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동 주택

검색결과 2,627건 처리시간 0.025초

공동주택에 대한 부위별 공사비 산정에 관한 연구 - 사례 H사의 실행단가를 중심으로 한 연구 -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lemental Costs for an Apartment Building)

  • 강현욱;유종환;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73-181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 H사의 실행단가를 적용하여 사례대상 공동주택의 부위별 공사비를 산정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실적공사비제도, 표준품셈제도, 공사비지수에 대해 고찰하고, 현행 공동주택 공사비 산정 방식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사례 H사가 시행한 공동주택 사례를 선정하여 부위별 분류체계를 정립한 후 하도급 업체와 거래한 실행단가를 분류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공동주택의 부위별 공사비 분류표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으로 연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의 부위별 분류 체계를 정립하였고, 둘째, 부위별 분류 체계에 따른 공사비 분류표를 제시하였다.

공간지리적 요인과 주거특성을 고려한 공동주택 가격결정 분석 (Analysis of Determinant Factors of Apartment Price Conside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Housing Attributes)

  • 문태헌;정윤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8-79
    • /
    • 2008
  • 중소도시도 수도권과 대도시의 주택정책을 답습할 것이 아니라 지역의 현황과 특성을 반영한 주택정책을 통하여 건전한 주택시장을 조성해야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진주시를 사례로 공동주택의 공간적 분포와 속성상의 특징을 분석하고, 공동주택 가격결정 요인을 추적하여 진주시의 주택정책에 유의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데이터는 2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위치와 속성자료를 지리정보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 공동주택의 공급시기와 분포를 분석해보면 경과연수가 오래되고 세대수가 적은 아파트들은 70년대에 시행된 구획정리사업지구에 주로 건설되었고, 반대로 경과연수가 짧고 세대수가 많은 아파트는 서쪽과 남쪽에 최근의 택지개발사업이 시행된 지역에 건축된 특징이 있었다. 아파트 가격결정요인 분석에서는 다중공선성을 없애기 위해 변수를 인자분석으로 사전에 축소 처리하였으며, 공동주택가격을 종속변수로 하고 33개의 독립변수로 구성되는 헤도닉가격모형을 12가지로 구축하였다. 이 모형들에서 경과연수, 연면적, 대로접함여부, 대학 및 병원접근성, 계단식 등이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도시기반시설의 입지와 주택공급을 시행한다면 급격한 공동주택의 가격변동과 지역적 가격 차이에서 오는 지역적 위화감을 완화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시장규모가 작은 중소도시의 경우에도 지역현실을 반영한 주택정책을 수립하여 지역의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모색해야하며, 보다 나은 분석을 위해 향후 중소도시에도 단독주택을 포함한 정밀한 토지정보를 구축해야 한다.

  • PDF

초고층 공동주택의 쓰레기처리 설비시스템

  • 김용식;박민식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1권1호
    • /
    • pp.32-35
    • /
    • 2002
  • 도시로의 인구집중, 도시의 대규모화에 따라 고가의 부지에 대한 고밀도화가 요구되고, 주거부문에서는 그 대응 수단으로 초고층 공동주택의 건설이 증가 하고 있다. 부언하면, 대도시 도심부의 높은 지가 상황에서 가구당 건설비의 저감을 위한 고용적률화의 필요성, 새로운 도심지 주거스타일의 발생 및 그에 대한 대응, 도심지역 기능 재편 대책으로서 도심지역에 있어서의 상주인구 확보 등의 대응 수단으로서, 도시 주택의 한 타입인 초고층 공동주택 건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심지 초고층 공동주택 건설의 기반에는 근년의 초고층 건설기술의 진보 및 발전이 있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본고에서는 초고층 공동주택에 필요한 각종 설비시 스템중에서, 주거환경의 위생성및 쾌적성을 확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쓰레기처리 설비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교통운영에 따른 도로변 공동주택의 도로교통소음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Road Traffic Noise at the Roadside Apartments according to the Traffic Management)

  • 정재훈;육동근;송보경;김형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38
    • /
    • 2009
  •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시행된 도시계획사업을 통해 도시지역에 대규모 주택단지 및 주거지역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지역에서는 공동주택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도로변공동주택의 도로교통소음이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었다. 그리고 1980년대 후반이후 공동주택은 15층에 머물던 공동주택은 20-30층의 초고층의 형태로 변모하였고, 최근에는 40층 이상의 공동주택이 등장하면서 도시지역의 주거밀도는 더욱 고밀화 되면서 이로 인하여 도로교통소음은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도로변에 위치한 공동주택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교통량, 통과속도를 변수로 하여 소음지도를 구축하여 저감효율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과는 교통량과 속도제한의 증감에 따른 변화는 한정된 공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버스중앙차로제는 도로변에 약간의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공원의 유형 및 입지적 특성이 공동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s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on the Apartment Price)

  • 이고은;최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5호
    • /
    • pp.927-936
    • /
    • 2016
  •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유형 및 입지적 특성이 공동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논문으로 부산광역시 전체를 연구대상지로 설정하였다. 공원은 환경재로서 주변으로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논문들의 경우 공원 자체만을 대상으로 가치를 평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원과 인근 공동주택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그 경제적 가치를 판단하고자 한다. 특히 공원과 공동주택 그 자체의 물리적 객관적 특성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공원의 유형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서 유형별 특징을 분석함에 주안점을 두었다. 분석결과 공동주택의 층수, 해당 단지의 총 세대수, 건설사 도급순위, 공원지정 경과년수, 부도심 입지여부 등이 주택가격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공동주택의 면적, 건축연한, 공원 조성계획 수립여부, 공원과 공동주택과의 거리, 도심입지여부, 지역생활권 입지여부 등은 음(-)의 관계로 분석되었다. 특히 공원별 유형에서 근린공원, 소공원, 체육공원은 공동주택 가격에 양(+)의 관계를 보였으나 어린이 공원의 경우 음(-)의 관계로 나타났다. 공원과 공동주택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공동주택의 가격이 오르는 것은 공원이 주는 다양한 이점을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공원의 가치를 높이고 조성으로 인한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좀 더 다양한 방안으로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공동주택에서의 인하도선시스템과 접지시스템 설계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s in Down-conductor System and Earth-termination System Design of Apartments)

  • 이기홍;이재복;장석훈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4-5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공동주택에 적합한 인하도선시스템과 접지시스템 설계를 위한 기본적 사항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공동주택의 철근구조체는 전기적 연속성을 갖지만 철근들끼리의 결속선에 의한 접속은 전자기계력에 대한 내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전용의 인하도선을 설치하고 이들을 건물 양 측벽의 철근구조체와 본딩하여 낙뢰전류가 인하도선 및 철근구조체에 분산되어 흐르게 하는 인하도선시스템을 제시하였다. 한편 공동주택의 접지시스템은 건물기초접지극과 피뢰설비를 위한 환형 접지극으로 각각 구성하고 이들을 서로 본딩하는 접지시스템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동주택 각동의 건물기초접지극을 공동구의 철근구조체나 접지선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서 공동주택 단지에 거대한 총괄접지시스템을 구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피뢰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완벽한 본딩시스템의 구축이 전제되어야 한다.

  • PDF

노후 공동주택 개선여부 의사결정을 위한 공동주택 분류체계 개발 (Multi-family Housing Complex Breakdown Structure for Decision Making on Rehabilitation)

  • 홍태훈;김현중;구충완;박성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101-109
    • /
    • 2011
  •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국내 외에서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특히, 국내 주거용 건축물 사용단계의 에너지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 생애주기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노후 공동주택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공동주택의 개선을 통한 에너지 절감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공동주택의 개선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에너지 절감에 대한 부분은 주요 고려사항으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기 위해 필요한 의사결정 지원도구 역시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공동주택 개선여부의사결정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는 첫 단계로서, 유사 특성을 지닌 공동주택 단지간의 군집을 형성하는 분류체계를 구축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하여 공동주택 단지 특성 및 전력, 가스, 지역난방 에너지 사용량 기반의 군집을 형성했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더욱 발전시켜 공동주택 개선단계에서의 의사결정 시 에너지 사용량을 고려사항으로 반영함으로써, 노후 공동주택 개선을 통한 에너지 절감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cdot$주거정비법 문제있다

  • 김태섭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55호
    • /
    • pp.20-21
    • /
    • 2003
  • 오는 7월부터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이 시행되면 공동주택 시장은 크게 변할 것으로예상된다. 이 법은 그 동안 개발지상주의가 팽배해 있던 공동주택 시장을 성장관리 체제로 전환해 관리하겠다는 의도에서 출발했다. 이 법이 시행되면 향후 재건축사업은 도시계획 차원에서 관리가 가능해지고, 그 동안 수많은 사업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비리와 잡음이 차단되는 등 운영관리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내부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의 도입은 공동주택 시장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할 우려가 높다.

  • PDF

아파트 급수설비의 적정설계를 위한 급수량 산정 (Estimating water demand in apartment buildings for the economic design of water supply system)

  • 김성식;김지현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27권5호
    • /
    • pp.444-455
    • /
    • 1998
  • 1960년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에 따라 도시의 인구 집중과 핵가족화 현상으로 주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자 공동주택을 짧은 기간에 대량으로 공급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 결과 1995년 국내 통계에 의하면 도시주택 유형 중 아파트가 48.1%를 차지할 만큼 대표적인 공동주거 형태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가용택지의 부족은 이후로도 단독주택보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건설의 중대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도시경관을 고려한 해안지역 공동주택의 높이관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해안지역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 (A Study on Measures to Improve the System to Control the Heights of Apartments in Coastal Areas Considering City Scenery - For Apartments in Coast Region in Busan Metropolitan City -)

  • 김종구;김유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377-386
    • /
    • 2013
  • 공동주택이 고층화됨에 따라, 고층 공동주택 거주자들은 이익을 누리는 반면에 건축물 배후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주거 환경에서 많은 문제를 경험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중에서도 특히 공동주택의 높이가 도시경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사례 연구 및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해안지역의 공동주택 단지나 건축물들에 한해서는 그에 적합한 높이관리의 규제를 마련하여 여러 가지로 난립되어 있는 높이에 관한 제도들을 총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불안요소들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