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손표현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M-러닝을 활용한 공손 영어 표현 학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of Polite Expressions Using M-learning)

  • 김혜정
    • 비교문화연구
    • /
    • 제42권
    • /
    • pp.261-28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공손 영어 표현 학습의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문법적, 담화 능력 외에도 사회 언어적 능력이 필요하다. 상대방이 누구인지, 어떠한 대화 상황에 직면했는지, 대화의 주제나 목적 등에 따라 사회적 가치에 맞는 적합한 표현을 구사할 줄 알아야 한다. 상대방의 지위나 나이가 화자보다 높거나 상대방과의 친밀도가 낮을 경우 한국인 화자는 공손한 표현을 구사하게 된다. 한국어는 언어 자체적으로 경어 체계를 지니고 있지만 영어는 이와 다르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영어의 공손 표현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공손 언어 학습에 학습자들이 교실에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을 접목시키고자 한다. 학습 교재로는 영국의 시대극 "다운튼 애비"(Downton Abbey)를 이용하였는데 이 드라마는 귀족들의 삶을 중심으로 다루었기 때문에 공손 표현을 학습하기에는 매우 적합하다. 모바일 활용을 통한 공손 영어 학습의 효율성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활용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실험반과 일반적인 팀별 활동을 중심으로 한 통제반을 설정하였다. 두 반의 공손 언어 학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두 번의 평가가 시행되었고 개방형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평가 결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은 공손 영어 표현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모바일이 수업 후 활동으로 사용하기에 효율적인 학습 도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설문 조사에서 학습자들은 공손 표현을 우아하거나 고급스러운 언어 형식으로 인지하거나 실용적 표현과 구분하는 경향이 있었다. 시대극을 이용하여 공손 언어를 교수할 경우 교수자들은 현대 영어와의 접목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독일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공손 전략: 친근감 여부에 따른 공손을 중심으로 (Politeness Strategy in German Communication: Focusing on Politeness according to Familiarity)

  • 문윤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35-644
    • /
    • 2020
  • 이 논문은 독일어 커뮤니케이션에서 나타나는 공손의 유형과 기능을 토대로 공손 전략이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공손'이란 단어는 독일어에서 문법 용어가 아니지만, 문법서 여러 곳에서 눈에 띈다. 공손의 기준은 언어체계의 규칙에 따라 구성될 뿐만 아니라 언어 외적 요소들이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경계가 모호하다. 공손은 사회적 가치 못지않은 중요한 전략적 요소이기도 하다. 공손한 표현은 우선 대화 당사자 간의 친근감 여부에 따른 호칭 형태, 동사의 화법, 그리고 양상 불변화사를 통하여 나타난다. 화법동사는 청자에게 직접적인 요구를 강요하지 않음으로써 심리적 부담을 주지 않는 공손 표현으로 분류된다. 친근감을 수반하는 양상 불변화사도 체면위협행위를 약화키거나 회피함으로써 청자의 발화를 제한하는 적극적 공손 전략의 하나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독일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공손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영상자료가 지니는 외국어 학습 자료로서의 가치 : 공손한 언어를 중심으로 (The Value of Film as Material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Using Posh Discourse)

  • 김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43-6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 나라의 영화나 드라마가 외국어 학습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는지를 공손한 언어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는 것이다. 영어를 학습할 때 의사소통 능력의 강조로 많은 학습자들은 실용적 표현을 습득하는데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우리는 살아가면서 같은 말이라도 상대방을 기분 좋게 할 수 있고, 상대방의 호의를 거절하거나 불쾌한 정보를 전달해야 할 경우 상대방의 기분을 고려해서 최대한 신중하고 예의바르게 말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우리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살아나가기 위해서 일상생활 속 공손한 언어의 학습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영국 드라마 다운튼 애비(Downton Abbey)를 이용하여 이 드라마에서 사용된 공손한 언어를 분석하고 제 2언어 학습 시 공손한 표현을 의식적으로 학습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실제 교실 현장에서는 이러한 공손한 표현들을 실질적으로 어떻게 학습해야 하는지가 중요하다. 다운튼 애비에 나타난 공손한 언어를 장기 기억으로 내재화하기 위한 조별 학습 활동으로 동영상 촬영하기와 캐릭터 파악하기를 제안한다. 다양한 장르와 다채로운 주제를 지닌 영상자료는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어의 다양한 언어 기능을 모두 보여줄 수 있는 매우 폭넓은 콘텐츠이다. 외국어 학습자라면 영화나 드라마, 시트콤을 자신의 학습 목적에 맞는 학습 자료로 활용한다면 학습의 동기부여와 흥미 증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어와 영어 성별어 비교연구: 공손표현과 관련하여 (A Comparative Study on the Korean and English Genderlect: Focused on Polite Expressions)

  • 김현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527-6533
    • /
    • 2015
  • 본 논문은 한국어와 영어 성별어(genderlect)에 관한 비교연구이다. 성별어란 성(gender)의 차이가 언어에 반영된 현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언어가 남성의 언어와 다르며, 이러한 차이가 성차별의 원인이나 증거가 된다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은 성별어 중 여성발화의 특성을 영어와 한국어의 영화와 드라마 대사를 분석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어자료에서는 여성어가 주로 어휘 즉, 명사, 형용사, 부사의 사용과 관련하여 나타났으나, 한국어 자료에서는 어휘 뿐 아니라 한국어 경어법의 최고단계인 '합쇼체'와 관련하여 여성이 익숙치 않다는 특성이 드러났다. 일반적으로 공손발화에서는 영어나 한국어 모두 여성발화가 공손표현의 특징과 유사한데, 한국 여성들은 경어법에서 아주높임단계를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와 영어의 성별어의 특징이 공손표현이라는 측면에서는 일반적으로 공유하는 부분이 많지만, 한국 여성들의 경우에는 공손어법 중 경어법의 최고 단계인 '합쇼체'보다는 '해요체'를 선호하는 부분을 주목하였다. 이는 성별어의 세계 보편적인 특성과 개별 문화의 차이가 드러나는 부분이라 하겠다.

공손표현과 아부의 문화적 차이 (Cultural Differences in Politeness and Notion of Flattery)

  • 윤재학
    • 비교문화연구
    • /
    • 제33권
    • /
    • pp.331-358
    • /
    • 2013
  • This paper looks into several aspects of linguistic behaviors attested in Korean and American English corpora. A special attention is paid to the areas of politeness phenomena, terms of address, power and solidarity, practice of flattery, and closely-related non-linguistic behaviors such as tipping and gift-giving conventions. An analysis of the data reveals that Korean society remains very much superior-oriented, non-egalitarian, non-democratic despite the pride and sense of accomplishment among the populace that the nation has achieved a satisfactory level of democracy. In particular, the following facts in Korean and the Korean society are exposed by an examination of the data: ${\bullet}$ There is a notional gap of positive politeness ${\bullet}$ Superiors enjoy an unfair advantage in the power and solidarity system ${\bullet}$ The terms of address system is set up to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levels and the terms of address, in turn, dictate norms of expected behavior ${\bullet}$ The notion and practice of flattery heavily favors superiors ${\bullet}$ Non-linguistic acts of gift-giving and tipping are consistent with the examined social interactions As a result, all the benefits, emotional as well as material, are garnered by superiors. These facts may reflect the real Korea that people are used to being comfortable with, a pre-modern, feudalistic society, something akin to its kin in the north. We may proclaim that we aspire to a more democratic society. However, it appears Koreans, deep inside, may have been seeking a powerful dictator all along. These findings help provide a partial but insightful clue to the political puzzle: why Koreans grew uncomfortable with an egalitarian and democratic president and could not save him, but instead replaced him with a succession of a corrupted businessman and the authoritarian daughter of a former dictator. The flight to democracy has stalled in midair, not quite making the grade yet. There is plenty of linguistic evidence in Korean.

통사화용의 접합면에서 본 영어 헤지표현의 유형과 기능 (Types and Functions of English Hedges at a syntax-pragmatics Interface)

  • 홍성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381-388
    • /
    • 2020
  • 본 논문의 목적은 주로 사회언어학과 화용론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영어 '헤지(Hedges)' 혹은 헤지표현을 형태통사적 관점과 화용적 관점을 연관지어 논의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지표현이 없는 자연언어는 없다'는 추론이 가능한데, 그것은 어떤 자연언어에나 공손성, 혹은 화자가 청자보다 낮은 자세로 말하고자 하는 문법기제가 있음이 널리 인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헤지에 대한 기존의 이론적 연구는 주로 화용적 관점에서 헤지의 유형 분류와 화용적 기능, 그리고 출현빈도 비교 등의 수준에 그치고 있다. 즉, 헤지표현을 형태통사적 개념인 자질로 나타내려는 시도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언어현상으로서의 헤지는 유무에 따라, 화용부와 통사부의 접합면에서 [+hedged]와 [-hedged]로 이분지화 가능하며, 이 화용자질은 형태통사부와 상호작용 하므로 협의의 통사부에서 분리될 수 없다. 본 논문에서, 헤지는 공손성이 표현되는 화용자질로서, 그 자질이 표시되는 접합면 영역이 구조적으로 있음을 지적하였다. 즉, CP+층위가 화용자질인 헤지자질이 인코딩되는 영역임을 제안하였다. 최근에는 범언어적 관점에서 혹은 영어교육의 학술적 EFL/ESL 글쓰기, 또는 담화분석 등에 헤지 표현의 식별 여부나 용례를 연구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은 그동안 간과되어온 동등접속문, 병렬종속문, 부분사 구문 등을 헤지에 포함시키고, 보다 구조적이고 이분지적(±)인 방식을 제안함으로서, 제2언어습득의 이해,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혹은 인공지능 자연언어 알고리즘에 화용 자질을 도입할 수 있는 구조적이고 이론적인 기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계학습을 이용한 한국어 Hedge 문장 인식 (Using Machine Learning in Detecting Korean Hedge Sentences)

  • 정주석;강신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279-281
    • /
    • 2012
  • Hedge는 불확실한 언어의 기술로서 추측성 글이나,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글, 또는 공손함을 나타내는 글 등에서 자주 표현되는 어휘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Hedge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기계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 PDF

관광정보와 언어전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urists Information and Language Transference)

  • 이승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451-45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관광의 1차적인 정보원으로서의 홈페이지와 관광홍보물의 언어학적 전환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관광관련 사이트의 한국어 원문과 영어 번역물을 비교하면서 관광정보 텍스트가 올바르게 언어전환 되었는지 점검하고 나아가 전환된 영어번역물과 한국어 원문을 대조하면서 번역물에서 발생하는 언어규약과 의사소통의 특징을 살펴본다. 특히 한국어와 영어는 언어유형에서 대조적인 언어로서 번역을 통해 전환되었을 때 특이한 담화의 양상을 보인다. 즉 한국어에 비해 영어표현은 직설적이고 우회적인 표현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영어번역본에서는 영어 화자위주로 언어가 변형되어 표현됨을 주시할 수 있다. 이것은 영어를 사용하는 언어군에서 흔히 발생하는 양상으로 광의의 문화간의 차이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외국관광객의 1차적 정보원으로서의 관광웹사이트는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목적지의 문화를 간접적인 형태로 표현함으로써 사회적 이미지 형성과 문화간 차이를 대변하며 커뮤니케이션의 일환으로서 공손의 원칙과 Grice의 원칙을 준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