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동거주(共同居住)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35초

공동주택 거주자의 실내 차양장치 사용행태에 관한 연구 (Occupants Control Patterns of Indoor Shading Devices in Apartment Buildings)

  • 이윤정;김정태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12-20
    • /
    • 2014
  • There is no comprehensive consensus of the control patterns people op::rate shadings or the motivat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decisions. Patterns of shading devices use can affect the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shading device usage patterns based on the physical factors that can affect occupants behavior. First, control patterns of indoor shading devices in apartment buildings were monitored by taking pictures. Next, frequency of shading device use together with their shading portions was analyzed based on two physical factors such as window orientation and floor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about 35% of the monitored apartment buildings utilized indoor shading devices. Also, the south-facing apartments were more dynamically used than their east-facing counterparts. On the contrary, there was no general trend in regards to the shading operation patterns.

노인주거시설 단위주호의 부엌가구디자인 및 사용실태 (A Status of Kitchen Planning of Units in Elderly Housing Facilities)

  • 주서령;김민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247-256
    • /
    • 2005
  • 본 연구는 노인주거시설 단위주호의 부엌을 대상으로 하여 사용 실태 및 거주자의 요구를 조사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노인주거에 관한 연구를 보면, 포괄적이고 대안적이어서 자세한 차원의 노인주거생활에 대한 연구로는 부족했다. 그러므로 노인에게 적합한 한국형 노인주거의 부엌 계획을 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우리는 대표적인 노인시설 4곳을 직접 방문하여, 독립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시설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가 진행되었다. 4개의 시설에 각각 2단위주호를 방문하여 총 8개의 부엌을 조사 하였고,조사대상자의 단위주호의 공간계획과 부엌가구의 디자인을 살펴보고, 실측하였으며 또한, 조사대상자의 만족과 선호 그리고 부엌사용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결과, 시설에서 제공하는 식사서비스를 이용하는가에 따라 부엌의 이응정도와 사용방법 지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식사서비스를 이용하는 거주자에게는 차나 다과의 준비를 위한 공간만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단위주호 내에서 직접 식사를 하는 거주자는 좀 더 큰 수납장과 다용도실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였다. 안전과 기능적인 측면으로는 잘 디자인되어 있었고, 대체로 세탁기는 부엌 수납장에 빌트인 되어 있었는데 대부분의 거주자들은 이 것에 만족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노인의 거주양상과 생활방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를 통한 한국형 노인주거시설의 부엌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 PDF

지역공동체의식이 공공배달 앱 이용태도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Sense of Community on Public Delivery Applications Attitudes and Intentions to Use)

  • 정지복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127-133
    • /
    • 2022
  • 코로나-19를 계기로 비대면 서비스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많아지고 배달 앱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새로운 배달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민간배달 앱의 플랫폼 독점과 중개 수수료 인상 등의 사회적 문제가 등장하자 이를 해결하고자 2020년부터 많은 지자체에서는 공공배달 앱을 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민간배달 앱 사용에 익숙한 소비자는 거주하는 지역의 공공 배달 앱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용율이 낮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공동체의식과 서비스 품질(정보품질, 배달품질)이 공공배달 앱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지역공동체의식과 정보품질은 공공배달 앱 이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만 배달품질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배달 앱 이용태도는 공공배달 앱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동시에 지역공동체의식, 정보품질과 공공배달 앱 이용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배달 앱 활성화를 위해서는 홍보와 마케팅뿐만 아니라 지역공동체의식 강화 노력과 함께 정보품질 향상을 위한 상품 검색, 사용자 리뷰 조회 등 사용자 편의성 개선을 위한 노력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공동주택 관리형태가 장기수선충당금과 공용관리비에 미치는 영향 : 부산시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Effect of the Type of Apartment Management on Long-Term Repair Allowances and Common Management Fees : For Apartment Houses Subject to Mandatory Management Located in Busan)

  • 김홍철;이찬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49-355
    • /
    • 2022
  • 오늘날 주거형태 중 공동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본 연구는 관리비등의 징수액을 산출하는데 고려되는 요소를 확인하여 합리적인 분배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용관리비와 장기수선충당금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에서 2020년 부산시 소재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에 대한 각종 자료를 수집하여 관리형태(자치관리, 위탁관리)에 따른 영향요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결과 세대수와 노후정도는 장기수선충당금에 음(-)의 영향을, 노후정도는 공용관리비에 음(-)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노후정도가 장기수선충당금과 공용관리비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자치관리에 비해 위탁관리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수선충당금은 위탁관리가 적게 부과하고 공용관리비는 자치관리가 적게 부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부산시 소재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 거주자등과 관리자에게 장기수선 충당금과 공용관리비를 합리적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노인공동생활주택의 개발자 유형에 따른 개발과 관리 특성 선호경향 - 개발$\cdot$거주, 비용을 중심으로 - (Preferences 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Developer Type - Focused on Development$\cdot$Residence, Cost)

  • 서은미;홍형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6호
    • /
    • pp.39-5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preferences 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developer type. For social survey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20, 2004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 people in 40s-60s using questionnaire which distributed only to those having at least $60\%$ of positive interest in developing the senior congregate housing.'rho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nce majority of respondents wanted to have their old age from mid-60's after retirement more independently, the housing should be designed in a way for them to stay in the m's length of friends and community people. Residential spaces should be individually partitioned and various services should be provided in a semi-dependent manner. The location should be where the medical services were systematically available and ambient environment was agreeable. Second, the cohousing type developers preferred to develop the housing in a form of joint investment with the Potential residents, while the individual developers would like to sell or rent the housing thus would ask for the locations at the outskirts of big cities. In conclusion, most respondents had comparatively similar opinions in terms of the preferred types of development, residential aspects and cost features of the senior congregate housing.

층간소음의 건강영향 (Health Effects of Apartment Noise)

  • 박영민;김경민
    • 환경정책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3-134
    • /
    • 2015
  • 2013년 전체 신규 주택 수요 중에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이 89.9%이다. 이와 같이 공동주택의 다수의 세대가 함께 거주함으로써 이웃 간 층간소음에 관한 분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층간소음 문제는 세계적으로 상당히 심각한 수준으로 국민의 약 88%가 층간소음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한편, 정부는 층간소음 분쟁 완화를 위해 바닥두께 및 바닥충격음 저감성능 등과 같은 규제강화와 공동주택 단지별로 자체적인 해결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물리적 규제와 소극적인 관리정책으로는 층간소음 분쟁완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실내 정온한 생활환경을 위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층간소음에 대한 건강영향이 고려된 정책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소음노출에 따른 인체반응 연구사례를 조사하여 소음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층간소음 노출기간에 따른 건강영향을 고찰하였다.

  • PDF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의 동의율 확보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greement Rate Encouraging Restriction Factor of Multi-family Housing Remodeling)

  • 김동재;최용재;김갑열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22-129
    • /
    • 2010
  • 최근 공동주택 리모델링을 둘러싼 여건의 변화는 리모델링과 관련된 제도적인 변화와 거주민의 요구사항의 변화에 있다. 이 중에 제도적 변화를 제외하고 리모델링의 추진에 대한 단지 내 주민들의 의사를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가 주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재건축의 대안으로서 리모델링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지만, 그 동안의 연구들이 대부분 리모델링의 활성화에만 주력하면서 리모델링의 시행에 따라 제기될 수 있는 여러 문제점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한 경향이 있었다. 그 중 주민 동의율 확보의 저해요인은 리모델링의 사업추진 및 승인과정을 어렵게 하고 있어 리모델링 사업주체와 관할 행정당국은 미처 예상치 못한 새로운 난제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므로 리모델링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주민의 동의율 확보를 위한 대책과 방안제시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리모델링 사업추진시 주민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들을 규명하여 사업추진시 제약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동의율을 확보하는데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계층적분석기법을 통한 공동주택의 방화문 기능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re Protection Door Performance in Apartment Houses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 하주익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40-547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건설에 따른 하자보수 소송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공동주택 방화문 성능에 대한 문제점과 기능개선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하여 방화문의 설계 및 시공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계층적분석기법(AHP)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2계층에서는 '방화구획 설치기준 강화' 28%, '설계기술 강화' 19.5%,'시공기술 강화' 19.3% 의 순이었으며, 3계층에서는 '바닥면적별 설치기준 강화' 11.8%, '내화구조 기준강화' 9.9%의 순으로 개선에 대한 우선순위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화재시 거주자들의 생명과 직결되는 방화문의 안전성능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기술적, 정책적 개선사항을 고려한 제도적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공동주택 단지 내 공공보행통로의 갈등 요인과 영향 - 공동주택 거주민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 (Causes and Effects of Conflict Arising from Public Pedestrian Passages in an Apartment Complex - Based on a Survey of Residents living in an Apartment Complex -)

  • 이승지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2호
    • /
    • pp.95-10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conflict that arise from public pedestrian passages installed in apartment complexes through a survey of residents' perception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with and necessity of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This has significance as a preliminary research into determining solutions to conflict related to public pedestrian passages that are open spaces, accessible 24 hours a day to pedestrians including people who live outside of the apartment complex. The result of the residents' perception survey showed that there is conflict due to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The main problem was the noise-related variables. While management and safety variables were also perceived as problems, privacy and ownership infringement variables were not. These problems were reduced to four factors through a factor analysis: unfavorable incidents, environment management, ownership infringement, and safety crimes.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above factors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apartment complex, satisfaction with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and the necessity of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demonstrated that the unfavorable incidents factor influenced all the variables. The safety crimes factor, which is an extended concept of the unfavorable incidents, affected both the satisfaction and necessity of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The ownership infringement factor was found to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only, and the environment management factor did not affect all the variables. In planning and managing public pedestrian passages, avoiding incidents and crimes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orit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and solve conflicts.

중·소블록 기반 집합주택 보급을 통한 도시성과 근린성 제고(提高) 방안의 고찰 (An Examination on the Improvement of Urbanity and Neighborship through the Provision of Collective Housing based on Small and Medium-sized Blocks)

  • 임재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495-502
    • /
    • 2023
  • 우리나라의 전통적 주거지들이 자연과 공존하며 공동체를 형성한 바탕 위에 마을의 풍경이 만들어져 왔다면 유럽의 도시들은 성채를 토대로 길과 블록이 형성되는 가운데 공동의 주거를 위한 거주지를 만들어 온 경우도 상당하다는 서로 다른 역사적 전개과정이 존재한다. 대규모의 주택공급이라는 근현대화의 과정과 함께 우리의 보편적 도시구조는 아파트 단지가 연속된 도시적 풍경이 일반화되었고 이러한 주거유형과 거주방식의 획일화라는 현상을 주거유형의 다변화라는 관점에서 유럽 등의 도시구조에 더 보편화 되어있는 중·소블록 기반 집합주택이 도시성과 근린환경의 향상에 연관되어질 수 있다는 관점을 고찰해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대가구에 기반한 단지형 아파트 이외에 대체적인 방안으로서 중·소블록에 기반한 집합주거의 보급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과 우리 삶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공동주택의 유형적 변화가 생활양식과의 근원적인 상호간의 관계지음을 어떠한 방식으로 변천시켜 나갈 수 있을지에 대해 의미를 부여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