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식전위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 Study on Alloy Design for Improving Pitting Resistance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Weld under Ocean Water Atmosphere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부의 공식저항성을 위한 합금설계에 관한 연구)

  • 변경일;정호신;성상철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7 no.5
    • /
    • pp.89-96
    • /
    • 1999
  • The base metal and weld metal of alloy designed austenitic stainless steels were electrochemically tested in artificial sea water. Pitting resistance of 14 different stainless steels was evaluated by measuring pitting potential. The effect of alloy element to pitting potential was evaluated by changing chromium, nickel, sulfur content. The site of pitting initiation was observed by optical microscope. As a result of electrochemical test, pitting resistance of weld metal was higher than base metal, and rapidly cooled weld metal has higher pitting potential than slowly cooled weld metal. In case of primary δ-ferrite solidification, pitting potential was increased, but residual δ-ferrite was detrimental to pitting resistance. Chromium was more effective to pitting resistance than nickel, and sulfur was very detrimental element to pitting resistance.

  • PDF

On the LACBED Method to Determine the Nature of the Dislocation Defect in Crystalline Materials (결정체내의 전위 결함 형태를 결정하는 LACBED 방법에 관한 고찰)

  • Kim, Hwang-Su
    • Applied Microscopy
    • /
    • v.35 no.4
    • /
    • pp.64-73
    • /
    • 2005
  • In this paper we discussed in details how to determine the nature of dislocations in a crystal such as a Burgers vector, the line vector of dislocation and the associated slip plane, using LACBED and usual imaging techniques. These techniques basically involve the application of Cherns and Prestone s rules, the simulations of LACBED patterns with a certain form of the dynamical diffraction theory. The theoretical aspects including necessary approximations for calculations also were in details discussed. As a test specimen for experiments, the foils of a pure aluminum, containing many dislocations with appropriate density for LACBED experiments, were used..

Effect of nitrogen content on pitting formation at low nickel duplex stainless steel (듀플렉스상 스테인리스강에서 질소의 함량이 공식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Choe, Jong-Beom;Lee, Gyeong-Hwang;Gang, Hyeong-Gu;Lee, Myeong-Hun;Yang, Jeong-Hyeon;Gang, Jun;Yun, Y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61-61
    • /
    • 2018
  •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 상이 공존하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한 구조에 의해서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상의 장점을 동시에 갖는 특성이 있다. 높은 강도와, 우수한 내식성, 응력 부식 균열 그리고 낮은 니켈의 함량 때문에 안정적인 가격을 갖는 장점을 갖기 때문에 운송, 기름과 가스, 해양플랜트, 건축 그리고 높은 강도와 우수한 내식성이 필요한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형성에서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상의 균형과 내식성을 개선하기 위해 질소가 첨가된다[1,2]. 본 연구는 저니켈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STS 329 FLD)의 공식 형성 과정에서 질소의 함량이 공식 형성과 내식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동전위분극,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그리고 GDOES(Glow Discharge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GDOES를 이용하여 깊이별 원소 분포를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 부동태막에서 질소는 기저에 비하여 증가하였고, 질소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wt.% 또한 증가하였다. 이러한 부동태막의 깊이별 원소 분포특성이 내식특성과 공식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동전위분극을 이용하였다. 질소의 함량이 증가하였을 경우, 부식전위는 증가하였으며, 부식전류는 감소하였다. 또한 부동태전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XPS를 이용하여 질소의 화학적 상태를 확인하였다. 질소는 암모니아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암모니아 상태로 부동태막에 존재함에 따라 공식이 형성될 때, 암모늄 화함물을 형성하여 공식 내부의 산성도를 낮춤으로써 공식의 형성이 억제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공식 이후의 표면을 관찰 할 경우 질소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에서 공식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 PDF

Study on the Damage Behavior of 304 Stainless Steel for Gas Boiler with Specific Resistance (비저항에 따른 가스보일러용 304스테인리스강재의 손상거동에 관한 연구)

  • Yun, Byoung-Du;Lim, Uh-Joh;Jeong, Ki-Ch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9 no.4 s.29
    • /
    • pp.6-10
    • /
    • 2005
  • This paper was studied on the damage behavior of stainless steel (STS 304) for gas boiler with specific resistance. The electrochemical polarization test of STS304 for gas boiler was carried out. And the anodic polarization and damage aspect, such as pitting corrosion, was considered. With being low specific resistance, the passive current density of STS 304 increases, passive region and pitting potential is low. Also, the patting aspect of STS304 In specific resistance $74{\Omega}{\cdot}m$ water little appears, the pitting number increases and the damage behavior, such as pitting aspect, gradually grow bigger with being low specific resistance.

  • PDF

A Study on the Corrosion Inhibition Measurement Method of Carbon Steel in Various Inhibited Solutions (부식억제제가 함유된 용액중에서 탄소강의 부식억제능 측정법)

  • 원덕수;김영근;이성민;고영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8.05a
    • /
    • pp.108-108
    • /
    • 1998
  • 일반적으로 탄소강은 수용액 중에 노출될 경우 전면부식에 의한 손상을 받는다. 그러나 부식방지를 위하여 부식억제제를 적용할 경우, 탄소강의 부식거동은 현저한 변화를 겪게된다. 이러한 부식거동의 변화는 첨가되는 부식억제제의 종류에 따라 분 류할 수가 있는데, 양극부식억제제, 음극부식억제제 그리고 이들의 혼합부식억제제로 분류할 수가 있다. 현장에 적용된 부식억제제 시스템 중에는 자동차용 부동액과 가스히터용 열전달 매체액이 있다. 이러한 부식억제제가 적용된 시스댐은 정확한 부식억제능의 평가에 의한 그 교체 시기의 결정이 매우 중요하다. 교체 시기가 빠를 경우,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교체시기가 늦을 경우 설비의 부식을 초래하는 문제 가 있다. 따라서 부식억제제의 정확한 성능 평가법은 매우 중요하며, 이에 대한 다양 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부식억제제가 함유된 용액의 부식억제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무게 감량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 방법은 다종의 금속이 적용된 자동차용 부동액을 실제 사용조건과 유사한 실험 조건에서 단기간, 가혹조건에서의 무게 감량에 의해 부식억 제능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특히 국부부식이 진행될 경우 부 식억제능을 정량화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전기화학적 측정방법으로는 분극곡선법을 이용한 $E_P$(공식개시전위), $E_R$(재부동태 화전위)의 측정법이 있다. 또한 부식억제피막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 위적인 양극전류 인가에 의한 피막의 파괴후에 피막이 복원가능 여부 및 그 속도 측 정에 의해 부식억제제의 건전성을 확인할 수가 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스히터의 주구성 재료인 A210 Gr Al의 탄소강을 사용하여, 사용기간이 5년 이상되어 부식억제 기능을 거의 상실한 것으로 여겨지는 열전달 매체액 과 신규 부식억제제가 적용된 시스템 등 객관적으로 확인된 부식억제제 시스랩에 대 하여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동원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KSM 2142에 의한 무게감량법, 분극곡선 측정에 의한 $E_P$(공식개시전위), $E_R$(재부동태화전위) 측정, 시간에 따른 자연전위 변화 측정 빛 이때의 부식속도(선형분극법), 인위적인 피막 파괴 전,후 의 전위 변화 및 부식속도 측정법에 의한 국부부식 발달 저지능 등을 평가하여 각 실험결과를 비교분석하여 보았다.

  • PDF

A Study on Galvanic Corrosion properties between differential Al Alloys (이종 알루미늄 합금 간 갈바닉 부식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Sun-Ho;Lee, Seul-Gi;Park, Jun-Mu;Park, Jae-Hyeok;Lee, M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96-96
    • /
    • 2018
  • 금속재료 중 알루미늄(Al)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철강재에 비해 그 비중이 약 $1/3(2.7g/cm^3)$인 경량이고 열전도율이 약 3배($196kcal/^{\circ}C$, $20^{\circ}C$)로 높은 특성 등을 갖고 있다. 또한 대량생산에 의한 경제성을 가지기 때문에 건축 구조재, 전기 및 가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위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열교환기의 종류에서 응축기(Condenser) 및 증발기(Evaporator)는 알루미늄(Al)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단일 응축기 부품에도 이종 알루미늄 소재가 사용됨에 따라 갈바닉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상용되고 있는 열교환기 중 응축기에서의 이종 알루미늄 재료로 인해 나타나는 갈바닉 부식 특성을 관찰-분석-연구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알루미늄 재료는 현재 응축기 재료 중에서 각각 Tube와 Fin으로 널리 상용되고 있는 Al 1100과 Al 3003을 사용하였다. 표면 모폴로지는 SEM을 통해 관찰하였고 EDS를 통해 조성원소를 분석하였다. 또한 내식성 평가를 위해 5% NaCl 환경에서의 SST(Salt spray test, 염수분무시험) 시험과 3% NaCl 용액 내 자연침지 시험 및 탈기된 3% NaCl 용액 내 전기화학적 동전위 양극 분극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더불어 갈바닉 부식 시험에 따른 혼합 전위 측정 및 외관 관찰을 하였다. 각 재료는 실험에 대해 동일한 표면적을 노출시켜 시험하였다. 5% NaCl 환경에서의 염수분무 시험 결과 Fin(Al 3003)의 경우에는 Tube(Al 1100) 보다 빠른 부식거동을 보이며 국부적인 공식부식(Pitting corrosion)이 촉진되었다. Tube(Al 1100)의 경우에는 치밀한 Al2O3 형성과 부식에 따른 Al(OH)3를 생성함에 따라 Fin(Al 3003)에 비해 느린 부식거동을 보였다. 3% NaCl 용액 내 자연 침지 및 전위 측정 결과 초기 전위는 Fin(Al 3003, 약 -0.85V/SCE)이 Tube(Al 1100, 약 -1.05V/SCE)에 비해 더 높은 값을 가지며 약 72시간 이후 Tube(Al 1100) 시편이 더 안정적인 전위 값을 나타냈다. 이는 안정적인 Al(OH)3 피막 형성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탈기된 3% NaCl 용액 내 전기화학적 동전위 양극 분극 시험 결과 Fin(Al 3003) 시편에서 더 귀한 부식 전위 값을 나타냈지만 부식 전류는 더 낮은 값을 나타냈다. 상기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Fin-Tube 간 장기간 접촉 시에는 갈바닉 부식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갈바닉 부식 시험 결과 초기 혼합 전위는 약 -1.05 V/SCE를 나타냈으며 약 288시간 경과 후 약 -0.85 V/SCE 값을 나타냈다. 이는 자연 전위 측정 및 동전위 양극 분극 시험에서의 부식 전위 값에서 알 수 있듯이 더 비한 전위인 Tube(Al 1100) 시편이 Fin(Al 3003) 시편에 대해 희생양극적(Sacrificial anode)인 역할을 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갈바닉 부식 전위 측정 간 외관 관찰에서도 Tube(Al 1100) 시편은 빠르게 흑변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Fin(Al 3003) 시편은 침지 300시간 이후에도 초기와 유사한 표면 상태 및 광택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SST 시험, 자연 침지 시험, 전기화학적 양극 분극 시험 및 갈바닉 부식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단일 부품 내 이종 알루미늄 소재 간 접촉 및 그에 따른 갈바닉 부식 발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동종 성분이라고 할지라도 단일 부품 제작 시에는 그 사용 환경에 따라 이종 금속 재료의 사용에 대한 재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tudy for the Grounding Resistance of the Mesh Grounding Electrode by Water Tank Model (수조모델을 이용한 메쉬접지극의 접지저항에 관한 연구)

  • Kim, Ju-Chan;Kim, Sung-Sam;Choi, Jong-Gyu;Lee, Chung-Sik;Koh, Hee-Seo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0 no.3
    • /
    • pp.28-35
    • /
    • 2006
  • Recently, a number of equipments related with electricity,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in the same building are needed to the grounding system for safety from unexpected accidents. When the faulted electric current flows into a certain grounding system, the potential rise in that system takes place and it might induce the potential rise to other grounding system. This potential interference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surface potential, which was deeply related with the electrode shape. In this paper, the fundamental formula was deduced on the basis of surface potential of two grounding electrodes. Which corresponds to source of the potential interference and other grounding electrode, respectively. Therefore, the degree of potential interference in this mesh grounding electrode system was verified by the simple model simul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nding resistance in the realistic construction site and the expected value from the corresponding simulation,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model on a reduced scale about the realistic grounding system. It consists of stainless steel hemisphere electrodes in a water tank. From this work, the grounding resistance in the mesh grounding electrode showed the good coincidence results between those. Consequently, it is confirmed that the grounding resistance in the mesh electrode is possible to be estimated by performing the experiment using the water tank model.

A Unified Analytical Surface Potential Model for SOI MOSFETs (SOI MOSFET의 모든 동작영역을 통합한 해석적 표면전위 모델)

  • 유윤섭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1 no.2
    • /
    • pp.9-15
    • /
    • 2004
  • We present a new unified analytical front surface potential model, which can accurately describe the transitions between the partially-depleted (PD) and the fully-depleted (FD) regimes with an analytical expression for the critical voltage V$_{c}$ delineating the PD and the FD region. It is valid in all regions of operation (from the sub -threshold to the strong inversion) and has the shorter calculation time than the iterative procedure approach. A charge sheet model based on the above explicit surface potential formulation is used to derive a single formula for the drain current valid in all regions of operation. Most of the secondary effects can be easily included in the charge sheet model and the model accurately reproduces various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No discontinuity in the derivative of the surface potential is found even though three types of smoothing functions are used. More importantly, the newly introduced parameters used in the smoothing functions do not strongly depend on the process parameter.

The Behavior of Pitting Corrosion Associated with Microstructure of a Cast Lean Duplex Stainless Steel in Chloride Environments (염화물 환경에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주강의 미세조직과 연계한 공식 거동)

  • In-Sung Lee;Soon-Tae Kim;Chae-Jin Nam;Seung-Man Yang;In-Sung Cho;Seung-Mok Yoo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43 no.5
    • /
    • pp.230-240
    • /
    • 2023
  • The pitting corrosion behavior of 329LD cast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nd CF3M cast austenitic stainless steel was investigated in chloride environments. The pitting corrosion resistance of the 329LD alloy was superior to that of the CF3M alloy because the pitting potential, passive region, and critical pitting temperature of the low Ni-low Mo 329LD allo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high Ni-medium Mo commercial CF3M alloy. There are two main reasons for the enhancement of the pitting corrosion resistance of high Cr-low Momedium N 329LD alloy compared to the low Cr-medium Mo CF3M alloy: First, the pitting resistance equivalent number (PRENδ+γ) value of the 329LD alloy is higher than that of the CF3M alloy. Second, the passive region of the 329LD alloy is larger than that of the CF3M alloy. It indicates that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three elements by adding high Cr and low Mo-medium N to the 329LD alloy enhances the passivity of the passive film, thereby increasing the pitting corrosion resistance. It was verified that based on the PRENγ of austenite (γ) and PRENδ of ferrite (δ) values calculated using an N-factor of 16, the pitting corrosion of the 329LD alloy was selectively initiated at the γ-phases because PRENγ value of austenite (γ) was smaller than that of ferrite (δ), and finally propagated from the γ-phase to the δ-ph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