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기-비용 최적화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6초

Particle Swarm Optimization을 이용한 공기-비용 절충관계 최적화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ization Model of Time-Cost Trade-off Analysisusing Particle Swarm Optimization)

  • 박우열;안성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91-98
    • /
    • 2008
  • It is time-consuming and difficulty to solve the time-cost trade-off problems, as there are trade-offs between time and cost to complete the activities in construction projects and this problems do not have unique solutions. Typically, heuristic methods, mathematical models and GA models has been used to solve this problems. As heuristic methods and mathematical models are have weakness in solving the time-cost trade-off problems, GA based model has been studied widely in recent. This paper suggests the time-cost trade-off optimization algorithm using particle swarm optimization. The traditional particle swarm optimization model is modified to generate optimal tradeoffs among construction time and cost efficiently. An application example is analyzed to illustrate the use of the suggested algorithm and demonstrate its capabilities in generating optimal tradeoffs among construction time and cost. Future applications of the model a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

혼합정수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한 진보된 Time-Cost Trade-Off Model (Advanced Time-Cost Trade-Off Model using Mixed Integer Programming)

  • 권오빈;이승현;손재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53-62
    • /
    • 2015
  • 공기비용 트레이드오프 모델은 건설프로젝트의 계획 및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TCTO 모델은 연속모델과 분절모델 두 가지 모델이 개발되어왔다. 그러나 한 종류의 모델만을 사용하여 현실적인 공기단축 시나리오를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TCTO 의 연속적인 모델과, 분절모델을 결합하여 진보된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비선형 관계, 인센티브 및 지체보상금 고려가 가능하도록 TCTO모델에 포함되어 있다. 이런 특성들은 건설프로젝트에 적용가능하다. 6개의 activities로 구성된 CPM 네트워크는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제시한 모델은 모든 제약 조건을 만족시키는 최적 스케쥴 계산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진보된 TCTO모델은 기존의 모델보다 최적화된 공기단축이 가능하다.

최저통합환산가격 개념을 적용한 기술제안 기반 입찰제도 (Technical Proposal based Bidding System Applying the Concept of the Lowest Total Combined Bid Price for Supplying Affordable Housing)

  • 조건희;강승희;이정석;손정락;방종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94-105
    • /
    • 2010
  • 최근 도시내 기반시설이 노후화된 불량지구에 거주하는 사회적 약자(저소득층, 도시빈곤층)가 도시재생과정에서 지불능력한계 등에 의하여 재정착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는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약자의 재정착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입찰가격 최적화 및 생산비용 절감', '공기단축을 통한 비용절감', '적정 품질 만족'을 목적으로 한 '최저통합환산가격(입찰가격+공사기간환산가격) 개념의 기술제안 기반 입찰제도'를 제시하였으며, 이는 프로젝트단위 기술제안, 공종단위 기술제안, 공기단축 기술제안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최저통합환산가격 개념의 기술제안 기반 입찰제도는 공기단축에 의한 추가적인 인력 및 장비의 투입과 품질향상 등에 의하여 직접비는 상승되나 공기단축에 의한 발주자 비용, 감리비, 원주민 보상비에 대한 이자비용, 간접비, 이자 지급비, 물가 상승비 등의 절감이 기대된다. 이와 더불어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절감 관련 기술 지식의 축적은 향후 프로젝트 공사비 및 공사기간 최적화가 가능함은 물론 국가 및 기업 경쟁력 향상이 기대된다.

막 기반 직접공기포집: 총설 (Membrane-Based Direct Air Capture: A Review)

  • 양성백;임광섭;니키타 쿠마리;남상용
    • 공업화학
    • /
    • 제35권2호
    • /
    • pp.85-95
    • /
    • 2024
  • 직접공기포집 기술은 기후 변화 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와 기후변화에 관한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고, 탄소의 지속적인 배출에도 불구하고 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지구 온난화를 1.5 ℃로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직접공기포집 기술은 초기 비용에도 불구하고 연구 및 개발, 운영 학습 및 규모의 경제를 통한 비용 절감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고투과도를 갖춘 고분자 막의 발전은 막 기반 직접공기포집 기술에 대한 잠재력을 제시하고 있으나, 효과적인 대기 중 CO2 분리를 위해서는 CO2에 대한 높은 선택성과 투과성을 갖춘 막을 필요로 한다. 현재 연구는 막 최적화 연구를 다수의 연구팀에 의하여 연구되고 있으며, CO2 포집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공기포집의 중요성, 발전 중인 비용 동향 및 기후 변화 완화에 있어서 막의 발전이 중요한 역할을 강조하고 있고, 덧붙여서 이 연구에서는 막 기반 DAC에서의 permeance와 selectivity의 이론적 배경, 조건, 구성,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돌관공사 시나리오 기반 공기-비용 최적화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Time-Cost Trade-Off model Based on Emergency Construction Work Scenario)

  • 이시현;이승현;손재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43-51
    • /
    • 2016
  • 최근 건설공사의 규모와 복잡성이 현저하게 증가함에 따라 건설비용이 상승하게 되었다. 많은 건설공사가 날씨, 노동력 공급, 장비 구매, 사고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로 인하여 당초 계획했던 공사기일 내에 완공되지 못하고 있다. 계획된 시간 내에 공사를 완공하기 위하여 돌관공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하지만 돌관공사를 위한 결정들이 현장 소장들의 경험에만 의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작업조의 투입과 작업시간의 조합으로 생길 수 있는 다양한 돌관공사 시나리오 중 최적의 대안을 선정할 수 있는 TCTO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개발된 모델은 실무적인 제약조건을 만족시키는 최적의 공정계획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제안된 모델에 자원평준기능을 포함하게 되면 보다 실용적인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IoT 기반한 핵심유틸리티의 유지보수 최적화를 위한 공동 활용 시스템 (A Repository Utilization System to optimize maintenance of IIoT-based main point Utilities)

  • 이병옥;이건우;김영곤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89-94
    • /
    • 2021
  • 최근 제조업에서 경쟁력 향상을 위해 IIoT/ICT를 적용한 지능형 생산 공정을 많이 도입하고 있으며, 공기압출기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한 예방 조치로 가용성 유지, 생산성 향상 및 관리비용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용 컨트롤 보드를 개발하고, 이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LoRa 통신 모듈을 적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서 공기압축기에 대한 정보를 통합 수집 및 관리하였으며, 통합된 정보를 모든 운용자 및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공통된 자료를 활용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M/S의 단계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시스템 운용 가용성을 증대하였으며, 로컬 서버 운용 부담을 줄였다. 시스템 장애 상태를 공유함으로 유지보수 지연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였으며, 유지보수 직원의 유선 및 모바일 활용으로 실시간 상태 감지를 제공, 비용과 공간적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였다.

G-SEED용 실내공기 오염물질 저방출 자재 선정을 위한 경제성 평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 Economic Assessment Model for the Selection of Indoor Air Pollutant Low Emission Material for G-SEED)

  • 권성민;김병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3호
    • /
    • pp.289-296
    • /
    • 2021
  • 국내 건설산업은 에너지와 자원의 사용 및 오염물질 배출과 같은 환경 부담을 줄이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축물의 환경성을 평가하는 녹색건축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인증획득 절차의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과정이 복잡하며 인증 항목별로 자재의 경제성을 고려할 수 없는 점으로 인해 실무에서는 인증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색건축인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녹색건축 인증제도 인증 항목 중 실내공기 오염물질 저방출 제품의 적용을 그 대상으로 하고 생애주기비용 개념을 고려하여 자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경제성 평가의 최적화 기법으로는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최적의 자재를 선정할 수 있는 경제성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실제 비주거용 건축물 사례에 적용하여 기존 비용과 비교한 결과 평균 74.5 %의 비용 절감률을 나타내어 본 모델을 녹색건축인증에서 경제적 효율성이 있는 도구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소기체로부터 이산화탄소 회수를 위한 막 분리 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Membrane Separation System for Carbon Dioxide Recovery from Combustion Gases)

  • 한명완;김미영;김범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222-229
    • /
    • 2005
  •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10% 함유된 연소가스를 5단의 다단 농축 막분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것을 Aspen plus와 Excel을 이용하여 모사하였다. 분리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99% 이상, 이산화탄소 제거 효율을 90% 이상으로 하였다. 이때 최적화 변수를 각 단의 압력, 각 단에서의 잔여물 농도로 하였고 각 단의 막 면적의 합과 막 분리시스템의 장치비와 운전비를 고려한 목적함수를 제안하여 최적화를 행하였다. 최적화 결과, 기존 설계에 비해 막 면적 및 총괄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단농축 막분리 시스템의 설계지침을 얻었다.

돌관공사 시나리오 기반 공정관리 최적화 방안 (Process Optimization Method Based on Emergency Construction Work Scenario)

  • 이시현;이승학;우미선;손재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7-118
    • /
    • 2015
  • These days buildings have more possibilities to occur construction delay as many variables and risks are inherent in them due to the enlargement and complexity. When a project is delayed, it generates extra working expenses and this causes a dispute between the employer and the constructor. Most construction sites conduct emergency construction work to recover the delay of the project duration. When an emergency construction is carried out in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it's necessary to utilize and distribute the proper working groups based on the procedure of successor and predecessor. Many constructions, however, have been going only with more number of work forces and working time. This study suggests a process management optimization plan with an application of emergency construction scenario by using linear programing.

  • PDF

순산소 연소를 위한 초저온 공기분리장치의 최적공정 설계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Process Design of Cryogenic Air Separation Unit for Oxy-Fuel Combustion)

  • 최형철;문흥만;조정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5호
    • /
    • pp.647-654
    • /
    • 2018
  • 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하여 화력발전소를 중심으로 순산소 연소를 통한 $CO_2$ 포집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산소 생산 비용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순산소 연소에 필요한 대량의 산소(>2,000 tpd)를 생산하는 방법은 초저온 공기분리장치(ASU: Air Separation Unit)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 고순도(>99.5%) 산소 생산에 최적화되어 건설되었다. 이런 초저온 공기분리장치에서 순산소 연소에서 사용이 가능한 낮은 순도(90~97%)의 산소를 생산하고 공정을 최적화할 경우, 공정 효율이 높아져 산소 생산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순산소 연소 발전시스템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초대형(>2,000 tpd $O_2$) ASU 개발을 위하여 공정 분석 및 비교 평가를 수행하였다. 상용 프로그램인 AspenHysys를 이용하여 산소 순도에 따른 회수율 및 전력소모량을 계산하고 공정의 효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ASU를 통해 순산소 연소에 공급되는 산소는 약 95%가 최적이며, 생산 공정 최적화 시 약 12~18%의 전력소모량 절감이 가능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