할 것이며, 팬들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패러다임이 구축돼야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Cowan, R., and Jonard, N.(2004). Network Structure and the Diffusion of Knowledge. Journal of Economic Dynamics and Control, 28, 1557-1575. https://doi.org/10.1016/j.jedc.2003.04.002
  2. Cross, R., and Parker, A.(2004). The Hidden Power of Social Networks : understanding how work really gets done in organization, Boston, MA :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3. Feldman R., and Dagan, I.(1995). Knowledge Discovery in Textual Databases (KD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1, 112-117.
  4. Hotho Andreas., and Nurnberger Andreas., and Paass Gerhard.(2005). A Brief Survey of Text Mining. LDV Forum -GLDV. Journal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and Language Technology, 20(1), 19-62. https://doi.org/10.21248/jlcl.20.2005.68
  5. Kao, A., and Poteet, S.(Eds.).(2007).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text mining. London: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6. Kenis, P., and Knoke, D.(2002). How organizational field networks shape interorganizational tie - formation rat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7, 275-293. https://doi.org/10.2307/4134355
  7. Krebs, V. E.(2002). Mapping Networks of Terrorist Cells. Connections, 24(3), 43-52.
  8. Marin, A., and Wellman, B.(2011). Social Network Analysis : An Introduction, in The SAGE Handbook of Social Network Analysis, J. Scott and P. J. Carringto (eds.), Thousand Oaks, California : SAGE Publication Inc., 11-25.
  9. Mckinsey., and Company.(2020). Coronavirus COVID-19 : Facts & Insights.
  10. 구강본, 석강훈(2010). 스포츠이벤트의 서비스 환경, 관여도 및 정보탐색의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5(2), 41-53.
  11. 권오정(2020). 코로나 19에 의한 노인 운동행동 변화 사례 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31(2), 123-134.
  12. 김지흔(2015).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여가태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15(4), 67-76.
  13. 김진국, 양성철(2019). 프로야구 활성화를 위한 구단과 관중의 정서적 연대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7), 261-272.
  14. 남상욱, 전계형(2019). 대기오염도가 프로야구 관중 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32(1), 71-88.
  15. 박홍식, 김승호(2006). 관람스포츠 물리적 환경 요인이 서비스품질평가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463-479.
  16. 백승헌, 김기탁(2018). 소셜 네트워크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프로야구 인식변화 - 기아타이거즈를 중심으로 -. 한국웰니스학회, 13(2), 101-114.
  17. 백승헌, 김기탁(2020). 스포츠활동 참여자의 미세먼지 위험지각에 따른 인식, 지식, 태도가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9(2), 159-172.
  18. 성상훈, 설수영(2019). 한국 프로야구 리그의 관중 수 결정요인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4(4), 53-67.
  19. 유재구, 조두현, 김석규(2018). 프로야구 구단의 경제적 성과를 위한 관람 활성화 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4), 167-179.
  20. 이재윤, 김준헌(2020). 코로나19 관련 국내외 경기부양책 현황 및 시사점. 이슈와 논점, 1697, 국회입법조사처.
  21. 정진원(2015). 도시성장과 프로스포츠 활성화간의 상호작용 분석 : 한국 4대 프로스포츠에 관한 경험적 분석. 韓國地域開發學會誌(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7(3), 139-166.
  22. 하정우, 김창수(2020). 바이러스 관광위기 극복을 위한 재난회복탄력성 탐색적 연구 -'코로나 19재난을 중심으로 -. Tourism Reserch, 45(2), 499-517.
  23. 한국데이터진흥원(2018). 2016 빅데이터 아카데미 우수 프로젝트사례. 서울: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4. 김희선(2020). 코로나 이후의 세계, 스포츠는 어떻게 변할까. 중앙일보, 2020.4.17. https://news.joins.com/article/23756447
  25. 이정국(2020). 프로야구 시청률 지난해보다 상승. 한겨레신문, 2020.6.24. http://www.hani.co.kr/arti/sports/baseball/950756.html
  26. 이혜진(2020). 포스트 코로나 언컨택트 시대. 매일신문, 2020.7.6. https://news.imaeil.com/Society/2020062517334050305
  27. 질병관리본부(2020). 공식홈페이지 (http://ncov.moh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