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예산업

Search Result 95, Processing Time 0.618 seconds

실업계 고등학교 섬유디자인 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 인천여자공예고등학교 섬유공예과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Case Analysis of Textile Design Education at Korean Technical High Schools Case Analysis of Inchon Gril's Polytechnic High School)

  • 유영미;김찬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0-80
    • /
    • 200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 of textile design education at technical high school in Korea, and to present possible solutions for improving its effectiveness. Inchon Girl's Polytechnic high School was selected as sample of case study because it was the only school which has textile design major. Survey was done through questionnaire and telephone interview. 100 students, 25 graduates, 8 teachers, and 8 managers of textile industry were involved in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t-test, correlation. Statistical analysis resulted in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be considered for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extile design education at technical high schools: First, the curriculum should be flexibly reorganized to come up with trends in the market and demands from industry, and also to stimulate and motivate students into the biggest achievements possible. Second, more weight should be given to practical design subjects which have proved to be preferred by students and industry by reducing class hours for non-design subjects or theoretical subjects. Third, equipments and facilities for practical exercise should be open to students anytime needed so that students can improve their practical skills without any restrictions. Fourth, new teachers having majored in textile design at the university should be employed and the existing teachers should be periodically re-educated to keep abreast with new knowledges and technology. Fifth, The solidarity and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companies should be reinforced, not only to provide graduates with more chances to get a job, but also to make education at schools refreshed and updated.

  • PDF

천연염료 실크스크린 기법의 텍스타일 디자인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Friendly Jaquard Fabric Design Utilizing Natural Dyed Silk Screen Printing)

  • 이애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2-423
    • /
    • 2016
  •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and suggests an experimental procedure, of industrial application of traditional textile design techniques, such as hand silkprinting and natural dyeing. Theoretical and tradition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William Morris and his followers' Arts and Crafts Movement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laid the philosophical as well as technical foundations of modern textile design tradition. Based on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design philosophy, and starting from the design techniques of Morris and his successors, I made some experimental and systematic color plans reflecting and exploiting the physical traits and structure of jacquard woven silk material fabrics. And I applied hand silkscreen printing techniques on the jacquard silk fabrics of my own making, while testing various color combinations of natural dyes. After finishing final processing of design samples, I could get textile design products which met the criteria of my original expectation, i.e., eco-friendly and aesthetic design samples that can also be produced in automatized mass production system of contemporary textile industry. The conclusion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hat I can expect the natural dyeing techniques, jacquard silk fabrics design techniques, silkprinting techniques, and the basic processes used in this study to be safely applied for contemporary commercial textile industry utilizing automatized silkscreen printing system and digital printing devices.

전통규방공예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 (Development of Culture Goods with Traditional Lady's Art Craft Work)

  • 송정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72-477
    • /
    • 2011
  • In the tide of globalization, culture products play pivotal role in effectively introducing our tradition and culture to the world. This research is about developing culture products using our traditional lady's art craft work to attain the purpose of modern application through recreation of tradition along with modern technology. First, the types of traditional lady's art craft work include pouches, wrapping clothes and other accessories made by sewing except costumes. The materials used were cotton, silk, ramie, hemp and decorating techniques involved were embroidery, patchwork, quilting, knot. Sec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culture products with traditional images which also satisfy modern sense. Therefore, items that could be used readily in daily life were selected. Such items include bags, mufflers, name card cases, brooches. In addition, the Korean traditional Patchwork images which have both western-style and modern sense were selected out of the many kinds of traditional lady's art craft works. Third, cultural products (bags, mufflers, name card cases, brooches) were created by DTP in silk with sacdong and free-styled division Korean traditional Patchwork images and quilting techniqu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modern culture products using traditional lady's art craft work. A way to further develop this study would be to shed new light on traditional crafts and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actively carry on the study of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with modern applications.

굿디자인을 활용한 금속환경조형물 연구 (A study of metal environment sculptures using good design)

  • 고승근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6호
    • /
    • pp.1-6
    • /
    • 2022
  • 본 논문은 외부 설치 금속조형물의 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로부터 시작되었다. 디자인의 범위와 의미가 커지면서 외부 설치 조형물에도 디자인의 개념이 사용되고, 조형물에 주변환경에 어울리면서 설치환경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조형물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개념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만 환경조형물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환경조형물의 개념은 아직은 대중적이지 않고 학문적 연구 또한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연구자는 외부 설치 조형물을 환경조형물로 정의하기 위해 굿디자인의 개념과 조건과 환경조형물의 개념과 역할을 이론적 배경으로 알아보고 굿디자인의 개념과 조건, 환경조형물의 개념과 역할에 대해 분류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굿디자인의 조건과 환경조형물의 역할을 활용하여 연구자의 디자인 전개 요소를 통해 금속환경조형물로 완성하고 연구작품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금속환경조형물의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게 되었고 다양한 환경조형물 디자인 연구가 지속되어 융합적 환경조형물의 다양한 패러다임이 연구되기를 바란다.

보석 대체품을 활용한 주얼리 디자인 연구: 주얼리 디자인 연구 동향 및 고객 선호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Jewelry Design using Alternative Gem: Focused on Jewelery Design Research Trends and Customer Preference)

  • 장진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219-224
    • /
    • 2022
  • 본 논문은 한정된 산출량의 보석 대신 다양하게 표현되는 보석대체품의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지난 5년간의 주얼리디자인 관련 학위논문에서 활용된 보석대체품에 어떤 재료들이 활용되었는지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보석대체품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동향과 고객선호도 설문조사에서 모두 보석대체품으로서 레진을 가장 대중적으로 활용하고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기존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레진의 일부 활용방식이 아닌 보석 조건에 맞는 보석대용품으로서의 레진 사용범위를 확장한 주얼리디자인을 하였다. 그 결과 보석대체품으로서 레진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보석의 조건에 해당하는 수요성과 전통성은 보석대용품으로서 활용빈도 및 시간의 경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이기에, 앞으로 레진을 보석 대용품으로서 활용한 주얼리 디자인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구축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레진의 활용번위를 확대하여 보석대체품의 대중적 선호도를 확립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확장된 통합기술수용이론을 활용한 중국 온라인 패션 플랫폼 소비자의 사용의도가 사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Behavioral Intention on Usage Behavior of Chinese Online Fashion Platform Consumers Using the Expand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 Focusing on Generation MZ -)

  • 이자미;김진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1-30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echnical acceptance factors of Chinese MZ generation consumers' use of online fashion platforms on behavioral intentions and usage behavior, and to determine whether satisfaction plays an additional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tentions and usage behavior.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that influence Generation MZ consumers when they use online fashion platforms, it was found that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hedonic motivation, price value, habit, and content quality significantly influence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online fashion platforms. Second, the facilitating conditions and the platform usage intention of Chinese Generation MZ consumers direct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 the usage behavior on online fashion platforms. In contrast, it was confirmed that habit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actual usage behavior. Third, this study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tention and usage behavior on online fashion platforms. This research, which proposes a research model explaining the usage intention and behavior of online fashion platforms based on UTAUT2, integrating not only the organizational aspect but also the consumer aspect to empirically verify the usage intention and the final usage behavior from the general consumer's perspective, has academic significance.

포스트 코로나의 메타버스 기술 동향과 주얼리 산업의 활용 사례 분석 (Analysis of Metaverse Technology Trends and Case Studies of Utilization in the Jewelry Industry in the Post-COVID)

  • 강혜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675-680
    • /
    • 2024
  •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를 기점으로 메타버스 기술의 동향을 살펴보고, 주얼리 산업체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엔데믹(endemic)으로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은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그 중심의 축이 이동했고, 이에 따라 메타버스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 멀어졌다. 하지만 글로벌 주얼리 브랜드의 메타버스 기술 동향을 살펴보면, AR/VR의 기술은 더욱 발전하여 실재감을 높이고 있고, 가상과 현실 간의 이질감이 없는 공간에서 메타버스는 진화하고 있다. 메타버스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세 가지 주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첫째, 디지털 트윈을 기점으로 비즈니스 영역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과 융합하고 있다. 셋째, 옴니채널로서 메타버스 운영에 대한 방향성 설정이 중요시 되고 있다. 코로나19 시기에 학습된 자산을 활용하여 디지털 및 온라인 관련 기술에 대한 학습을 지속해야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메타버스 기술 동향을 기반으로 주얼리 산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주얼리 비즈니스를 위한 협업형 AI의 분석 연구 (An Analysis Study on Collaborative AI for the Jewelry Business)

  • 강혜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305-310
    • /
    • 2024
  •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AI는 인류와 본격적인 공존을 시작하였다. 방대한 데이터 기반의 AI 학습역량은 인간의 학습과는 다른 차원의 생산성으로 산업체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I는 테크노포비아와 같은 어두운 이면의 사회적 현상도 보인다. AI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협업이 가능한 AI 모델을 분석하고 주얼리 산업에서 활용이 가능한 분야를 확인한다. 협업형 AI 모델을 활용하면 '아이디어 전개의 가속화', '디자인 역량의 강화', '생산성 강화' , '멀티모달 기능의 내재화' 등을 기대할 수 있다. 결국 AI는 협업이 가능한 도구적 관점에서 활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주체성 있는 인간 중심의 마인드 셋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주얼리 비즈니스를 위한 AI 협업방안 제언을 통해 주얼리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일본의 농촌 정주촉진 지원 정책 : 시마네현을 중심으로 (Policy for Rural Population Growth in Shimane, Japan)

  • 황정임;최윤지;조영숙;원지윤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8-98
    • /
    • 2009
  • 농촌 지역의 인구 감소 및 그에 따른 지자체의 위기의식이 심화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지역마다 각종 인구 늘리기 시책을 실행하고, 중앙에서 도시민 농촌유치 프로그램 지원 시범사업을 기획하는 등 지역 발전의 기본 요건이 되는 인구 감소의 해결을 위한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일본의 정주촉진 정책 사례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국내 정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시마네현은 일본 혼슈의 동해 연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6707.26km^2$의 면적에 약 74만 2천 명의 인구(2005)가 살고 있는 지역이다. 시마네현의 총 토지면적 중 약 80%가 산림면적이며, 경지면적은 41,000ha로 약 6%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논이 80%를 차지하여 논농사 중심의 농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풍요로운 수산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어업활동도 활발하다. 이러한 시마네현에서는 UI턴의 촉진을 위해 '산업체험사업'을 1996년부터 시행하고 있는데, 농림어업에 관한 산업체험을 실시하고, 체험 후의 거주지로 빈집을 활용하는 사업이다. 현 외 거주자가 시마네현 내에서 일정시기 산업체험을 하고자 할 경우, 월 50,000엔이 지급되며, 거주지 확보가 어려울 경우 트레일러하우스나 빈집활용주택, 공영주택 등을 임대해주고 있다. 또 시마네 현 내에서 30세 미만의 청년 미취업자가 일정기간 산업체험을 실시할 경우, 체험에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제공해주고 있다. 그간의 실적을 보면 연간 평균 105명이 체험에 참가하고 있으며, 2000년 이후 정착률은 50%를 넘고 있다. 총 259개의 체험 장소에서 월 평균 4명이 참가하고 있으며, 업종별 참가자수는 농업 및 기타(관광, 전통공예), 어업, 임업, 축산업의 순서로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시마네현의 고츠시에서는 '도시와의 공생 교류' 실현을 위한 9가지 중점시책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사업을 실행하고 있다. 농산어촌의 취락을 유지하는 것이 첫 번째 중점시책으로서 이를 위해 빈집을 활용한 정주와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거 정보를 수집, 관리, 웹을 통해 제공하고 있으며, 농지 유동화 및 농림수산물의 직거래 시스템 확립에 주력하고 있다. 이 밖에도 UI턴자 확보를 위해 지역에서 살고, 일하고, 즐기는데 대한 일체적인 정보 제공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으며, '고향교육'을 통해 지역에 대한 애착심을 기르는 동시에 지역에서의 취업 지향을 높이는데 힘쓰고 있다. 농촌 정주촉진을 위한 사업 내용면에서는 일본과 우리나라 간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사업에의 의지와 방향 설정, 사업 추진체계 및 운영방식 등에서 발견되는 차이를 주시함으로써 농촌 지역 인구 증가에 보다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정책으로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 PDF

지역축제 체험마케팅이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xperiential Marketing on Relationship Orientation in Local Festival -Focus on the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nennale-)

  • 이익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536-542
    • /
    • 2012
  • 본 연구는 체험마케팅 요소가 관계지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험마케팅의 감성 체험, 인지 체험, 행동 체험, 관계 체험의 항목이 관계지향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첫째, 향후 축제브랜드 강화를 위해 축제 체험마케팅 개발에 �옳� 하나의 새로운 자료를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축제와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새로운 연구로써, 축제와 같은 무형적 상품을 통한 체험마케팅도 관계지향성 강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학문적으로는 체험마케팅의 적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산업적으로는 축제의 마케팅 전략 및 관계지향성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